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호 서울취재본부장
‘100세 시대’에는 건강수명이 중요하다.건강수명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가리킨다.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2022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5년이다. OECD 1위 장수국인 일본(84.7년) 다음이고, OECD 국가 평균(80.5년)보다 3년 길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지난 2010년 80.2년으로 OECD 38국 중 21위였다. 10년 새 3.3년 길어 지면서 순위가 급상승했다. 경제 발전에 따라 생활 수준이 높아진 데다 가까운 거리에 병-의원이 있고, 공공 보건 기반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이제 우리도‘장수 국가’에 진입했다. 하지만 오래 살면 뭐하나. 건강수명은 그리 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예전보다 길어졌지만 건강수명은 2020년 66.3년으로 2012년 65.7년과 비교해서도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무려 17.2년을 각종 질병으로 고생한다.남녀별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앓는 기간을 보면 남자는 14.9년, 여자는 19.3년이다. 여자가 남자보다 6년을 더 살지만 앓는 기간이 길다.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기간의 비율은 남자 81.4%, 여자 77.7%였다.우리나라 여성의 10대 사망 원인은 암, 심장 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치매), 자살,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패혈증, 만성하기도(기관지-폐) 질환 순이다. 특히 오래 살아도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관절염, 척추 질환, 뇌졸중, 우울증 등을 예방해야 한다.건강할 때 무릎, 허리 관절 건강에 신경 쓰고, 음식 절제, 운동 등 생활습관을 바꿔 혈관질환을 막아 건강수명을 누리도록 하자./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