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트럼프 관세 2심서도 위헌 판결···연방대법원 최종 판단 ‘촉각’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한 ‘트럼프 관세’가 법원에서 두 차례 연속 위헌 판결을 받았다. 연방대법원 최종심을 앞두고 시장과 산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30일 주요 외신들은 29일(현지시간) 워싱턴 연방순회항소법원이 트럼프 대통령이 발동한 ‘상호관세’와 ‘펜타닐 관세’가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하지 않은 위헌 조치라고 판결했다고 전했다. 이로써 5월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트럼프 정부는 패소했다. IEEPA는 대통령이 비상사태를 선포하면 수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지만, 관세 부과 권한은 명시돼 있지 않다는 점이 핵심 쟁점이었다. 원고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권한을 자의적으로 확대 해석했다”고 주장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번 판결이 확정되면 두 관세로 거둔 약 517억달러(약 71조9302억원)의 세수는 납세자에게 돌려줘야 한다. 다만 철강·알루미늄 등 ‘분야별 관세’는 별도 법률(통상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유지될 수 있어, 대체 관세 부과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백색가전·캔음료·포장 의약품 등으로 이미 확대된 분야별 관세가 향후 더 넓게 적용될 가능성을 지적한다. 이외에도 1930년 관세법 338조 등 여러 법률이 추가 근거로 거론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방대법원에 상고할 방침이다. 대법원은 보수 성향 판사가 다수지만, 관세 정책 권한이 의회에 있다는 헌법 조항과 대통령의 비상 권한이 충돌해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최종 판결은 연말에서 내년 봄 사이에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2025-08-30

국민의힘 대구시장 판도마저 ‘전한길’에 휘둘리나?

2026년 지방선거를 8개월 여 앞두고 국민의힘 대구시장 후보 쟁탈전이 점입가경이다. 연일 국민의힘을 향한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 전직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대구시장으로 나온다면 무조건 양보한다’고 밝히면서 판세가 요동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 위원장은 파면될 위기에 놓였다. 대통령실이 이 위원장을 직권 면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기 때문이다. 그러자 국민의힘은 ‘찍어내기’라며 이 위원장의 직권 면직 검토를 철회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선 ‘이진숙 동정론’이 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런 당 안팎 분위기가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도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전씨는 지난 27일 미국 워싱턴에서 진행한 유튜브 실시간 방송에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대구시장 자리를 이 위원장에게 양보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대구시장 자리를 놓고 이 위원장과 경쟁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다”며 “이 위원장은 제 경북대 선배다. 대구시장은 이 위원장이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저는 공천 같은 것 안 받지만 설령 공천받는다 해도 이 위원장이 대구시장으로 나온다면 무조건 양보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전한길을 품는 자가 내년에 지방자치단체장이 되고, 전한길 품는 자가 향후 국회의원 공천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다음에 대통령까지도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내년 지방선거와 총선 공천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전씨가 차기 대구시장 후보로 이 위원장을 공개적으로 거론하면서 대구시장 판도가 요동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전씨가 지지한 장동혁 신임 당대표가 대선 후보였던 김문수 후보를 꺾고 당권을 쥐는 이변을 연출한 데 적잖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실제 김재원 최고위원은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서 그분(전씨)의 영향력은 우리 당원들이나 국민이 모두 확인한 바 있다”면서 전씨가 대구시장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최고위원은 “영향력 있는 분의 말이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제 전씨는 평범한 당원, 지지자가 아니라 공천에 영향을 줄 정도의 존재가 됐다”고 했다. 당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근식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은 “마치 공천이 다 된 것처럼 허장성세 떠는 건 과대망상 수준”이라며 “대구시장 후보까지 전한길에게 끌려다닌다면 승리를 낙관하기 어렵다. 국민의힘이 살 길은 전한길 퇴출 뿐”이라고 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전씨 뿐 아니라 전직 대통령까지 대구시장 선거에 특정 후보를 지원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며 “내년 대구시장 판도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현재 국민의힘 내에서 대구시장 후보로 거론되는 현역의원은 주호영(대구 수성갑)·윤재옥(대구 달서을)·김상훈(대구 서)·추경호(달성군) 의원 등이고, 원외에서는 홍석준 전 의원·우동기 전 지방시대위원장 등이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2025-08-30

홍준표, 정계은퇴 4개월 만에 ‘TV홍카콜라’ 재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유튜브 채널인 ‘TV홍카콜라’를 재개하기로 했다. 지난 6·3 대선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서 탈락한 뒤 탈당하고 정계은퇴를 선언한 지 4개월 여만이다. 홍 전 시장은 30일 페이스북을 통해 “비록 사기 경선 2번을 당하고 그 울분에 크게 실망해 당과 정계를 떠났지만 나머지 인생을 대한민국에 보은할 길이 무엇인지 숙고하고 숙고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홍 시장은 “7년 전 1인 미디어 시대가 올 것으로 예측하고 시작한 TV홍카콜라는 그동안 제가 현직에 있는 바람에 지난 5년 동안 실제 출연은 하지 않고 제 관련 정치 뉴스만 방송했다”며 "새로 시작하면서 이번에는 실제 출연해서 세상 사는 이야기를 토크쇼 형태로 방송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새롭게 시작하는 TV홍카콜라는 진영 논리에 매몰된 틀튜버(극우 유튜버를 비하하는 말)들과 편향된 일부 방송 매체와는 달리 진영 논리를 떠나 팩트와 정치 소신에 기반을 두고 세상사를 논하는 장이 될 것”이라며 “TV홍카콜라로 다시 세상과 만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홍 전 시장이 유튜브 채널 ‘TV홍카콜라’ 재개를 시작으로 정치 활동 재개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2025-08-30

