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현대·기아차 판매 54년만에 1억대 돌파

현대기아차가 지난 15일 자동차 1억대 판매 고지를 넘어섰다.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 지 불과 54년 만의 성과다.1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첫 판매를 개시한 지난 1962년부터 지난 15일까지 누적 판매량이 1억대를 넘어섰다.글로벌 완성차 회사 중에서 누적 판매가 1억대를 넘은 업체들은 폴크스바겐, 도요타, GM, 포드 등으로 1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대기아차의 급성장세가 돋보인다.현대기아차는 지난 1962년부터 올해 3월까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 6천402만대, 기아차 3천568만대 등 총 9천970만대를 판매해 4월 중으로 1억대 누적판매 돌파가 예상돼 왔다.현대기아차는 지난 1993년에 처음으로 1천만대 고지를 넘어섰으며 2008년 5천만대, 지난해 1월 9천만대를 돌파했다. 이후 1년 3개월 만에 1억대를 넘어선 것이다.2000년 당시 연간 243만대를 판매해 글로벌 톱10에 처음 진입한 현대기아차는 2014년, 2015년 2년 연속으로 연간 800만대 이상 판매해 톱5에 진입했다. 올해는 813만대 판매가 목표다.현대기아차는 지난달까지 국내 판매가 2천982만대였으나 수출 및 해외공장 판매를 합한 해외 판매는 6천988만대에 달해 해외에서만 70% 이상 팔렸다. 1998년부터 해외판매가 국내판매를 추월했고 지난 한 해 동안 팔린 802만대 중 해외판매 비중이 84%에 달한다.차종별로는 현대차 아반떼(엘란트라 포함)가 1990년 출시 이후 1천119만대가 팔려 최다를 기록했고 엑센트(824만대), 쏘나타(783만대)가 뒤를 이었다.기아차는 1986년 출시된 프라이드가 422만대, 1993년 세계 최초 승용형 SUV로 탄생한 스포티지가 403만대 팔렸다./연합뉴스

2016-04-18

“눈 속 뚫고 나온 울릉 산나물 맛보세요”

청정지역 울릉도 눈 속에서 자란 신비의 산나물 명이, 전호나물 등 울릉도 특산 산채들이 서울 성동구 이마트 성수 점에 선보이면서 서울 주부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이마트는 오는 13일까지 울릉도 특산 봄나물 모음 전을 갖고 명이 절임을 7천500원(250g), 1만 2천500원(450g), 전호나물, 부지깽이 각 1천980원(1봉지)에 판매하고 있다.싱싱한 울릉도 특산 산나물을 울릉도에서 직접 제공하는 조현덕 울릉산채영농조합대표는 “명이 절임 등 가공 산나물 약 60t, 부지깽이, 전호 나물은 하루 2t씩 썬플라워호 편으로 보내 서울에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울릉도에서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나물인 전호는 쑥갓을 연상시키는 모양새를 지녔고 부침개 요리에 제격이다. 부지깽이는 울릉도에서 된장과 꽁치 등을 함께 넣어 해장국을 끓여 먹는 봄철 입맛을 돋우는 별미다.특히 명이는 이른 봄 눈 속에서 자라 절임은 돼지고기와 찹쌀 궁합이다. 명이의 비늘줄기는 생약 명으로 각 총이라 하여 구충, 이뇨, 해독 및 감기 증상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나물이다.그밖에 자양강장, 정장, 피로 회복, 감기, 건위, 소화 등에 효과가 있다. 인경과 잎을 식용하며 미네랄과 비타민 함량이 많은 식품이다.울릉/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2016-04-11

구룡포수협서 판매 홍게 “수도권서 대박 났어요”

