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전국 음식점 66만개… 국민 78명당 1곳

1인 가구 증가와 프랜차이즈 업체가 크게 늘면서 국내 식품·외식산업 규모가 2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외식업의 경우 급성장하는 만큼 경쟁도 심화하면서 음식점 수가 국민 78명당 1개씩 존재할 정도로 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식품산업 규모 및 산업구조 파악에 필요한 각종 통계지표를 수집·정리·분석한 `2017년도 식품산업 주요통계`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식품·외식산업 규모는 약 192조 원(식품제조업 84조 원, 외식업 108조 원)으로 집계됐다.식품제조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6.8%, 외식업은 8.9%로,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연평균 성장률(3.6%)을 크게 웃돌았다.이 중 외식업 산업현황을 보면 2015년 음식점(주점업 포함) 사업체 수는 전년 대비 0.9% 증가한 66만 개였다.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 5천153만 명 기준으로 환산하면 78명당 1개가 존재하는 셈이다.2005년(53만 개)과 비교하면 10년 새 음식점 수가 24% 급증했다.외식업 종사자 수는 195만 명으로, 서비스업종 중 종사자 수가 가장 많았다. 농식품부는 1인 가구 증가와 외식업 프랜차이즈의 꾸준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외식시장이 급성장했다고 분석했다.그러나 외식시장의 급성장은 그만큼 경쟁 심화로 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실제로 전체 66만 개 음식점 중 종사자 5인 미만의 소규모 음식점이 86.5%로, 10곳 중 9곳 가까이가 영세 식당이었다.반면 종사자 수 10인 이상 음식점은 1만8천 개로 전체 음식점업의 2.7%에 불과했다.업종별로는 한식 음식점업(30만4천여 개) 개수가 가장 많았고, 커피숍 등 비알콜 음료점업(5만9천여 개), 분식·김밥전문점(4만3천여 개), 치킨전문점(3만2천여 개) 순이었다.식품제조업 시장의 경우 음식료품 제조업 사업체 수가 총 5만7천954개소로 집계됐으며, 종사자 수는 33만 명으로 집계됐다.식품제조업 중에서도 급성장한 분야는 건강기능식으로, 소득증대에 따른 웰빙에 대한 관심도 증가와 기대 수명 증가 등으로 관련 품목의 출하액이 2005년 4천억 원에서 2015년 2조2천억 원으로, 무려 약 5.6배 급증했다.농식품부는 식품제조기업 가운데 지난해 매출액이 1조 원을 넘어선 곳은 총 21개사로, ㈜한국인삼공사, ㈜SPC삼립 등 2개사가 지난해 추가됐다고 밝혔다.10년 전인 2005년에는 매출 1조 기업이 단 네 곳에 불과했다.매출 1위 규모 기업은 약 4조9천억 원의 매출을 올린 CJ제일제당㈜이었다./연합뉴스

2017-09-11

추석 열흘 황금연휴… 대형마트 `하루` 쉰다

추석 열흘 황금연휴에 대형마트들은 단 `하루`, 백화점들은 `이틀`만 쉬고 정상영업을 한다.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추석 연휴인 9월 30일부터 10월 9일까지 전체 158개 점포 가운데 118개가 일요일인 10월 8일 하루만 휴점하고 정상영업을 할 계획이다.10월 8일은 10월의 두 번째 일요일이기 때문에 의무휴업일이다.대형마트는 관련 법에 따라 매월 주말 이틀을 의무적으로 쉬어야 한다. 이들 점포는 추석 당일인 10월 4일에는 영업시간을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로 단축할 예정이다.나머지 40개 점포는 추석 당일인 4일 쉬고 나머지 연휴에는 영업한다. 점포에는 자발적 근무자로 최소한만 배치되며 근무 인원에게 특별 수당을 지급한다.전국적으로 140개 점포가 있는 홈플러스는 점포별로 추석인 10월 4일이나 의무휴업일인 10월 8일 중 하루만 쉬기로 방침을 정했다.다만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고 있어서 점포별 휴무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롯데마트도 전체 120개 점포 중 32개 점포가 추석 당일 하루만 쉴 예정이다. 나머지 88개 점포는 의무휴업일인 10월 8일 휴점을 하고 나머지 연휴에는 정상적으로 영업한다. 다만 아직도 휴점 일정을 놓고 지자체와 논의하고 있어 휴점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고 롯데마트는 전했다.대형마트들은 이번 추석 예약판매가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추석 연휴가 무려 10일에 이르는 만큼 매출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연합뉴스

