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느티나무는 그늘 궁전을 만들고

등록일 2021-07-07 20:07 게재일 2021-07-08 17면
스크랩버튼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의 오래된 느티나무.

고향마을 입구에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있었다. 느티나무 아래는 시원하고 그늘이 많아 사람들이 자주 모였다. 농사일이 바빠도 틈틈이 모여 담소를 나누는 어머니들만의 사랑방이었다. 그늘 따라 놓인 평상에는 다양한 먹거리가 있었다. 구수하고 달달한 삶은 옥수수, 하얀 분이 나고 김이 모락모락 나는 감자는 아이들을 나무 아래로 불러들였다.

느티나무는 적게는 수백 년, 많게는 천 년을 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느티나무는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다. 수령이 천 년이 넘었다고 하는데 그 시간을 어찌 견디며 살아내고 있을까. 궁금해 길을 나섰다.

천 삼백 년 동안 사는 나무를 한 시간 만에 만났다. 내비게이션에 주소를 입력하고 고속도로에 차를 얹으니 금방이다. 도착했다는 안내 음성에 따라 농로 갓길에 주차했다. 아, 저기 저 나무가 느티나무구나, 늘 티를 내는 나무라 멀리서도 한눈에 알 수 있다. 마음이 급해진다. 먼저 나선 걸음이 마음을 챙겨 한걸음에 다다랐다. 숨을 고르며 나무 한 바퀴를 돌아보았다. 가만히 몸을 낮춘다. 나무는 견뎌내는 것이 아니라, 지금도 자라고 있었다. 천 삼백 년이라는 숫자 앞에 내가 움츠러들었다. 어깨를 펴고 나무를 올려다본다. 느티나무의 모든 줄기는 초록 물이 터질 듯 줄기차게 자라고 있었다.

벤치에 앉아 나무를 향했다. 느티나무의 품은 어른 대여섯 명이 안을 만큼 널찍하다. 천년하고도 사십삼 년을 산 나무의 몸통이 참으로 옹골차고 매끈하다. 나무는 천 삼백 년 동안 땅속에 뿌리를 내려 끊임없이 물길을 찾았을 테고, 그런 다음에는 크고 작은 줄기에 영양분을 공급하느라 바빴겠다. 사방으로 뻗은 느티나무의 가지와 이파리들이 단정하다. 잎잎이 사분거리는 소리가 난다. 어디서 불어온 바람이 슬렁슬렁 이파리를 휘감고 툭툭 치며 건드린다. 이렇게 흔들리며 뿌리를 내리고, 그늘을 만들며 오늘을 건너는 중이다.

마땅히 놀 거리가 없던 어린 시절, 동네 입구에 있는 느티나무는 우리들의 놀이터였다. 아침부터 나무 아래서 술래잡기를 했고, 그러다 심심하면 나뭇가지를 잡고 그네를 탔다. 개구쟁이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나무는 수십 번 생가지를 부러뜨렸고, 우리들의 팔과 다리는 숱한 날 피멍이 들었다. 그런데도 느티나무는 우리가 숨을 곳을 만들어주었다. 그곳은 벌레들이 나무를 갉아 썩어 구멍이 생긴 곳이다. 어둑하고 좁고 눅눅했다. 웅크리고 앉으면 세상의 소리마저 잠들고 어린 마음에 일었던 잡다한 것들이 평온해졌다.

넉넉한 그늘을 만들며 줄기를 뻗는 나무 아래 있으니 어머니 품에 든 듯하다. 느티나무는 가지가 마음껏 자랄 수 있게 햇볕을 모으고 바람을 불러들인다. 때로는 옹이가 생기는 상처가 나더라도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그렇게 감내하는 인고의 세월에도 제 줄기를 포기하지 않고 키워낸다. 우리네 어머니가 그렇다. 자식의 상처를 보듬고 새살이 날 수 있게 보듬는다. 어머니는 모든 것을 주고도 무언가를 더 내어 줄 게 있는지 팔을 뻗는다.

나무가 흔들린다. 흔들리는 가지 따라 내 눈길도 느릿하게 따라간다. 느티나무 몸통 한 부분에 멈춘다. 싱그럽고 푸른 나무에 거무튀튀한 색깔의 상처가 생뚱맞다. 썩어 구멍이 난 자리에 무언가를 가득 채워놓았다. 얼마 전, 텔레비전에서 방영한 것이 생각났다. 가로수의 썩은 곳을 메꾸는 작업이었다. 주로 시멘트나 건축용 자재로 쓰이는 우레탄폼을 넣어 부풀렸다. 이곳 느티나무에도 우레탄을 넣어 수술한 흔적이 있다.

이순혜수필가
이순혜​​​​​​​수필가

한참을 나무 아래 머물렀다. 이쯤이면 벌레들이 내 몸을 괴롭힐 만도 한데 오히려 몸이 가뿐하고 머리가 맑다. 느티나무 그늘엔 모기가 살지 못하고 해충들이 적다고 한다. 그래서 옛날에는 나무 아래 아이들을 재워놓고 어머니들은 느티나무 사랑방에서 눈물, 콧물 흘린 시집살이를 견뎠다. 느티나무는 우리의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 맵디매운 시집살이 고달픔을 듣고 함께 아파하느라 속울음 했을 나무에 벌레조차 항복했나 보다.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이 손짓한다. 빽빽하게 뻗은 줄기는 엎치락뒤치락하며 한낮의 햇볕을 막아준다. 천 삼백 년 동안 나무가 기록한 숱한 이야기가 풍경에 그득하다. 이파리 하나하나를 탐독하며 나무의 시간을 읽는다. 넉넉한 그늘을 일부러 만들려고 하지는 않았다. 그저 오늘 하루를 열심히 살다 보니 궁전처럼 넓고 시원한 그늘이 되었다. 아름다운 풍경으로 남기 위해 기록한 수많은 이야기를 다 읽지 못하고 띄엄띄엄 넘어간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은 없다고 했던가. 흔들리지 않고 자라는 나무 또한 없다고 시인은 노래한다. 흔들리지 않은 삶은 가슴이 뛰지 않음이다.

나무가 들려주는 이야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