구룡포수협(조합장 김재환)이 수도권 지역에 오픈한 홍게 판매점이 대박을 터뜨리고 있다. 구룡포수협은 지난달 1일 경기도 광명 1호점에 이어 이달 중순께 부천에 2호점을 오픈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광명 1호점의 경우 오후 3시부터 밤 12까지 영업하며 하루 평균 200만~300만원의 매출이 꾸준히 이어져 구룡포 지역 홍게유통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특히 부천 2호점은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 중앙의 원미구 중동에 위치해 벌써부터 대박조짐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에서 판매되는 홍게는 100% 구룡포산이다.조합이 구룡포와 멀리 떨어진 경기도에 홍게전문점을 잇따라 개설하는 이유는 일종의 원조논쟁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요즘 너도나도 무한리필 홍게점을 오픈하면서 자칫 다른지역 홍게가 구룡포산으로 둔갑하는 것을 미리 막기 위한 조치다. 조합 측은 조합원들이 몫을 나눠 물류비를 해결하기 때문에 개인에 비해 훨씬 경쟁력 있는 홍게 가격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지역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이 때문에 구룡포 홍게 유통 시장도 덩달아 활기를 띠고 있다. 예전에는 잡히는 대로 개인이 처분했지만, 요즘에는 대게처럼 조합을 통해 경매처분하고 있다.한 해 50억원가량 유통되는 홍게가 조합을 통해 팔려나가면서 안정된 판매처가 확보되고 가격경쟁력도 훨씬 높아졌다.조합을 통해 유통되는 또 다른 구룡포 수산물도 덩달아 잘 팔리고 있다. 오징어, 문어, 미역, 멸치 등도 인기가 높다. 2013년 4억1천여만원에 불과했던 판매실적이 2014년 4억7천만원, 2015년 6억8천만원으로 늘더니, 올 들어서는 벌써 4억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올 연말 매출 목표인 10억원 돌파도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구룡포수협 김재환 조합장은 “구룡포수협 간판을 내건 홍게판매점이 수도권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면서 “앞으로 더 많은 홍게전문점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6-04-07

한국 화장품 수출 5년새 3.5배 급성장

한국의 화장품 수출이 최근 몇 년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연간 3조원 규모에 육박했다. 한국산 화장품의 최대 수입국은 중국이었다.5일 관세청의 `최근 5년간 화장품 수출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화장품 수출 금액은 전년대비 53.1% 급증한 24억5천만달러(약 2조8천224억원)였다.2011년 6억9천800만달러에 불과했던 화장품 수출액은 5년 새 3.5배 수준으로 급성장했다. 2011~2015년 사이 연평균 수출액 증가율은 36.9%에 달했다. 지난해 수출 물량은 전년대비 39.8% 늘어난 9만491t이다. 2011년(3만1천606t)과비교해 약 3배로 증가했다.올해 들어서도 화장품 수출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지난 1~3월 수출액이 7억1천만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1.9% 증가했다.관세청은 “영화·음악·방송 등 한국 콘텐츠 분야의 인기에 따라 국내 화장품에대한 해외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우리나라가 지난 5년간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는 중국이다.작년 중국에만 9억9천950만달러가 수출돼 전체 수출액의 40.6%를 차지했다.2위는 홍콩(6억641만달러·24.8%)이었고 미국(2억735만달러·8.5%), 일본(1억1천369만달러·4.6%), 대만(1억671만달러·4.4%)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홍콩·대만 등 중화권 국가를 상대로 한 수출액이 전체의 70%가량에 이르는 셈이다.반면 2011년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수출상대였던 일본은 지난해 4위로 주저앉았다.한국이 화장품을 수출하는 국가는 2011년 118개국에서 2015년 131개국으로 늘었다./연합뉴스

