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 도심 곳곳은 관광객 물결로 넘실

등록일 2023-06-04 18:03 게재일 2023-06-05 17면
스크랩버튼
주낙영 경주시장
주낙영 경주시장

경주 도심 곳곳과 지역 대표 관광지 등에 관광객과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대릉원, 불국사, 동궁과 월지 등 3곳을 찾은 관광객 수는 58만7천945명으로 전년 동기(43만5천61명) 대비 35% 증가했다.

또 지난 1월부터 정식 집계가 가능한 지난달 황리단길 방문객 143만2천331명을 합치면 총 202만276명으로 5월 경주는 관광객들로 초만원을 이뤘다.

지난달 26일 금리단길 ‘불금예찬’ 야시장이 개장하면서 8천명의 인파가 몰려 첫날부터 준비된 먹거리 재료가 소진되는 등 문전성시를 이뤘다.

대릉원 무료 개방과 천마총 발굴 50주년을 기념해 ‘2023 경주 대릉원 미디어아트’가 4일까지 한 달 간 운영됐다. 이번 행사는 대릉원에서 출토된 유물의 고고학적 가치를 현시점에서 재고하는 동시에 이를 첨단 ICT와 예술적 가치를 결합한 새로운 시각적 콘텐츠로 연출함으로 관람객들에게 신개념 역사교육의 현장을 제공했다. 무엇보다 대릉원 전체를 미디어아트 영역에서 연출하기 위해 인공적인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고 대릉원 고분군의 구조적 특성을 있는 그대로 살리는 방향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구성했다.

또 미추왕릉 설화를 토대로 제작한 키네틱 그림자 연극, 천마총 내·외부 미디어 파사드, 발굴 유물로 제작한 바닥 조명, 신라의 별자리 라이팅 아트 등 다양한 영역의 미디어 아트는 흥미와 감동을 동시에 선사했다. 또한 구도심 중심 상권인 금리단길에서 열리고 있는 골목야시장 ‘불금예찬’이 원도심 활성화를 견인하고 있다.

지난달 26, 27일 이틀간 열린 경주 중심 상권 골목야시장 불금예찬에 약 8천명의 시민과 관광객이 다녀가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특히 올해 야시장은 지난해 아쉬웠던 부분들이 대폭 보완됐다. 방문객들이 편하게 앉아 생맥주와 먹거리 등을 먹을 수 있는 공간 외에도 셀러와 판매품목도 다양화했다.

또 먹거리와 프리마켓 부스를 대폭을 늘려 가리비치즈구이, 오코노미야끼, 육전, 닭꼬치 등 풍성한 메뉴와 함께 다양한 소품을 판매하고 타로카페도 입점 시켜 색다른 재미를 선보였다.

야시장은 10월 28일까지 6개월 동안 열린다. 6월과 9월은 매주 금요일, 8월과 10월은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에 야시장이 열린다. 운영시간은 오후 6시부터 11시까지다.

경주 동부사적지 ‘첨성대’ 일원 3만9천584㎡ 규모의 단지에 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붉은 양귀비꽃과 노란 금영화가 만개해 관광객들을 눈길을 사롭잡고 있다.

만개한 꽃양귀비와 금영화는 지난해 가을 파종 후 생육한 꽃으로 더욱 풍성한 꽃을 자랑하고 있다. 또 라넌큘러스, 루피너스, 마가렛 등이 함께 만개해 다채로운 색을 느낄 수 있다.

경주 형산강 금장대와 시내 일원을 희망의 연등 불빛으로 수놓았던 ‘2023 형산강 연등문화축제’가 27일일간 대장정을 마치고 29일 화려한 막을 내렸다.

개막식의 하이라이트인 제등행렬은 개막식 무대에서 영마을 삼거리를 지나 봉황대로 이어지는 3.1㎞ 구간으로 취타대를 앞세워 연등을 손에 들고 불빛으로 경주 일원을 가득 채웠다.

경주에서만 즐길 수 있는 수준 높은 국악여행도 경주의 새로운 볼거리이다. 공연은 지역 관광명소인 교촌마을, 월정교 광장, 첨성대 광장, 보문호반 광장 등에서 지난 달 2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총 20회 펼쳐진다. 지역의 대표 야간관광인 프로그램인 ‘신라달빛기행’도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월정교 안내부스에서 백등을 받은 뒤 백등에 손수 그림을 그리고 소원을 적어 나만의 백등을 만든다. 이후 백등을 들고 달빛을 따라 계림과 월성해자, 첨성대를 차례로 둘러보는 일정이다.

옛 경주역이 ‘경주문화관 1918’로 탈바꿈하는 등 복합 문화공간으로 변신해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그 중심엔 1918 콘서트가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달 20일은 ‘소란’, 이달 10일은 ‘KCM&원슈타인’ 등 8월까지 총 5회의 미니 콘서트가 펼쳐져 토요일 경주 밤을 들썩인다.

매주 열리는 세계 유일의 고분 콘서트인 ‘봉황대 뮤직스퀘어’ 관광객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주는 이제 스마트 관광도시조성, 사계절 축제 운영, 보문관광단지 리모델링 등의 관광산업 혁신을 통해 글로컬 관광도시 조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시·군 단체장의 ‘우리고장은 지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