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미래 발전전략 심포지엄 세션III 패널 토론

전준혁·안찬규·김혜영기자
등록일 2014-11-13 02:01 게재일 2014-11-13 5면
스크랩버튼
▲ `포항의 지역인프라 연계발전`을 주제로 열린 세 번째 세션에서 토론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서의호, 이상건, 이동수, 정현욱, 김경대, 이창형, 김언동, 김유성, 박춘순, 이재열.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 사회 = 서의호(포스텍 교수)

■ 토론참여자 = 이창형(울산대 교수), 김언동(한국교통E&C대표), 김유성(포항향토청년회장), 박춘순(포항여성단체협의회장), 이재열(포항시 건설도시국장)

□ 서의호(포스텍 교수)

3세션은 포항의 지역인프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KTX, 포항~울산 고속도로 등 교통인프라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창형 교수

글로벌경제 시대, 로컬 이코노미 확대

포항·울산 광역 경제권으로 묶어야

□ 이창형 (울산대 교수)

지금까지 포항 경제가 어렵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그런데 울산도 제조업의 위기라고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포항 기계 출신으로 포항과 울산의 경제협력 및 통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번 울산 포항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시간대가 40분대로 단축돼 앞으로 일부적으로 논의돼왔던 포항 울산 경주를 한 권역대로 묶는 것을 시작할 때가 됐다. 울산은 지금까지 잘 견뎌왔지만 위기다.

이는 수출이 엄청나게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조선업은 1조원의 적자, 석유화학산업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대체되고 중국 자체생산으로 타격을 받고 있다. 자동차도 엔화약세로 수출액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 때문에 수출이 잘 돼왔는데 이제는 오히려 중국의 기술발전이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다. 따라서 내수확대로 갈 수 밖에 없어 포항과 울산의 긴밀한 협력과 통합이 필요하다.

또한 글로벌 경제 시대로 로컬 이코노미가 확대되는 추세라 울산 포항 경주가 독자적으로 글로벌도시로 크기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한 광역경제권으로 묶는다면 경쟁력이 있다고 확신한다.

김언동 한국교통E&C 대표

포항도심·신역사 등 접근성 확보

머무를 수 있는 여건 조성도 중요

□김언동 (한국교통E&C대표)

교통을 보면 좁은 의미에서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다. 시설로는 육상, 항공, 해상으로 볼 수 있는데 포항은 이 세가지를 다 가지고 있는 도시다.

포항·울산 뿐 아니라 상주 영천 고속도로도 생기고 있어 포항은 대구를 거치지 않고 동서3축을 갖추게 된다. 교통이 층달하면 사람의 의식도 변하게 된다.

예전에는 서울구경 한번 가는 것이 꿈이었으나 이제는 물리적 거리가 좁혀지며 이에 대한 의식변화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된다.

하지만 반대로 대도시에 흡수되는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생각도 해봐야 된다.

따라서 포항을 통과하는 곳이 아닌 머무를 수 있는 여건을 포항시에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즉, 포항 도심을 대규모 주거지역과 산업단지를 연계한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신역사 또한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포항의 매력과 경쟁력을 업그레이드 해야 된다. 포항이라는 도시는 철강산업 뿐 아니라 테크노밸리, 방사광가속기 등 연차적인 개발을 통해 이를 이용하는 이용객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편의시설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먹거리, 관광, 숙박 등이 필요하다. 일반인들을 위한 랜드마크도 필요하다. 동빈내항 복원을 토대로 철과 관련된 박물관 유치 등 포항에 걸맞는 시설물 마련이 필요하다.

경주시와 동해북부지역과의 연계도 필요하고 포항신역사 개발도 특성화 있게 추진돼야 한다. 여러 기업들에게 어드밴티지를 주고,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등을 연계하는 복합컨벤션몰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의 고용창출도 가능해질 수 있어 선순환 구조로 경제구조가 바뀔 수 있다.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포항공항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이는 울릉공항과 연계한 그림을 그려야 할 것이다.

김유성 포항향청회장

KTX개통 대비 숙박시설 증설 절실

친절교육 등 손님맞이 준비 힘써야

□ 김유성(포항향토청년회장)

사회단체의 일원으로 전문가적인 입장보다는 발표내용의 소감을 밝히겠다.

포항~대구 고속도로가 생기기 전에는 경주쯤 오면 포항 다왔구나 생각했다면 지금은 대구쯤 오면 포항 다왔구나 생각한다.

이를 통해 생활권 자체가 몸소 많이 느껴지는 것 같다. 따라서 포항KTX도 생기게 되면 생활권이 바뀌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된다. 우선 숙박시설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지금은 포항에 숙박시설이 많이 부족하다.

요즘 시민들은 죽도시장을 잘 안가려한다. 불친절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인의 손님맞이 태도도 변해야 한다. 또한 호객행위 등도 마찬가지로 반성해서 고쳐나가야 할 부분이다.

주차장 등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손님맞을 준비를 확실히 해야한다.

박춘순 포항여성단체협의회장

소비산업 `빨대효과` 걱정 이만저만

내부적 교통망 확충도 시급한 과제

□ 박춘순(포항여성단체협의회장)

여성으로서 소비와 쇼핑을 이야기해보겠다.

지금 포항에서 대구까지만 가도 쇼핑을 싸게 할 수 있다. 기름값 빼고도 이익이 남는다.

따라서 생각해보면 KTX가 생기면 `빨대 효과`처럼 포항 시민의 소비가 대도시로 빠져나갈까 걱정된다. 숙박시설의 부족과 종합병원의 부족함도 큰 문제다. 이런 것도 대도시로 빠져나가 포항경제를 해치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포항의 내부적 교통망의 확충도 문제라고 본다. 앞으로 대도시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만큼 수반되는 대책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

이재열 포항시 건설도시국장

포항운하·동빈내항 지속개발 필요

궁금한 사업과정 충실히 설명할 것

□ 이재열(포항시 건설도시국장)

오늘 광역 교통망 구축에 따른 논의를 통해 실체가 점점 보이는 것 같다. 이에 따른 준비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대구 울산 포항 간의 광역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산업기반시설 확충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교통물류산업도시와 더불어 해양문화관광도시 구축도 필요하다.

포항운하, 동빈내항 등 끝없는 개발이 필요하다. 204km의 해안선을 개발하고 마리나 사업, 형산강 에코컬쳐, 호미곶 영일만 관광단지 등에도 많이 주력해야 한다. 영일만대교도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점도 많다. 그 과정에 대해서도 많은 설명을 앞으로 하도록 하겠다. 내년 중에 실시설계가 마무리되면 도로공사가 시작된다. 동해고속도로의 한 축으로 B/C와 관계없이 무조건 마련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전준혁·안찬규·김혜영기자

jhjeon·ack·hykim@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