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삼겹살, 10년 전 가격으로 팔아요”

물가가 연일 고공행진 하는 가운데 대형마트들이 잇따라 대형 할인 행사에 나선다.이마트는 개점 19주년을 맞아 25일부터 3주간 약 2천개 품목을 최대 50% 할인하는 `고객 감사행사`를 벌인다고 24일 밝혔다.이번 할인은 이마트 개점 이래 가장 큰 규모로, 특히 10년전 제품값을 조사해 이에 근접한 가격으로 상품을 내놨다.이마트 측은 “20대 대표품목을 구매할 경우 약 54%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대표 품목으로 삼겹살을 현재가보다 43% 저렴한 100g당 850원에 선보인다. 이는 이마트가 조사한 10년 전 가격과 같은 값이다. 계란 역시 46% 할인한 30개에 2천800원에 내놔 10년 전 가격과 맞췄다.풀무원 두부도 시중가보다 50% 저렴한 3천400원(390g), 종가집 포기김치(3.7㎏) 역시 46% 싼 1만4천100원, 참굴비 40마리를 9천900원에 만나볼 수 있다.최병렬 대표는 “극심한 불황에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을 위해 최대 규모의 할인 행사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롯데마트도 롯데쇼핑 창사 33주년을 맞아 25일부터 3주간 1천여개 상품을 최대 50% 할인한다.1차 행사로 25일부터 31일까지 겨울 대표 과일인 서귀포 감귤(3.5kg)을 시세보다 30% 저렴한 8천900원에 만날 수 있다.`못난이 신고배`(㎏) 역시 25% 싼 가격에 구입할 수 있으며 돼지고기 소비 촉진을 위해 냉장 삼겹살 가격도 40% 낮춘다. 최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 점을 고려해 발열내의 등도 행사 품목에 포함했다.돼지 뒷다리, 훈제오리, 호주산불고기 등 인기 육류 가운데 하루에 한 품목씩 선정해 50%까지 할인하는 `일별 초특가전`도 진행한다./연합뉴스

2012-10-25

돼지고기 값 또 폭락 `파동오나`

돼지고기값이 한달새 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올초 가격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서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7일 유통업계와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돼지고기 지육 도매가격은 지난달 12일 ㎏당 3천684원을 기록했다가 추석연휴를 앞두고 계속 떨어지더니 지난 28일 현재 2천675원으로 폭락했다.올 1월 연중 최고가인 5천879원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진 가격이고 구제역으로 생산량이 줄었던 작년 여름(6월8일)의 8천200원에 비해선 3분의 1 수준이다.9월 첫째주 4천212원이었던 1㎏ 도매 평균가격이 9월 넷째주엔 2천955원으로 29%나 떨어진 것을 보면 한달 사이의 가파른 가격변화를 알 수 있다.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한 것은 돼지 사육두수 증가와 경기 불황에 따른 소비 부진 때문이다.농업관측센터의 추산 결과 지난달 현재 돼지 사육두수는 970만마리이다. 작년초 구제역 발생으로 700만마리 수준으로 급감했던 사육두수가 구제역 이후 양돈농가의 집중적인 입식으로 평년 수준을 회복한 것이다.통상 돼지고기의 적정 가격을 양돈농가는 4천원대 초반으로, 정부는 3천800원 정도로 보고 있는데 현재 가격은 1천원 이상의 차이가 나 농가들이 고스란히 손실을 떠안아야 한다.특히 언제 풀릴지 모르는 수입 삼겹살도 `시한폭탄`으로 자리잡고 있다.정부가 물가안정 등을 위해 수입 삼겹살에 대해 2차례에 걸쳐 할당관세를 연장하면서 삼겹살 수입량이 크게 늘어났다. 이들 수입 삼겹살은 폭락한 시세 때문에 재고로 묶여있는 상태다.소비부진도 한몫하고 있다.롯데마트의 지난 1~9월 돼지고기 매출은 작년보다 소폭 상승한 1.7%에 그쳤다. 돼지고기 성수 시즌인 7~8월 여름 휴가철에도 겨우 0.7% 늘어나는데 머물렀다.이에 따라 롯데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삼겹살(100g) 가격은 지난달 넷째주엔 1천480원이었다. 1천500원 이하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었다. 작년 9월 넷째주(1천980원)보다는 27% 하락한 가격이다.이마트의 삼겹살 가격도 작년 이맘때보다 17.6% 내렸고 작년 6~7월에 비해선 32%나 떨어진 상태다./연합뉴스

2012-10-08

지역백화점 추석매출 한자릿수 증가

대구백화점을 비롯한 지역 백화점의 추석 매출이 지난해 대비 한자릿수 신장에 그쳤다.대구백화점은 지난달 14~29일까지 17일간 `한가위 대축제` 기간 동안 선물상품 매출이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6.3%, 상품권은 8.1% 늘었다고 1일 밝혔다.지난 9월 중 3번의 태풍으로 청과 등 농산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명절 선물 상품 매출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정육(22% 신장)과 건강식품(15% 신장)들의 판매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기록했다.명절 최고의 인기상품인 상품권은 기업체를 상대로 한 특수영업팀의 지속적인 거래선 유지와 신규 거래처 확보, 가맹점간의 제휴 등으로 매출이 지난해 대비 8% 증가했다.선물상품 배송량은 지난해는 추석 D-4일차를 전후로 선물 배달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으나 이번 추석에는 명절 일주일 전인 23일부터 꾸준하게 배송주문이 이어졌다.동아백화점은 지난달 15~29일까지 진행한 추석 선물 큰잔치 행사 기간 동안 5.7%의 매출 신장세를 나타냈으며 배달서비스와 택배를 이용한 선물세트 배달 물량은 지난해 보다 13.5%가 늘어 난 것으로 집계됐다.품목별로는 사과와 배 등 청과 선물세트의 가격이 안정되며 지난해 추석 대비 18.9%의 매출 신장세를 보였고 한우 역시 가격 안정세에 힘입어 15.6%의 신장률을 나타냈다. 이밖에 농산물 선물세트가 13.4%, 굴비와 선어세트 등이 10%, 참치 등 가공식품 선물세트가 8.9%의 신장세를 보였으며 세제 선물세트는 4.5%의 신장세를 나타냈다.롯데백화점은 지난해 대비 6.4% 신장세를 보였다.추석선물이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정육은 12.2%, 청과 10%, 자연산 송이 40.7%, 수삼·더덕 12.2% 신장한 모습을 보였다. 청과는 지난해 보다 가격이 15% 하락했고, 배도 작년과 같은 가격 수준을 형성하며 과일세트를 찾는 고객이 증대했고 정육세트의 판매가 늘어났다.특히 가을 장마가 길어지고 일교차가 큰 날씨 영향에 따라 `자연산 송이`의 대풍으로 가격이 50% 가량 하락하며 전년대비 매출이 40.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대구백화점 마케팅총괄실 황우교 실장은 “올해 추석이 지난해보다 보름 이상 늦고 최근 들어 기온차가 커지면서 식품 뿐만 아니라 의류를 중심으로도 매출 증가세가 이어졌다”면서 “3일부터 시작되는 가을 정기바겐세일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이곤영기자

201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