2017-09-11

갤노트8-V30 하반기 맞대결 스타트

이달 중순 펼쳐질 갤럭시노트8과 V30의 맞대결을 앞두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본격적인 마케팅에 돌입했다.삼성전자는 6일 갤럭시노트8의 출고가를 64GB 모델 109만 4천500원, 256GB 모델125만 4천원으로 확정하고 7일부터 14일까지 사전 판매에 나선다고 밝혔다. 15일부터 사전 구매 고객 우선 개통에 들어가고 21일부터 일반 판매가 시작된다.체험 매장인 3천800여개 S·ZONE을 비롯해 삼성전자 홈페이지와 전국 디지털프라자, 각 통신사 온라인 몰과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사전 구매를 신청할 수 있다.삼성전자는 사전 판매 기간 256GB 모델 고객에게는 하만 AKG 블루투스 스피커 또는 네모닉 프린터(각 16만 9천400원 상당)를, 64GB 모델 고객에게는 신형 기어 VR등을 구입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10만원 할인 쿠폰을 증정한다.또 이달 15일까지 갤럭시노트8을 체험할 수 있는 역대 최대 규모의 사전 체험존을 운영한다. 전국 84곳의 핫플레이스에서 갤럭시노트8의 S펜으로 GIF 파일을 만들어 전송하는 `라이브 메시지` 기능이나 듀얼 카메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갤럭시스튜디오`다.이동통신사들도 갤럭시노트8의 사전 예약을 앞두고 마케팅 경쟁에 가세했다.SK텔레콤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1천200여개 공식인증매장에서, KT는 900여개 KT S·ZONE 매장에서, LG유플러스는 500여개 매장에서 사전 체험존을 운영하고 있다.통신3사는 갤럭시노트8 구매 고객을 위해 할부 금액에서 최대 56만원이 할인되는 제휴카드, 향후 갤럭시노트8을 반납하고 기기를 변경하면 출고가의 최대 50%까지보상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준비했다.LG전자도 이날부터 V30의 체험존 운영에 나섰다.서울 용산역사, 강남 스퀘어, 롯데시네마 건대입구, 부산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대전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점 등 5개 도시에서 주요 지점에서 13개 체험존을10월 중순까지 운영한다.방문 고객은 LG V30(무게 158g·7.3mm)의 얇고 가벼운 디자인, 영화처럼 촬영할수 있는 기능인 `시네 비디오`, 하이파이 사운드, 한국어 구글 어시스턴트, LG 페이등을 경험할 수 있다. LG전자가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자체 체험존을 운영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V30의 사전 반응이 나쁘지 않은 만큼 제품의 체험 기회를 확대해 승부를 거는 모습이다. 전작인 G6, V20 출시 때는 체험존을 설치하지 않았고 G5는 서울에서만 체험존을 운영했다.이외에도 이통3사 대리점, 가전제품 판매점 등 전국 3천여개 매장 내에 LG V30가 이날부터 전시된다.LG전자는 체험존 운영에 더불어 새로운 TV광고 2편도 7일 공개한다. V30 카메라가 크리스털 클리어 렌즈를 탑재해 어두운 상황이나 역광에서도 선명하고 생생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광고다.V30는 14일부터 사전 판매를 시작하고 21일 정식 출시한다. 가격은 90만원대 후반으로 예상된다. 예약 판매 사은품은 올해 출시될 구글 데이드림 뷰 신형 모델이다./연합뉴스