웨딩·헬스시설 ‘가격·환불 기준’ 표시 의무화

공정거래위원회가 결혼서비스와 요가·필라테스 등 체육시설 유사업종에 대해 가격·환불 기준 등을 사전 공개하도록 하는 제도 개선에 나섰다. 헬스장·요가·필라테스 사업자는 보증보험 가입 여부까지 표시해야 한다. 소비자 피해를 줄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돕겠다는 취지다. 지난 29일 공개된 개정안에 따르면 예식장업·결혼준비대행업자는 기본 서비스와 선택 품목의 세부 내용, 항목별 요금, 계약해지 시 위약금 및 환급 기준을 사업자 홈페이지나 한국소비자원 ‘참가격’(www.price.go.kr), 또는 계약서 표지에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한다. 결혼준비대행업자가 제휴업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업체별로 해당 정보를 각각 공개해야 한다. 공정위는 사업자가 빠짐없이 기재할 수 있도록 ‘모범 작성 양식’도 제시했다. 그동안 예비부부들은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스드메) 패키지를 계약하면서 세부 가격이나 환불 규정을 알지 못한 채 ‘깜깜이 계약’을 맺는 사례가 많았다. 이로 인한 추가 비용 부담과 분쟁이 빈번했다. 요가·필라테스 사업자는 서비스 내용, 기본요금·추가비용 등 요금체계, 중도해지 시 환불 기준을 사업장 게시물과 고객 등록신청서에 명시하고, 광고에도 같은 내용을 기재해야 한다. 이들 업종은 선불 결제가 일반적이지만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적용을 받지 않는 자유업종으로,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최근 4년간 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 상담 건수만 요가·필라테스 4152건, 헬스장 1만1637건에 달했다. 세 업종 모두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표시해야 하며, 가입 시 보장기관명·보장기간·보장금액 등 세부 내용도 공개한다. 이는 휴·폐업이나 ‘먹튀’로 인한 선불 이용료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다. 문화체육관광부 조사에 따르면 이용자의 16.5%가 ‘먹튀’ 피해를 경험했으며, 이 중 68.3%가 아무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 박종배 공정위 소비자정책총괄과장은 “이번 개정으로 서비스·가격 정보, 환불 기준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신뢰를 높일 것”이라며 “관련 시장의 건전한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행정예고 기간은 9월 18일까지이며,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한 뒤 전원회의 의결 등을 거쳐 시행될 예정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2025-08-30

젤리 먹었다는데···포항 중학생 119명 식중독 의심증세

포항의 한 중학교에서 120명에 가까운 학생이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여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29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지난 28일 포항시 남구 소재 A중학교에서 119명의 학생이 구토와 복통 등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였다. 이 중 증상이 심한 64명은 조퇴를 하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다행히 하루가 지난 현재 학생들의 식중독 증상은 많이 호전된 것으로 파악됐다. A학교는 이날 오전 수업만 진행했으며, 급식도 모두 중지한 상태다. A학교는 주말 동안 학생들의 건강 상태를 지켜본 뒤, 다음 주 급식 재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번 식중독 사태에 대해 A학교 학생과 학부모들은 지난 28일 오전 포항교육지원청과 포항남부경찰서가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진행 당시 나눠줬던 젤리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피해를 입은 한 학생은 “젤리를 먹은 후 오전 내내 배가 아팠다”고 토로했다. 앞서 포항교육지원청은 캠페인을 위해 젤리와 문구류를 문구점에서 구매한 뒤 학생들에게 나눠준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당국도 사고 원인 파악을 위해 역학 조사에 나섰다. 포항시는 “이들 중 증세가 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속항원 검사를 진행했다”면서 “식중독 균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했다. 시는 추가로 학생들과 급식실 등에서 가검물을 채취해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 정밀 검사를 의뢰한 상태다. 정확한 원인 파악에는 3~4개월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포항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역학 조사가 끝나야 식중독 의심 증세 원인을 알 수 있다"면서 "정확한 원인 파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2025-08-29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사업주 장비 지급·교육 의무 명문화

고용노동부가 밀폐공간에서 발생하는 질식사고를 막기 위해 사업주의 안전장비 지급, 작업자 교육, 사고신고 의무를 강화한다. 최근 잇따른 사망사고로 드러난 제도 미비를 보완한다는 취지다. 29일 고용노동부(장관 김영훈)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하고 10월 10일까지 의견을 받는다. 개정안은 사업주가 밀폐공간 작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장비를 측정자에게 반드시 지급하도록 명확히 했다. 측정 결과와 공기 적정성 평가 자료는 3년간 기록·보존해야 하며, 영상 기록도 허용된다. 무엇보다도 감시인은 사고 발생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고용부는 “신속·안전한 구조와 2차 인명피해 방지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사업주는 작업 시작 전 작업자의 위험성 및 안전수칙 숙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흡할 경우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권창준 고용부 차관은 “실제 질식사고 사례를 분석해 재해 예방에 필요한 조항을 보완했다”며 “사업주의 법적 의무 이행을 위해 안전교육·재정지원을 확대하고 현장 지도·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입법예고안은 고용노동부(www.moel.go.kr) 또는 대한민국 전자관보(www.mo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견 제출은 우편·전자우편으로 할 수 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2025-08-29

