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태풍피해 예방법

등록일 2022-09-05 19:02 게재일 2022-09-06 19면
스크랩버튼
김진호 서울취재본부장
김진호 서울취재본부장

역대급 세기로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관통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태풍 피해예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힌남노는 5일 오전 9시쯤 ‘매우 강’ 상태로 제주서귀포시 남남서쪽 400㎞해상을, 6일 오전 9시에는 ‘강’ 상태로 부산 남서쪽 90㎞해상을 지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태풍은 과거 태풍 가운데 가장 강력했던 사라와 매미보다도 더 강한 상태에서 상륙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피해예방을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우선 태풍이 오면 강한 바람으로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샷시와 창틀을 고정해야 한다. 창틀이 헐겁다면 신문지를 끼워 틈을 최대한 좁히는 것이 좋다. 또한 창과 창틀사이를 테이프로 붙여주는 것도 파손 예방책이 될 수 있다. 유리창 파손이 우려되면 창문에 테이프나 신문지 등을 붙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파손시 유리파편 흩날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화분 등 강풍에 의해 날아갈 수 있는 물건들은 실내로 미리 들여놓고, 침수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배수구 상태도 점검해야 한다. 침수 우려지역에 있는 차량등은 안전한 곳으로 미리 이동시켜놔야 한다.

특히 풍속 50m/s 이상의 대형 태풍에는 젖은 신문지나 테이프를 X자 형태로 붙이는 것이 큰 효과가 없는 만큼 비규격·노후 창호를 교체하거나 유리창에 PE(폴리에틸렌) 재질의 안전 필름과 에어캡을 붙여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안전 필름과 에어캡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유리를 안전하게 잡아줌으로써 파손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고, 깨진 유리의 비산을 방지해 2차 사고를 막는다. 천재지변으로부터 인명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는 언제나 최우선적으로 실행돼야 한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