주낙영 경주시장
주낙영 경주시장은 오직 시민과 소통하면서 중단 없는 경주발전과 지역경제 활성을 최우선으로 경제시장을 표명하며, 2천년 역사도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면서도 신성장 동력을 발굴해 더 큰 경주 더 나은 미래 100년 대계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경주시의 올해 예산 2조원 시대에 돌입했다. 민선7기 1조 4천215억 대비 약 5년 만에 40%(5천785억)가 증가했다. 민선8기에 돌입하여서는 굵직굵직한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경제산업 지도의 대변화가 머지않았다.경주와 포항의 형제의 강이자 환동해 상생의 강인 ‘형산강’이 22일 환경부 주관 ‘홍수에 안전한 지역맞춤형 통합하천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홍수 안전, 하천 환경개선은 물론 친수공간까지 조성한다.형산강 36㎞ 구간에 사업비 4천942억을 투입해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사업내용은 치수안정을 위한 형산강 상류 하도준설, 중류지역인 안강읍에 저류지와 서천교 인근에 복합친수레저공원 조성, 하천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와 형산~제산 연결교량 조성 , 장군교·형산강철교 리모델링, 생태계 보전 및 교육 목적의 생태공원 조성 등 24개 사업이다.신형산강 프로젝트는 형산강 발전을 골자로 추진된 ‘형산강 에코트레일’과 ‘형산강 프로젝트’에 이은 세 번째 전략 프로젝트이다.또한 경주는 지난 11일 KTX 신경주역세권 해오름 플랫폼 시티가 국토부 주관 ‘거점 육성형 투자선도지구’에 선정됨에 따라 현재 추진 중인 신경주역세권 지역개발사업과 양성자가속기 RDB단지 조성, SMR 국가산단 전문인력 상주공간 확보, 신경주역세권 2차 개발과 연계하여 지역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발돋움한다.신경주역 일원 113만 2천529㎡ 부지에 사업비 5천407억을 투입해 2031년까지 환승주차장, 컨벤션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등의 복합환승센터, 다목적 스포츠 콤플렉스, 그린에너지(수소융복합시설) 등 광역교통 연계 융복합 자족도시로 개발된다.신경주와 경상권 지역에 부족한 교통망을 구축하고, 신경주역을 중심으로 지역특화산업(양성자, 원자력)을 비롯해 전통적인 역사문화관광이 융·복합된 거점 조성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의 견인차 역할이 크게 기대된다.경주시가 자동차 부품산업의 잠재적 위기를 새로운 도약과 혁신의 계기로 만들고자 도내 노·사·민·정과 함께 힘을 합쳤다. 이 프로젝트는 경북도를 비롯해 경주, 영천, 경산에 소재한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부품산업 대혁신으로 지역 상생의 미래차 부품산업 수퍼 클러스터를 조성해 산업 및 노동 전환에 따른 일자리 유지, 인력양성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경주 소재 (주)다스, 에코플라스틱(주), 영신정공(주) 3개 기업 등 총 10개 기업은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산업구조를 미래차 부품산업 위주로 전환하기 위해, 2025년까지 5천880억 이상을 투자하고 800여명의 고용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지역에 미래차 부품 혁신센터, 일자리 혁신파크, 글로벌비즈니스지원센터 등을 구축하여 RD, 생산, 판매 등 분야별 지원, 설비투자 지원, 지방세 감면 등의 세제혜택이 포함돼 있다.경주시의 원전사업은 지역 혁신 성장의 큰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시는 동경주 지역 150만㎡(46만평) 부지에 2030년까지 총 3천170억을 투입하여 SMR 등 혁신원자로 제조 및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과 집적화, 혁신형 i-SMR 수출모델 공급망 구축 등 산업생태계를 조성하여 미래 세계 원전수출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지난해 7월 착공한 SMR 1단계 사업인 ‘문무대왕 과학 연구소’가 순항 중에 있으며, 중수로해체기술원 설립, 소형 모듈원자로에 적용할 수 있는 ‘초임계 CO2 발전 시스템 기술개발 협약’ 체결, 산학연·유관기관과 ‘경주 SMR 국가산단 유치 협력 및 지역 상생발전’ 협약 체결 등 SMR 국가산단은 경주가 최적지임이 분명해졌다.특히 SMR 국가산단 입주의향 및 설문조사 결과 현대엔지니어링 등 원전 관련 우량강소기업 225개 기업에서 참여의향을 밝혔으며, 1천여 명 이상의 석·박사 전문 인력 상주, 배후단지 조성, 고용창출 등 미래 원전 먹거리 산업의 효자로 부각되고 있다.
2023-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