대구 향후 2년간 아파트 입주 ‘1만 8000호’ 전망⋯"적정물량 미달"

대구지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오는 2027년 상반기까지 1만 8585호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적정 입주 물량으로는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29일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R114와 함께 발표한 향후 2년간 공동주택 입주 예정 물량 정보에 따르면 전국 입주 예정 물량은 올 하반기 12만 3743가구, 내년 20만 6923가구, 2027년 상반기 10만 2070가구 등 43만 2736가구다. 대구는 올해 하반기 6682호, 내년 1만 751호, 2027년 상반기 1152호 등 향후 2년간 입주 물량이 총 1만 8585호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공개된 입주 예정 물량 정보는 부동산원과 부동산R114가 보유한 주택건설 실적 정보, 입주자 모집 공고 정보, 정비사업 추진 실적, 부동산R114 정보 등을 활용해 산정된 것이다. 지역 부동산업계에서는 대구 아파트 적정 입주 물량을 1년에 약 1만 2000호 정도로 보고 있기에 수요의 부족함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대구에서는 최근 3년간 적정 수준의 2배가 넘는 약 8만호의 물량이 쏟아져 미분양 아파트가 급증하는 부작용을 낳았다"며 “반면 물량이 줄기에 미분양 상황이 해소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구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 7월 기준 8977호이며,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3707호에 이른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2025-08-29

대구 7월 미분양 주택 8977호⋯전년대비 0.2% 감소

대구의 미분양 주택과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모두 소규모 감소세를 보였다.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8977호로 전달(8995)에 비해 18가구(0.2%) 줄었다. 지역별로는 달서구가 2618호로 가장 많고, 동구(1427호), 북구(1267호), 수성구(1165호) 순으로 이어졌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역시 6월(3824가구)에 비해 3.1%(117가구) 줄어든 3707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달서구(1246호)가 가장 많고 서구(772호), 수성구(554호), 중구(479호) 순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미분양 주택은 전달(6482가구)에 비해 190가구(2.9%) 감소한 6292가구로 집계됐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6월(3207가구) 대비 0.9%(28가구) 늘어난 3235가구로 확인됐다. 대구·경북의 주택매매 거래량은 소폭 감소했다. 7월 대구의 주택매매 거래량은 2590건으로 6월(2611건)에 비해 5.6% 줄었고, 경북은 전달(2837건)에 비해 4.8% 감소한 2794건으로 조사됐다.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전체 주택 인허가 물량은 대구의 경우 올해 7월 449가구로 집계됐는데, 전년 동기(18가구)에 비해 2394.4% 증가했고, 경북은 437가구로 전년(240가구) 대비 82.1% 늘었다. 7월 말 기준 대구의 주택 착공 물량은 396가구로 지난해 동기간(22가구)에 비해 1700.0% 늘었고, 경북은 684가구로 전년(240가구) 대비 185.0% 증가했다. 7월 대구의 주택 분양 물량은 325가구, 경북은 0가구로 나타났다. 준공 물량은 대구가 1389가구로 전년에 비해 49.8% 줄었고, 경북은 289가구로 전년 대비 68.9% 줄었다. 한편, 7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 2244가구로 전월 대비 2.3%(1490가구) 줄었고, 준공 후 미분양 역시 전달에 비해 1.7%(834가구) 감소한 4만 8961가구로 확인됐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2025-08-29

