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은 코로나 팬데믹에 맞서 확진자 확산을 막기 위해 우리나라가 취한 방역대책을 가리킨다. 바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른바 3T(추적·검사·격리)로 대변되는 정책이다. 그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확진자 확산을 늦추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널리 확산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K방역을 시행하면서 해외에 비해 감염으로 자연면역을 얻은 경우가 적고, 백신 접종률도 높은 것이 코로나 유행기간을 다른 나라보다 더 길어지게 하는 부작용을 낳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른바 ‘K방역의 역설’이다.
실제로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벌써 200만 명을 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1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9만5천362명 늘어 누적 205만8천184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일주일 전인 지난 14일(5만4천615명)과 비교하면 1.7배가 됐고, 2주 전인 7일(3 5천281명)의 2.7배에 달한다.
국내 확진자는 첫 확진자 발생 후 1년 10개월여 만인 지난해 12월 10일 누적 50만명을 넘어섰는데, 그로부터 약 2달 만인 지난 6일 50만 명이 추가로 늘어 100만 명대가 됐다. 이번에는 보름 만에 100만 명이 더 늘어 200만 명을 넘겼다.
문제는 신규 확진자 증가에 따라 위중증 환자도 늘고 있다는 점이다.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439명)보다 41명 늘어난 480명이다. 이는 지난달 20일(488명) 이후 한 달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위중증 환자 증가는 의료체계에 부담을 준다. 사망자수도 늘 수 밖에 없다. 누적 치명률은 0.36%다.
많은 이들에게 고통을 주는 K방역정책 전반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