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확산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세계에서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빅블러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블러(Blur)는 사전적으로 흐릿해진다는 의미로, 빅블러는 빠른 변화로 인해 기존에 존재하던 것들의 경계가 모호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특히 사물인터넷(IoT), 핀테크, 인공지능(AI), 드론 등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인 기술이 등장하면서 빅블러 현상이 대두됐다. 예컨대 금융회사 대신 핀테크를 이용해 해외 송금을 하는 것이나 온라인 지급결제 서비스가 온라인 가맹점을 내는 것, 온라인으로 신청해 오프라인으로 서비스를 받는 우버(Uber)나 에어비앤비(Airbnb) 등이 이에 해당된다.최근에는 간편 송금으로 대변되는 토스의 등장과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의 금융업 진출로 금융 소비자들은 기존 금융사 DNA와 다른 기업이 금융시장에 뛰어들었을 때 보다 더 간편하고 편리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경험했다.블록체인, 가상자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자산의 등장 역시 금융사 중심의 지급결제 시스템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 코로나19 팬데믹이 전세계의 비대면 생태계를 가속화하면서 금융사들의 대면거래, 대면영업이라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비대면거래가 일상화됐다. 이 와중에 네이버, 카카오 같은 플랫폼 기반의 빅테크 업체들의 금융시장 진입은 기존 금융권을 긴장시키고 있다.막강한 사용자 기반과 편의성, IT와 디지털을 무기로 금융은 물론, 유통, 물류,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며 빌 게이츠의 말처럼 ‘은행 없는 은행 서비스’가 가능한 시대에 이르렀다. 세계는 이미 빅블러 시대다./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