안동댐 중금속 퇴적물 해법, 정책토론회서 모색

낙동강 상류 안동댐에 쌓인 중금속 퇴적물이 생태계와 수질에 치명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학계의 분석이 나왔다. 충남대 최만식 교수와 국립경국대 김영훈 교수는 29일 안동문화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안동댐 중금속퇴적물 문제 해결 정책토론회’에서 각각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퇴적물의 독성과 재용출 위험성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날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최만식 교수는 ‘안동댐 상류 하천·호소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기여도 및 독성’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최 교수는 “안동댐 상류 퇴적토에서 카드뮴, 수은, 아연, 비소 등 주요 중금속이 법적 기준을 6~10배 이상 초과해 검출됐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지역의 경우 저서생물의 생존율이 50% 이하로 떨어져 이미 생태계 붕괴 수준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낙동강 상류 퇴적물은 단순한 환경오염이 아니라 생태계 전반을 위협하는 독성의 집적지”라고 규정하며 “근본 원인인 제련소와 폐광산에서의 오염 배출을 차단하지 않는 한 문제는 계속 악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중금속은 특정 시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계절적 강우와 수위 변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태계와 수질에 악영향을 준다”며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뒤이어 발표한 김영훈 교수는 ‘안동댐 중금속 오염 유입 현황 및 용출 특성’ 발표에서 퇴적토에 숨어 있는 또 다른 위험을 지적했다. 김 교수는 “퇴적토 속 중금속은 안정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홍수기와 갈수기 등 수위 변동기에 재용출된다”며 “결과적으로 댐 수질을 직접 악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행 수질 관리체계는 수중 오염에 집중돼 있어 퇴적토 관리가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표층수 검사만으로는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퇴적토 자체를 포함한 통합 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교수는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가뭄이 잦아질 경우 퇴적토가 교란되면서 단기간에 폭발적인 수질 악화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안동댐의 안전성은 단순한 수질 관리로는 보장될 수 없다”며 제도적 보완과 장기적 정화사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은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이사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토론에는 신원식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손광영 안동시의회 부의장, 손경식 안동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이태규 낙동강사랑환경보존회 회장, 신기선 영풍제련소봉화군 대책위원회 회장, 강호열 낙동강 부산네트워크 대표가 참여해 안동댐과 낙동강 상류의 오염 실태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며, 정부 차원의 근본 대책을 촉구했다. 좌장을 맡은 김수동 이사장은 “안동댐 퇴적물 문제는 단순한 지역 현안이 아니라 영남권 1300만 주민의 식수 안전과 직결된 중대한 과제”라며 “정부, 기업, 지자체, 시민사회가 함께 책임을 나누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사진/이도훈기자 ldh@kbmaeil.com

2025-08-29

한국도로공사, 2025 디지털고객경험지수(DCXI) 2년 연속 1위

한국표준협회가 29일 발표한 2025년도 디지털고객경험지수(DCXI : Digital Customer Experience Index) 조사에서 한국도로공사가 시장형 공기업 부문 2년 연속 1위에 선정됐다. 디지털고객경험지수는 기업이 제공하는 다양한 디지털 채널을 통해 고객의 구매 및 소비 과정 전체에 걸친 경험 만족도를 평가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과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다. 이번 결과는 1년 이내 디지털 채널(홈페이지, 콜센터 등) 이용 경험이 있는 만 20세~60세 고객을 대상으로 △시스템 품질(사용용이성, 신뢰성 등 5개 항목) △정보 품질(정확성, 포맷 등 4개 항목) △개인화(공감성, 프라이버시) 항목에 대해 설문 조사를 통해 도출됐다. 한국도로공사는 하이패스, 휴게소, 콜센터 등 고객 접점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을 이끌어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국 고속도로에 하이패스 시스템을 고도화해 하이패스 이용률 92%를 달성했으며, 고속도로 휴게소에서는 로봇 셰프·바리스타를 도입해 심야 시간에도 간편하게 식음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콜센터 인공지능(AI) 보이스봇을 도입을 통해 2023년 대비 2024년 민원 만족도는 28.5% 상승했고,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민원처리 우수기관에 2년 연속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서비스의 디지털 혁신을 이어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2025-08-29

광복회 대구시지부, 제 115주년 경술국치 추념식 개최

광복회 대구광역시지부는 29일 제115주년 경술국치 추념식을 광복회 대구시지부 체험학습관에서 개최했다.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의 내각총리 매국노 이완용과 조선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고종황제의 반대를 무시하고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강제조약을 체결하고 이어 8월 29일 한일 병탄조약을 발표한 것을 ‘경술국치’라 한다. 이날 대구시 강경희 복지정책과장, 이재화 대구시의회 부의장, 김태훈 대구시교육청 부교육감, 김종술 대구지방보훈청장, 광복회원, 보훈단체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경술국치 추념식은 국민의례, 경술국치 연혁보고, 개식사, 추념사, 특별공연,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됐다. 우대현 광복회 대구시지부장은 개식사를 통해 “대일 항쟁을 통해 국민들의 하나 된 힘이 모여 빼앗긴 나라를 되찾고, 마침내 국민이 주인 되는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원동력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랑스러운 역사와 함께해 온 자주독립의 정신으로, 평화와 인류를 사랑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그 누구도 함부로 대할 수 없는 강한 나라 대한민국을 이루는데, 우리 모두 힘과 지혜를 모아 앞장서 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폐회 후에는 경술국치의 원통함을 상기하며 참석자 모두 찬 죽을 먹으며 그날을 상기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2025-08-29

국힘 지방선거 공천 기준 ‘투쟁력’…장동혁 “열심히 싸우는 분만 공천”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및 향후 총선 기준으로 ‘투쟁력’을 내세웠다. 열심히 싸운 사람들만 공천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29일 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교육원에서 열린 연찬회 마지막 마무리 발언에서 “열심히 싸우신 분들만 공천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잘 싸우는 정당으로 만드는 것이 혁신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며 “선거에서 이기는 정당으로 만드는 것이 저는 혁신의 출발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러 의원이 제대로 싸우는 사람이 공천받는 시스템을 만들어달라고 하지만, 많은 분이 나만은 예외이길 바란다”며 “예외 없이 싸우는 분들이 우대받는 정당으로 만들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TK) 등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여 투쟁에 앞장선 인사들을 공천하는 대신 내부 분열을 일으키는 인사들은 공천에서 배제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송언석(김천) 원내대표는 구체적인 실행 방향을 언급했다. 그는 “의원 활동 과정을 체계적으로 평가해 공천 자료로 쓰자는 의견이 반복적으로 제기됐다”며 “원내 행정국 중심으로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 검토하는 단계”라며 “당의 혁신 방안 일환으로 당헌당규 개정을 포함해서 진행 중”이라고 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2025-08-29