2017-09-07

울릉특산물로 만든 `한상도시락` 인기폭발

울릉도산 산나물로 만든 한상도시락본지 3월 21, 23일 11면 보도이 웰빙음식문화 바람을 타고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진 울릉군이 울릉도 산나물 판매를 촉진을 위해 본죽ㆍ본 도시락으로 유명한 국내 한식 프랜차이즈 본아이에프와 지난 3월 양해각서(MOU) 체결하고 울릉도 산나물로 만든 한상도시락 판매에 들어갔다.4일 울릉군에 따르면 본 도시락이 울릉도 특산물 등으로 만든 `울릉도 한상도시락`이 최근 폭발적인 판매율을 기록하며 인기 메뉴로 자리 잡았다는 것.지금까지 울릉도 나물 3종(미역취, 부지갱이, 삼나물)은 7천200㎏ 2억7천만 원 상당이 판매됐고, 독도 바다 해산물 판매로 수산물 8천650㎏, 5천만 원 상당이 본아이에프에 공급됐다.울릉도 한상도시락은 칼륨, 칼슘이 많은 미역취와 비타민이 풍부해 다이어트식으로 주목받는 부지깽이, 삼나물 등 울릉도산 봄나물 3종으로 나물밥으로 지어 독특한 맛을 자랑하는 영양 만점 밥과 고소한 우삼겹구이, 매콤한 오징어볶음으로 구성돼 있다.울릉도 한상도시락은 본 도시락 제품 중 가장 호응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최근에는 독도 인근의 청정 바다 해산물을 가득 넣어 만든 `독도 콩깍지고둥죽`과 `독도 새우해물솥밥`도 인기메뉴로 자리잡았다.김철호 본아이에프 회장은 “울릉도·독도의 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메뉴를 개발하고 고객을 대상으로 울릉도 독도 체험여행 이벤트도 개최하는 등 브랜드 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울릉/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2017-09-05

“추석 장보기 벌써 겁난다”

추석이 다가오면서 선선한 바람이 불고 있지만, 먹거리 가격 상승세는 식을 줄 모르고 있다.채소류 등 신선식품 가격이 고공행진하면서 추석물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장바구니 물가 상승은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민간 소비 회복세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된다.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6% 올랐다. 2012년 4월 이후 5년4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최근 물가 상승은 장바구니 물가와 관련이 깊다.지난달 신선식품 지수가 18.3% 상승, 2011년 2월 21.6% 오른 이후 6년 6개월만에 가장 많이 뛰었다.신선채소와 신선과실이 나란히 전년 대비 22.8 상승했다.식품가격 급등으로 생활물가지수도 3.7% 올랐다. 이는 5년8개월 만에 가장 크게오른 것이다.최근 식품가격 상승은 폭염과 폭우 등에 따른 채소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이다.문제는 식품가격 상승세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며, 상승 폭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신선식품 지수는 지난해 8월부터 13개월 연속 올랐다.상승률은 지난 6월 10.5%로 10%를 넘어서더니 7월 12.3%를 기록했고, 8월에는 18%대로 치솟았다. 이를 반영한 생활물가 지수 역시 지난해 9월부터 12개월 연속 상승했다.올해 들어 2%대 상승률을 유지하다가 7월부터 2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나타냈다.지난 1일 기준 배추 도매가격은 1포기 6천68원으로, 평년의 2배 수준이었다. 전월과 비교해도 가격이 55.0% 올랐다.청상추(4㎏) 도매가는 4만8천39원으로 평년보다 103.5% 올랐다. 오이와 애호박도 각각 평년 대비 112.9%, 137.1% 비쌌다.그 외 감자(72.7%), 건고추(25.7%), 깐마늘(12.9%), 대파(16.4%) 등도 평년보다가격이 많이 오른 상태다. 무와 양파는 전월에 비하면 가격이 10% 이상 하락했지만, 여전히 평년에 비하면비싼 수준이다.과일 중에서는 배가 전월보다 40.1% 떨어진 반면, 사과는 15.9% 올랐다. 포도는 평년보다 23.0% 높은 수준이다. 축산물 가운데에는 `살충제 계란` 사태 여파로 계란이 전월보다 25.3% 내리고 닭고기도 9.4% 내렸다. 두 품목 모두 평년보다 가격이 싸다. 그러나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최근 가격이 하락세임에도 평년보다는 각각 5.1%, 14.5% 비싼 수준이다./연합뉴스

20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