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중국의 적반하장

등록일 2022-02-08 18:07 게재일 2022-02-09 19면
스크랩버튼

조선시대 화가 김홍도의 풍속화를 보면 당시 복식과 풍속을 나름 짐작할 수 있다. 그의 독특한 화법으로 그려진 풍속화 하나로 당시 생활상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 있는 일이다.

전통 복식이란 그 민족이 가진 오랜 정체성의 표현이다. 김홍도의 그림에서처럼 옷 하나로 그 민족이 가진 고유한 사상과 관습 등을 엿볼 수 있다. 비록 입는 옷이지만 민족정신이 깃든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한국의 한복을 비롯 일본의 기모노, 베트남의 아오자이, 만주족의 치파오 등이 이런 종류의 옷으로 다른 나라에선 베낄 수 없는 독자적 민족문화의 하나다.

복식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전통 한복의 유래를 고구려 고분벽화(4∼6세기)에 나타난 그림에서 찾는다. 남성과 여성이 모두 저고리에 해당하는 긴 상의를 입고 바지 차림이다. 신라와 백제 유물에서도 동일한 유형의 유물이 나와 시기적으로 보면 우리 민족의 한복 역사는 1천600년 전으로 거슬러 간다.

2022 중국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 중국 소수민족 대표가 한복을 입고 등장해 논란을 빚었다. 중국이 김치와 삼계탕에 이어 이번에는 한복까지 문화공정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국민적 비판이 크다. 중국의 문화 침탈이 이젠 도를 넘었다는 여론이다.

한복은 영국의 옥스퍼드 영어사전에도 한국의 전통의상으로 소개된다. 누가 뭐래도 우리 고유 의복임이 틀림없다. ‘대장금’ 등 우리나라 사극(史劇)이 외국에서 인기를 끈 배경에도 우리 고유 한복의 아름다움이 한 몫한 탓이다.

중국의 역사 왜곡이 한두 번 아니지만 한복(韓服)을 중국의 한복(漢服)에서 유래했다는 그들의 주장이야말로 적반하장이다. 중국의 문화공정에 대한 국민적 경계심 더 높여야겠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