권성동 의원 국회 체포동의 절차 시작 예정

김건희 특검이 통일교 측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 요구서를 법원에 보낸 것과 관련, 법원이 이에 동의했다. 결국 국회 체포동의 절차가 시작될 예정이다. 서울중앙지법은 29일 오후 1시 20분쯤 김건희 특검에 권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 요구서를 보냈다고 밝혔다. 국회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요구서는 법무부를 거쳐 대통령 재가를 받은 뒤 국회로 제출된다. 이후 국회의장은 국회법에 따라 요구서를 받은 후 처음 개의하는 본회의에서 이를 보고하고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표결에 부쳐야 한다. 시한을 넘기면 이후 처음 열리는 본회의에 상정돼 표결하게 된다. 체포동의안은 재적 의원 과반이 출석하고 출석 의원 과반이 찬성하면 가결된다. 가결 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기일이 정해진다. 부결 땐 법원은 심문 없이 영장을 기각한다. 권 의원은 전날 “부당한 정치 표적 수사”라 주장하며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정기국회는 다음 달 1일 개원하지만 우원식 국회의장의 3일 중국 전승절 참석 일정 등을 고려할 때 이후 열리는 본회의에서 보고된 뒤 표결에 부쳐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정계에서는 내다봤다. 앞서 김건희 특검은 전날 통일교와 국민의힘 간 유착을 비롯한 각종 ‘통일교 의혹’의 정점에 있는 권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는 3대 특검 중 첫 현역 국회의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이기에 눈길을 끌었다. 권 의원은 지난 2022년 1월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로부터 1억 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윤씨의 수첩에는 ‘큰 거 1장 support’란 내용이 적혀 있었으며, 윤씨의 배우자 이모씨가 현금을 찍은 사진도 특검은 확인했다. 또한, 권 의원이 2022년 2~3월 한학자 총재로부터 금품이 담긴 쇼핑백을 수수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특검팀은 권 의원이 윤씨를 만난 이후 통일교 측과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권 의원이 통일교를 통해 2022년 대선을 앞두고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는 의심도 하고 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2025-08-29

與 의원들과 오찬한 李 대통령 “개혁과제 잘 추진해달라”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29일 오찬을 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 이후에 민주당 의원 전원과 만난 것은 처음이다. 민주당 수석대변인인 박수현 의원은 이날 오찬이 끝난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대통령과 민주당 의원들의 오찬 내용을 전했다. 박 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 초청 오찬에서 “제 말씀 한마디에 수천만 국민의 삶이 달려있다는 막중한 책임감으로 죽을힘을 다해 국정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민주당 의원들에게 “여러분께서도 지금이 역사의 변곡점이라 인식하고, 한분 한분의 책임이 정말 크다는 생각으로 임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한 뒤 “국민의 목소리를 작은 하소연까지도 들어드리고 소통하는 것이 설사 그 목소리에 다 응답할 수 없다 하더라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역구를 다니면서 많은 국민을 만나달라. 국회의원, 단체장, 지방의원들에 대한 평가가 좋으면 결국 국정에 대한 평가도 좋아지는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또 9월부터 시작하는 정기국회를 앞두고 “국회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 국회에서 개혁과제를 잘 추진해주시리라 믿는다”며 “제게는 지금보다 임기가 끝나는 날의 평가가 제일 중요하다. 말만 많이 하는 것보다 결과를 보여드리고자 한다. 말보다는 행동과 결과가 앞서는 국정을 운영해보고자 한다. 국회도 그랬으면 좋겠다”고 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이번 정기국회의 목표는 민생 개혁의 고삐를 단단히 죄는 것과 국민께서 명령하신 시대적 개혁 과제들을 반드시 완수하는 것”이라며 “생활 속 변화를 가져올 민생 법안을 통과시켜 국민의 눈물을 닦아드리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지금은 원팀 정신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며, 당정이 한 몸 공동체로서 끝까지 함께 뛰어 국민이 바라는 성과를 반드시 만들고,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2025-08-29

‘구속기소’ 김건희, “국민에 심려 끼쳐 괴로워…변명 안해”

‘구속기소’된 김건희 여사가 입장문을 통해 “국민께 심려를 끼친 이 상황이 참으로 송구하고 매일이 괴로울 따름”이라고 밝혔다. 29일 김 여사는 언론 공지를 통해 “주어진 길을 외면하지 않고, 묵묵히 재판에 임하겠다”며 “앞으로도 그 어떤 혐의에 관해서든 특검 조사에 성실하게 출석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께 심려를 끼친 이 상황이 참으로 송구하고 매일이 괴로울 따름”이라며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변명하지 않겠다”고 했다. 또 “가장 어두운 밤에 달빛이 밝게 빛나듯이 저 역시 저의 진실과 마음을 바라보며 이 시간을 견디겠다”고 적었다. 김 여사는 “지금의 저는 스스로 아무것도 바꿀 수 없고 마치 확정적인 사실처럼 매일 새로운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이 또한 피하지 않고 잘 살피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오늘 기소가 된 사항과 관련해 수사하시느라 고생하신 특검 검사님들께 감사하고 조사 때마다 저를 챙기시느라 고생하신 교도관님들과 변호사님들께도 감사하고 고맙다”면서 “앞으로 특검이 끝날 때까지 잘 부탁드린다”고 했다. 한편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오전 “특검은 김건희씨를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수사를 정식 개시한 지 59일 만이다. 김 여사는 2009∼2012년 발생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 돈을 대는 ‘전주’(錢主)로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 특검팀은 이 사건으로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등 9명의 유죄 판결이 확정됐고, 법원은 김 여사 계좌 3개와 모친 최은순 씨의 계좌 1개가 시세조종에 동원됐다고 판단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2025-08-29

