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기창 안동시장
민선 8기 반환점을 돌며 ‘새로운 안동’을 위해 달려온 안동시의 2024년이 이제 마무리돼간다. 올해 안동시는 자타가 공인하는 ‘문화도시 안동’으로서의 발전과 더불어, ‘산업도시 안동’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한 결과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
‘백절불굴 중력이산’, 백 번 꺾여도 굴하지 않고, 시민과 함께 힘을 모으면 큰 산을 옮길 수 있다는 자세로 한 해를 보낸 안동시의 주요 성과 중 △지방시대 3대 특구 석권 △사계절축제 정착 △서울광장에서 열린 직거래장터를 돌아본다. □ 전국에서 유일하게 3대 특구 석권
안동시는 대한민국 문화도시, 교육발전특구에 이어 기회발전특구에 선정되며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3대 특구를 석권했다.
문화도시는 지역의 특색있는 문화자원을 활용해 관광자원 등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시는 ‘유쾌한 놀이문화도시, K-play hub-안동’을 비전으로 전통문화의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할 사업을 추진한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대학 그리고 기업이 함께 힘을 모아 공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시는 온종일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활용한 K-인문 인성교육과 더불어 지역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에 힘쓴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제·재정지원, 규제특례, 정주여건 개선 등을 지원하는 것으로, 경북바이오 2차 일반산업단지로 이전하는 기업은 법인세 등 세금을 5년간 감면받고 각종 규제도 완화된다.
3대 특구 석권을 바탕으로 우리시는 신규 일자리 창출, 지역 혁신인재 양성, 관광 활성화 등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를 벗어나 사람이 오히려 찾아오는 안동을 만들고자 한다. □ 봄부터 겨울까지, 사계절 축제 정착
민선 8기부터 거리형, 참여형으로 전환한 사계절 축제가 정착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그간 시는 ‘성공적인 축제는 축제를 찾는 관광객에게 그 도시의 좋은 이미지를 남기게 되며, 지역을 다시 방문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는 생각으로 축제의 혁신에 노력해왔다.
올해 봄 차전장군노국공주축제 45만, 여름 수페스타 및 월영야행 30만, 가을 탈춤페스티벌 148만 명 방문으로 기록적인 성과를 이룩했으며 겨울에는 암산얼음축제가 열릴 예정이다.
특히 탈춤페스티벌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한국의 탈춤’을 선보임은 물론, 역대 가장 많은 25개국 48개 해외 공연단과 함께했고, ‘더본존’을 통해 탈춤을 스토리텔링한 음식으로 방문객의 입맛을 충족시켰다는 평가와 함께 안동 먹거리의 가치를 확인하며 글로벌 축제로서의 가능성을 열었다. □ 안동의 맛과 멋으로 들썩인 서울광장
민선 8기 안동시는, 지역 농축특산물의 유통 혁신과 경쟁력을 확보, 전 세계로의 판로 확대를 위해 공격적이고 획기적인 판매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도시 장터를 기획해 안동의 농축특산물로 직거래장터 ‘왔니껴 안동장터’를 열었다.
안동시 최초로 서울광장에서 진행한 직거래장터에서는 안동한우, 안동사과, 안동산약 마, 안동생강, 안동고구마, 안동간고등어와 더불어 백진주쌀, 안동문어 등의 품목을 판매하는 54개 농가·단체가 64개 부스에서 고객을 맞았다.
입소문을 타고 인근에서 찾아올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얻은 장터에는, 3일간 약 12만 명이 몰렸다. 그 결과 행사장에서 약 17억 원의 매출액을 올렸고, 현장 매진의 영향으로, 28일 방송된 홈쇼핑에서 안동사과가 완판을 기록하며 3억 원가량의 매출을 기록했다.
안동은 세계문화유산과 무형유산, 기록유산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3대 카테고리를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관광거점도시와 대한민국 문화도시에 선정될 만큼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보유한 곳이다. 전통문화를 보여주는 것에서 벗어나, ‘안동이 만들고 세계가 즐기는’ 새로운 콘텐츠로 천만 관광객 시대를 열어야 한다.
또한, 문화도시로서 안동도 중요하지만,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성장도 중요하다.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백신산업 성장과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혁신에도 노력해, 적극적인 자세로 안동시의 미래 100년을 대비하겠다.
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