2016-04-06

대구지역 백화점 일제히 봄세일 돌입

현대백화점 대구점과 동아백화점 등 대구지역 백화점들이 일제히 봄 정기세일을 시작한다.현대대구점은 31일~17일까지 올해 정기 봄세일을 열고 다양한 할인행사를 비롯해 무이자 할부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3일까지 현대백화점 카드로 단일 브랜드에서 30·60·100만원 이상 구매시 5% 상당의 현대백화점 상품권을 증정하고 100만원 이상 구매 시 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하며, 경품행사를 통해 100명에게 경포대에 위치한 씨마크(SEAMARQ)호텔 1박권(조식 2인, 부대시설 7만원 이용권)을 증정한다.7일까지 지하1층 대행사장에서는 `신데렐라 슈즈 페어`를 열고 12시 이전 구매고객에게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고 탠디, 슈즈브루니에서는 일일 3명 한정으로 초특가 판매하며, 바네미아는 일일 10명 한정으로 정상제품 20% 특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1일~3일까지 4층 시크릿 가든에서 `슈트의 완성, 남성정장 스타일 제안`이라는 타이틀로 닥스, 마에스트로 탠디 20~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4일부터 7일까지 지하1층 대행사장에서는 친환경 도자기 젠한국 특가 대전이 열리며, 8일부터 14일까지는 인기 아웃도어 패션 위크를 열고 디스커버리, K2,블랙야크,라푸마, 노스페이스 , 네파, 아이더, 밀레 등 이월상품을 50~30% 할인 판매한다.동아쇼핑점은 1일 당일 이랜드멤버쉽 고객을 대상으로 30·60만원 이상 구매시 1만5천원·3만원 상품권을 증정하며, 동아-대구은행 카드로 10만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 중 선착순 350명에게 5천원 상품권을 제공한다.해외브랜드 편집매장 럭셔리갤러리는 4월1일~7일까지 버버리, 토리버치 초대전 행사를 열고 버버리 핸드백, 지갑을 최대 50%, 토리버치 브랜드는 최대 40%까지 할인 행사를 진행하며, 페레가모 크로스백은 정상가격 대비 최대 30% 이상 할인 된 금액에 판매한다. 6층에서 열리는 `2016년 첫! 골프대전 행사`에서는 이월상품 최대 60~70%, 봄 신상품 최대 50%까지 할인 판매하고, K2 봄 산행 초대전에서는 바람막이 재킷과 티셔츠, 바지 등을 20~30% 할인 판매한다.아동의류 매장은 아동의류 특가전 행사를 통해 티셔츠와 바지 등을 정상가격 대비 최대 60~70% 할인 판매하며, 행사상품에 대해 티셔츠와 바지를 각각 3천원, 5천원에 균일가 판매한다.롯데백화점 대구점은 소다, 탠디 등의 유명 구두 브랜드 제품을 20~30% 할인하고 실리트, 햄튼, 타이거 등의 주방식기 제품을 최대 50% 할인하며 메트로시티, 러브캣, 루이까또즈 등의 핸드백 제품을 10% 할인하며, 상인점은 오는 31일부터 내달 6일까지 지하1층에서 `K2·아이더 패밀리 라이벌전`을 열고 최대 6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이곤영기자lgy1964@kbmaeil.com

2016-04-01

롯데마트 한달간 창립 18주년 할인

롯데마트가 창립 18주년을 맞아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27일까지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소비자 생활에 필요한 상품들만 골랐다는 의미로 `콕콕! 세일`로 이름 붙인 이번 행사를 위해 상품기획자들(MD)이 6개월 전부터 제철 신선식품, 주요 생활용품 등을 미리 준비했다는 게 롯데마트의 설명이다.우선 롯데마트는 행사 기간 대형 유통업체 최초로 항공편을 통해 직송된 `알래스카 킹크랩`을 선보인다. 롯데그룹 통합 마일리지 엘포인트(L.POINT) 회원은 `알래스카 활(活) 킹크랩`을 100g당 5천590원에 살 수 있다. 낚시로 잡아 비늘 손상이 거의 없는 900g 안팎의 `모로코 왕갈치(해동)`는 마리당 1만2천500원에 판매된다.아울러 죽향 딸기(500g 안팎·6천900원), 담양 딸기(500g 안팎·5천900원), 오메가 3 딸기(500g 안팎·4천900원), 무항생제 특란(30개·엘포인트 회원 3천원·비회원 6천원), 제주산 활 광어회(300g 안팎·1만9천800원, 국산 활 전복(4마리·1만원) 등 프리미엄급 상품도 준비했다.평소 할인을 거의 하지 않는 브랜드 제품들도 할인에 동참한다.주요 품목은 △제주 삼다수(2ℓ·6개) 4천500원(17% 할인) △하겐다즈 파인트 6천900원(엘포인트 회원가·비회원 9천500원) △테팔 컴포트 맥스 프라이팬(28㎝) 2만729원(20% 할인) △ 루미낙 유리냄비 6종 1만4천100원(40% 할인) 등이다.롯데마트는 31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7일간 5만원 이상 구매한 엘포인트 회원에게는 영국산 `킬너 드링킹 자(Kilner Drinking Jar·400㎖)`를 선물한다./김혜영기자 hykim@kbmaeil.com