경북도-경주시-한국아태경제협회 글로벌 투자 협력 MOU 체결

경북도와 경주시, (사)한국아태경제협회가 29일 ‘상생협력 파트너십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글로벌 투자 협력 강화에 뜻을 모았다. 이번 협약식에는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 송호준 경주시 부시장, 지영모 한국아태경제협회 이사장을 비롯해 주한 중국·베트남 대사관 관계자, 중국은행 및 중국공상은행 임원 등 국내외 경제·외교 인사 30여 명이 참석했다. 세 기관은 △경북 투자대회 및 2025 글로벌 비전 서밋, 포스트 APEC 성공 개최 지원 △글로벌 투자 동향 및 정보교류 △경북-경주시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협력 △외국인 투자 및 국내 유턴기업 유치 △청년 취·창업 지원과 국제문화교류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한국아태경제협회는 외교부 소관 국제경제협력 전문기관으로, 아시아·태평양 및 신흥국 간 경제·산업 교류를 활발히 추진해 온 사단법인으로 2013년부터 11차례에 걸쳐 한중경제협력포럼을 개최하며 국제포럼, 투자설명회, 기업 매칭 등 실무형 협력 사업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지영모 이사장은 “이번 MOU를 통해 협회가 보유한 아시아·태평양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경북과 경주가 국제 투자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중소기업 해외 진출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서 실질적 성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송호준 부시장은 “경주는 SMR을 비롯해 차세대 에너지, 모빌리티, 문화관광 산업을 아우르는 잠재력이 크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역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미래 신성장산업 기반을 더욱 탄탄히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양금희 부지사는 “이번 협약은 경북이 미래 전략산업과 첨단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투자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 투자유치와 신규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추진해 지역경제를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협약을 통해 경북도와 경주시가 국제 경제 무대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지역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8-29

대구시,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투자사업 4조 2754억 원 반영⋯역대 최대

대구시가 초유의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투자사업 기준 역대 최대인 4조 2754억 원(전년 최종예산 4조 433억 대비 약 6% 증가)을 반영시켰다. 이로 인해 대구시는 복지사업과 교부세를 포함한 국비 8조 원대 확보의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권한대행 체제 전환 이후 대구시는 △지방재정협의회(5월 21일) △제3차 재정정책자문회의(6월 18일) △민주당 대구시당 당정협의회(6월 26일) △국정기획위원회 방문(7월 10일, 7월 24일) △국민의힘 예산정책협의회(7월 25일) △경제부총리 예산협의회(8월 14일) 등 다양한 협의 채널을 총동원해 핵심사업의 당위성과 시급성을 강조하며, 중앙정부와 여·야 정치권 설득에 전념해 왔다. 2026년도 정부예산안 주요 반영 사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I·로봇·바이오·모빌리티 등 미래신산업 육성 분야에서 △지역거점 AX 혁신기술개발(198억 원)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성(576억 원) △모빌리티 부품 제조AI확산센터 구축(20억 원) △로봇기반 공간컴퓨팅 창업지원(15억 원) △뇌 오가노이드 상용화 플랫폼 구축(10억 원) 등이 반영됐다. 또 대구경북신공항 성공 추진 및 교통 허브 조성 분야에서 △대구산업선철도 건설(1918억 원) △대구경북신공항(민간공항) 건설(318억 원) △조야~동명간 광역도로 건설(300억 원) △달빛철도 건설(85억 원) △금호워터폴리스 산단 진입도로 건설(67억 원) 등이 반영돼 대구가 동북아 물류·교통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글로벌 문화예술 도시 건설 분야에서는 △디아크 문화관광 활성화(46억 원) △대구글로벌웹툰센터 조성(28억 원)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17억 원) △경상감영 복원정비(11억 원) △달성토성 복원정비(6억 원) 등이 반영됐고, △하수관로 정비(507억 원) △오수간선관로 설치(201억 원) △대구철도통합무선망(LTE-R) 구축(56억 원) △지하시설물 DB 정확도 개선(9억 원) △금호강 하천 조성(151억 원) △금호강 고모지구 하천환경 정비(87억 원) △명복공원 현대화(80억원) 등 시민 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국비 사업이 다수 반영됐다. 대구시는 현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에 맞춰 투자사업 국비 목표를 전년 대비 8% 증가한 4조 3600억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 국회의 예산 심의 과정에서 중앙부처 및 여·야 정치권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주요 국비사업이 최종 정부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정부예산안에 미래 신산업, 교통인프라, 문화·관광, 시민 안전 등 시의 핵심사업을 반영해 준 정부 관계자에게 우선 감사드리며, 이러한 성과는 대구시 모든 공직자가 하나로 힘을 모은 결과”라며 “국회 예산 심의가 끝나는 순간까지 국비 사업이 최대한 추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2025-08-29

