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긋불긋 잘 익은 계절, 그 이파리들이 바람에 흩날린다. 드높이 푸르던 하늘이 낮아지고 하늘 바탕을 수놓던 구름의 수채화도 슬그머니 사라졌다. 수시로 보았던 산은 붉게, 노랑으로 채색한 것들을 마지막 빛깔을 내려놓는다.11월의 마지막 날, 영천시 자천면 오리장림을 걷는다. 산책로가 자그마한 숲길이다. 입구에는 수령이 백 오십 년이 지난 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다. 숲이 있어 홍수로부터 안전할 수 있었고, 대책 없이 불어오는 강한 바람에도 숲이 있어 견딜 수 있었다. 숲은 자천리 일대 좌우 오리에 걸쳐 뻗어 있다고 해서 오리장림(五里長林)이라 부른다. 지금은 국토 확장 공사로 많이 잘려 사라지고 자천마을 앞 군락지 몇 군데만 남아있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1999년 4월에 천연 기념 제404호로 지정되었다.우리나라에서 보기 힘든 단층 혼유림이다. 숲에는 낙엽 활엽수인 은행나무, 왕버들, 굴참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풍개나무, 회화나무, 말채나무가 어울려 살고 있다. 상록침엽수로는 소나무, 해송, 개잎갈나무가 자라고 있다. 나무는 도로 가까이 제 뿌리를 내리고 몸피는 살짝 뒤틀려 있고, 가지들은 숲을 향해 휘어져 있다. 도로에서 나는 시끄러운 소리가 싫은지, 모두 숲을 향하고 있다.
경주시 안강읍 육통마을 회화나무.
나무의 성질은 그 종류대로 자라는 게 다르다. 그런데 이곳의 나무들은 수백 년 동안 어찌 한세월같이 했을까. 옆 지기 나무가 쑥쑥 자라는 것에 더러는 제 키를 키우지 못할 것 같고, 더러는 말라 죽기도 했을 텐데, 숲길에 들고 보니 특별한 나무가 눈에 띄지 않고 같이 살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티나무대로, 회화나무는 회화나무대로 그렇게 숲을 이룬다.숲에는 회화나무와 느티나무의 연리목이 있다. 연리목은 대부분 같은 종류의 나무가 가까이 있을 때 생기는 별난 현상인데 이곳의 회화나무와 느티나무는 함께 자라고 있어 더 신비롭다. 수백 년 동안 어우렁더우렁 서로를 부둥켜안으며 살고 있기에 계절이 깊어가는 이때도 오히려 더 다정해 보인다.회화나무는 학자 나무라고 한다. 옛 선비들은 마을 입구에 회화나무를 심어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는 선비가 사는 곳’임을 알렸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의 유교 관련 유적지에서 회화나무를 많이 볼 수 있다. 도산서원이 배경인 천 원짜리 지폐 뒷면의 무성하게 그린 나무, 고산 윤선도가 거처한 해남의 녹우당, 안강 옥산서원 입구, 성주의 한개마을에 회화나무가 있다.
이순혜 수필가
회화나무는 귀신이 피해 가는 나무라 여기기도 했다. 안강읍 육통리에 있는 회화나무는 마을회관 옆에서 주민들과 함께 세월을 보냈다. 고려 공민왕 때 마을에 살던 젊은이가 외적(外敵)을 물리치기 위해 전쟁터로 나가면서 이 나무를 심어놓고 부모님께 자식처럼 키워 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그 후 젊은이는 장렬하게 전사하였고 부모는 아들의 뜻대로 이 나무를 자식같이 여기며 가꾸어 오늘의 모습에 이르렀다고 한다. 정월 보름날이 되면 온 마을 사람들이 이 나무 앞에 모여 동제를 지내며 새해의 행운을 빌어 왔는데 마을 사람 중에서 지난 한 해 동안 아무 사고 없이 깨끗이 지내온 사람 한 사람을 뽑아서 제주로 삼는다고 한다.안강읍 육통리의 회화나무는 무탈한지, 가는 길이 옛 정취를 그대로 풍긴다. 회화나무 길을 따라가면 그리 어렵지 않게 회화나무를 만날 수 있다. 마을 가운데 있는 나무는 마을에 사는 주민들과 아직도 함께하고 있음을 몸으로 느낄 수 있다. 바람 한 자락 불지 않고, 마주치는 사람 한 명 없어도 왠지 ‘따로 또 같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나무를 둘러본다. 가지를 보아도 몸피를 보아도 나무의 숱한 이야기가 거기에 새겨져 있음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육백 년 동안 마을의 안녕과 한 젊은이의 애국충절이 한 줄 기록되어 있다.
마을의 큰 나무는 수호목이다. 마을의 역사를 지켜본 나무는 기억한다. 옆집 순이는 서울로 시집가 아들, 딸 낳고 잘 살고, 뒷집 돌이는 손재주가 남 달아 손대는 것마다 승승장구하고 있다는 것을. 앞집 노부부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생을 마감하는 것을 묵묵히 지켜본 증인이다.나는 백 년도 못 살고 나무는 천 년을 산다. 나무는 천년을 살아도 백 년 사는 것처럼 함께 어울려 숲을 이룬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은 천년을 살 것처럼 가쁜 숨 몰아쉬며 높은 곳에 오르려 한다. 회화나무 아래서 잠시라도 욕심의 찌꺼기를 덜어내니 마음이 가볍다.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