2016-03-30

소비심리 살아나나…백화점 매출 `꿈틀`

최근 2년 동안 성장을 멈춘 백화점 매출이 올해 들어 조금이나마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1~2월 추위에 패션 상품이 많이 팔렸고, 결혼·이사철을 앞두고 가전·생활용품 판매도 활기를 띠고 있다. 환율 영향으로 해외 명품 매출 증가율도 두 자릿수에 이르고 있다.27일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4일까지 기존점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4.6% 늘었다. 2015년 1월 1일부터 3월 24일까지 기존점 매출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이 0.1%에 불과했던 사실과 비교하면 뚜렷한 변화다.품목별로는 패션·잡화 매출이 1~2월 본격적으로 추위가 찾아오면서 살아났다.신규 아파트 입주 수요와 `내 집 꾸미기` 유행 등에 힘입어 생활용품들도 잘 팔리고 있다.연초 원·달러 환율 인상(원화 가치 약세)의 여파로 면세점과의 가격 격차가 크게 좁혀지면서, 수입시계 매출도 38.8%나 불었다.롯데백화점의 1~2월 매출도 기존점 기준으로 5.4% 성장했다.패션·잡화(19.6%)의 증가율이 거의 20%에 이르렀고, 스포츠(8.7%)·아동(11.5%)·가구(16.3%)·주방용품(12%) 등도 간만에 두 자릿수 안팎까지 뛰었다.3월 들어 24일까지 매출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4.2% 많았다. 패션잡화(21.8%)·스포츠(4.5%)·여성의류(5.6%)·해외명품(11.5%) 등이 1~2월에 이어 판매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 백화점들은 다음 주 31일부터 다음 달 17일까지 18일동안 `봄 정기 세일(할인)` 행사를 진행한다./연합뉴스

2016-03-28

1인가구 증가 영향 빨랫비누 판매 늘어

국내 가구당 세탁기 보급률이 100%에 달할 정도로 기계세탁 의존도가 높아진 가운데 최근 손빨래용 세제인 빨랫비누 매출이 대형마트에서 오히려 증가 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16일 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 14일까지 세탁세제 종류별로 전년 대비매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세탁세제 매출이 9% 감소한 반면 빨랫비누(세탁비누) 매출은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같은 기간 세탁기에 사용되는 분말세제와 액체세제 매출은 각각 15%, 9% 감소했다. 이는 세제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구매 주기가 길어진데다 온라인 구매 증가 등의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2015년 매출을 보더라도 전체 세탁세제 매출은 전년 대비 8% 줄었지만 빨랫비누는 2% 늘었다.빨랫비누는 전체 세탁세제 매출에서 비중이 10% 미만이긴 하지만, 2년 연속 매출이 늘어나며 의외의 선전을 하고 있는 것이다.세탁기용 세탁세제는 처음에 분말형 세제에서 시작해 물에 쉽게 녹아 세정력을 높이는 액체형 세제로 진화해왔다. 2013년부터는 액체형 세탁세제가 이마트 내 세탁세제 매출 중 절반을 넘어섰다.최근에는 이보다 한 단계 진화한 캡슐 및 시트형 세탁세제가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이처럼 다양한 세탁세제가 출시되며 인기를 끄는 가운데 세탁기가 보편화되기 이전에 많이 사용되던 빨랫비누가 다시 인기를 끄는 배경은 1인 가구의 증가에서 찾을 수 있다.이마트 관계자는 “가구 구성원의 감소로 빨래의 절대량이 줄어들면서 굳이 세탁감이 모일 때까지 기다리기보다 그때그때 양말이나 속옷 등 작은 빨래를 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과도한 양의 세제를 사용하는 대신 손세탁으로 애벌빨래를 미리해 세정력을 높이려는 사용자가 늘어난 점도 빨랫비누 인기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연합뉴스

201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