경북도 2026년 국비 12조3000억 원 목표 순항

경북도가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주요 현안 사업들이 대거 반영되며 국비 확보 목표액인 12조3000억 원 달성을 향해 순항하고 있다. 특히, 새 정부 출범으로 국비 확보에 난항이 예상됐지만, 지역 발전을 이끌 핵심 사업들이 예산안에 포함되면서 경북의 미래 성장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정부 예산안에는 지역 사업뿐 아니라 국가적 프로젝트 예산까지 폭넓게 반영되며, 지역 균형발전과 신성장산업 육성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경북도가 지속적으로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협력해온 결과로, 지역경제 활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철우 지사도 대통령과 경제부총리, 국회 등을 직접 찾아 주요 정책과 예산 사업을 설명하며 예산 반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반영 사업으로는 APEC 성공 개최 이후를 대비한 ‘세계경주포럼’에 15억 원이 확보됐으며, 향후 행사장 관광 인프라 정비 및 역사유적공원 조성 등 추가 사업도 추진될 예정이다.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특별법 제정 노력도 결실을 맺어 △산불 피해목 제거 200억 원 △산불방지대책 96억 원이 반영, 주민 생활 안정과 산림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도 대거 포함됐다. △남부내륙철도(김천~거제) 2600억 원 △포항영일항 복합항만 개발 1112억 원 △영일만 횡단 고속도로 285억 원 △울릉공항 건설 1149억 원 등이 반영됨으로써 동해안과 내륙, 도서 지역을 아우르는 교통 인프라 확충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또한, 미래 원전시장 선점을 위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개발 636억 원 △SMR 제작지원센터 설립 26억 원도 방영됐으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LPG 배관망 구축 204억 원 △수소연료전지 발전클러스터 131억 원도 포함됐다. 농림·해양·문화·복지 분야에서도 △일반농산어촌개발 917억 원 △수리시설 개보수 850억 원 △하수관로 및 처리장 3075억 원 △국가지정문화유산 보수 500억 원 △신라왕경 복원 200억 원 △장애인가족 힐링센터 건립 60억 원 등도 국비예산에 반영됐다. 경북도는 앞으로도 정부안 반영에 안주하지 않고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국비 증액 확보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대통령 공약과 국민보고대회에서 제시된 사업 방향을 구체화해 향후 정부 협의 및 국회 대응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철우 지사는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도민의 삶과 경북 발전을 위한 국비 확보 노력은 한치도 소홀히 할 수 없다”며 “세계적인 APEC 성공 개최와 산불피해 지역의 재창조 등 도정의 주요 현안을 반드시 성과로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8-29

경북도 도시가스 보급률 끌어올린다…간담회 개최

경북도가 도시가스 보급률 제고와 대민 서비스 향상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경북도는 지난 28일 ‘도시가스 보급 확대 및 대민 서비스 향상’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고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에 대한 지원 확대, 공급 효율성 제고, 고객 민원 대응 개선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경북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71.6%로, 전국 평균 85.6%는 물론 도 단위 평균인 72.5%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18,424㎢)과 두 번째로 낮은 인구밀도(140.6명/㎢)로 인해 배관 투자 효율성이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 때문이다. 이에 경북도는 경제성이 낮은 지역에 보조금과 도시가스 회사 재원을 투입해 공급시설을 설치하는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지원사업’을 확대한다. 이 사업은 2015년부터 현재까지 1732억 원을 투입해 5만2000여 세대에 도시가스를 공급했으며, 앞으로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도시가스 공급비용 산정 시 최대 3%까지 투자보수를 가산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사업자는 50% 이상의 추가 재원을 확보해 미공급지역 보급에 전액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단, 요금 인상 우려가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어 공급 원가를 절감해 투자 여력을 확보하고, 산업체 및 연료전지 등 다양한 수요처를 확보해 인접 지역으로 공급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도시가스 개통 지연, 공급 중단, 공사 구간 포장 불량, 맨홀 소음, 검침 오류 및 요금 과다 청구 등 다양한 민원 사례도 공유됐으며, 이에 대한 대응 체계 개선과 서비스 품질 향상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도시가스 보급 취약 지역의 심각성을 다시금 인식하고, 보급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도시가스 회사 등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보급 확대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도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도시가스 보급률 제고뿐 아니라 고객 중심의 서비스 혁신을 통해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8-29

경주 문화외교의 중심에서 세계를 매료시키다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경주시에서 열린 ‘2025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가 대표단 관광 프로그램을 끝으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행사는 APEC 회원국 간 문화산업 협력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자리로, 경주는 역사와 현대가 어우러진 무대가 되어 세계 각국 대표단을 맞이했다. 이번 고위급대화는 APEC 역사상 처음으로 문화산업을 주제로 한 고위급 회의로, 디지털 콘텐츠, 전통문화의 글로벌화, 창작자 교류 확대 등 다양한 의제가 논의됐다. 회의는 경주의 황룡원에서 진행되었으며, 첨단 회의시설과 전통미가 어우러진 공간에서 각국 대표들은 문화산업의 지속가능성과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경북도와 경주시, APEC준비지원단은 회의장부터 숙박, 수송, 관광까지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참가자들은 “세계적 수준의 환대”라며 찬사를 보냈다. 특히 마지막날 열린 대표단 관광 프로그램은 경주의 정수를 담아냈다. 불국사의 고즈넉한 운치,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된 신라 금속공예의 섬세함, 대릉원의 웅장함과 개방감은 참가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월정교·반월성·동궁과 월지·첨성대 등은 버스 투어 중 설명을 곁들여 소개되며, 짧은 시간 안에 경주의 역사적 맥락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또한, 이날 오찬은 한국의 전통 한정식으로 제공됐으며, 채식주의자를 위한 별도 메뉴도 마련돼 세심한 배려가 돋보였다. 파브리시오 발렌시아 페루 문화부 장관은 “경주의 역사적인 장소를 둘러볼 수 있어 좋았다. 식사 또한 맛있었고, 새로운 맛을 경험할 수 있어 즐거웠다”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추천하고 싶고,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또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루디 알두나르 필리핀 대표는 “경주가 왜 역사적인 장소로 알려져 있는지 알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안내를 맡은 분의 설명도 훌륭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경주는 지난 2월 개최된 APEC SOM1(제1차 고위관리회의)에 이어 이번 문화산업고위급대화까지 성공적으로 치러내며, 국제회의 도시로서의 역량을 다시금 입증했다. 한편, 현재 APEC준비지원단은 역대 가장 성공적인 APEC 개최를 목표로, 2025년 11월 예정된 정상회의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북-경주는 이번 고위급대화를 통해 문화외교의 중심지로 부상하며,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8-29

포항서 울릉도 가는 뱃길 더 빨라져… 대저페리 ‘썬라이즈호’ 오늘 첫 출항

경북 포항과 울릉도를 잇는 초쾌속 여객선 ‘썬라이즈호’가 29일부터 본격 운항에 들어갔다. ㈜대저페리에 따르면 ‘썬라이즈호’는 총톤수 590t급 규모로 여객 442명을 수송할 수 있으며, 최대 속력 40노트(약 74km/h), 평균 35노트로 운항한다. 포항에서 울릉도까지의 소요 시간은 3시간 30분대. 영남권에서 출항하는 선박 가운데 가장 빠르다. 운항 일정은 포항에서 오전 9시 50분 출항, 울릉에서는 오후 2시 출항으로 매일 왕복 1회 운항한다. 대저페리 관계자는 “초쾌속 여객선의 부재로 인해 그간 많은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었는데, 이번 ‘썬라이즈호’ 투입으로 불편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가오는 가을 관광철과 추석 연휴 기간에도 빠르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썬라이즈호 차진봉 선장은 “오랜 경험을 갖춘 승무원들이 탑승객들을 가장 빠르고 편안하게 모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또한 ㈜대저페리는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개인 고객이 홈페이지에서 예매하면 정상가 6만9500원에서 할인된 6만2700원(주중 한정)에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울릉 주민들이 ‘2026 울릉주민 정기권’ 구매 시 2025년 한 해 동안 무료 이용이 가능한 특별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2025-08-29

경북연구원 태풍 대비 산불 2차 피해 방지 세미나 개최

경북연구원은 지난 28일 ‘태풍 대비 산불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세미나’를 열고, 올해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도의 대응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태풍 시기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경남연구원, 강원연구원 등 국내 주요 재난·기후·산림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해, 산불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토사 유출, 하천 범람, 토석류 등 2차 피해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정책적 대응 방안을 심도 있게 다뤘다. 발표 내용으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 패턴 변화와 인공강우 기술의 산불 예방 가능성(국립기상과학원 장기호 박사), 산사태 대응을 위한 비구조적·구조적 기술 개발 현황(국립산림과학원 유송 박사), 산불피해지 임시주거시설의 토사재해 저감 공법 적용 사례(국립재난안전연구원 김재정 박사), 재난피해 회복과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지원 정책(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상현 박사), 2025년 경북 초대형 산불 발생 사례 분석 및 대응 전략(경북연구원 최선규 박사), 경남지역 산불 피해 현황과 대응 체계(창신대학교 남기훈 교수, 경남연구원 대신 발표), 산불 극복을 위한 지역 뉴딜 제안(강원연구원 김경남 박사) 등이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경북연구원은 올해 경북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의 원인과 피해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재건을 위한 ‘재창조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 복구를 넘어 지속가능한 지역 회복 모델을 구축하고, 향후 유사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유철균 경북연구원장은 “경북은 올해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이를 통해 얻은 소중한 경험과 교훈을 전국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산불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특히 태풍 시기를 앞두고 산불 피해지역의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이 이번 세미나를 통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학술적 논의를 넘어, 현장 중심의 대응 전략과 지역 회복을 위한 실천적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참석자들은 종합토론을 통해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체계 강화와 지역 간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 향후 지속적인 정보 공유와 공동 연구를 이어가기로 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2025-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