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건설업계 최초 도입… 체질개선 통해 경쟁력 강화

고세리기자
등록일 2014-07-10 02:01 게재일 2014-07-10 12면
스크랩버튼
포스코 QSS혁신 성공사례 <BR>삼도주택

▲ 직원들이 불용품 정리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
▲ 직원들이 불용품 정리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

지난 1986년 설립된 삼도주택은 `최고가 아니면 짓지 않겠다`는 경영이념 아래 서민주택 공급과 주거환경 개선, 주택난 해소를 위해 노력한 결과 대한민국 산업포장·대통령 표창·2012년 살기 좋은 아파트·대한주택건설협회 스마트 명품 아파트상을 수상하며 사회적 신뢰를 쌓아왔다. 하지만 지난 2008년 금융위기로 시작된 경기침체로 인해 건설업 전체에 불어 닥친 불황은 삼도주택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에 삼도주택은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고객만족을 목표로 포항, 경주, 경산 등 대구·경북을 기반으로 약 2만여세대를 공급하고 있는 중견 건설업체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후 삼도주택 허상호 회장이 한 단계 더 높은 도약을 위해 강력한 변화가 필요함을 깨닫고 지난해 3월 건설업계에서는 최초로 포스코의 QSS혁신활동을 도입해 활약하고 있다.

제조업 적용 혁신활동

건설업에 맞도록 변화 성공

낭비요소 제거·환경개선 큰 효과

□“지금도 잘하고 있는데…” 직원인식 뿌리뽑기

지난해 3월 QSS혁신활동 도입 당시 삼도주택은 포항·구미지역의 분양 성공으로 자신감이 충만한 상태였다.

경험을 최고로 생각하는 기술자들이 모인 건설회사에 경험이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현재 상태를 개선해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자는 제안에 직원들이 거부감을 보이는 것은 당연한 반응이었고, 처음부터 도입이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 과제도출 워크숍을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있다.
▲ 과제도출 워크숍을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합리적인 가격에 우수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낭비제거와 개선정신 등이 필요하다는 설득에 직원들의 인식도 조금씩 바뀌었다.

또한 직원들의 인식 교육을 위해 각 팀장에게 개선 리더 교육을 실시하고 5S(정리·정돈·청소·청결·습관화)와 과제활동의 큰 틀을 건설회사에 적용하기 쉽게 바꿔 직원들에게 전파했다.

전파 당시 제조업에 적용해오던 QSS활동을 건설업에 바로 적용시키기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해 QSS마스터와 컨설턴트 및 삼도주택 사무국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워크숍과 수차례 집합 교육을 먼저 실시했다. 이후 지속적인 건의와 피드백을 통해 건설업에 맞게 변화시켰고, 마침내 삼도주택만의 빛깔을 가진 QSS혁신활동으로 발전하게 됐다.

□낭비는 작은 것에서부터 고쳐 나가야

QSS혁신활동 도입 이후 가장 먼저 낭비리스트를 만들었다. 회사에서 낭비되고 있는 물품·자재들에 대해 낭비가 얼마나 되고 있는지, 어떻게 바꿔야 줄일 수 있는지 조사했다.

처음 리스트를 만들 때 직원들이 “꼭 리스트를 만들어야 하나, 돈이 얼마나 절약된다고”라며 되묻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쉽게 낭비되는 대표적인 물품인 종이컵을 사용하지 않고, 매주 간부회의 때마다 수백 장의 프린트물로 진행하던 회의를 PPT화면으로 대체해 A4용지 사용을 없앴다.

또 그린 터치 프로그램을 들여와 컴퓨터 대기 전력을 연간 500여만원을 절약하고 있으며, 팩스는 이메일 수신으로 전환해 필요한 문서만 출력하고 있다. 이 덕분에 작게는 수백만원 이상의 절약 효과를 보고 있는 셈이다.

낭비를 줄여 절약의 효과가 눈에 띄자 이제는 직원들이 스스로 매주 각자의 업무공간에 5S를 실시하고 있어 쾌적한 사무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 QSS 혁신활동 Kick Off에서 직원대표가 선서를 하고 있다.
▲ QSS 혁신활동 Kick Off에서 직원대표가 선서를 하고 있다.

□과제 활동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지난해 9월 킥오프를 실시함과 동시에 회사 발전을 위한 과제도출 워크숍을 개최했고, 전 직원이 참여해 20여개의 주요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1차 과제를 통해 △다면적 설계 프로세서 구축 △고객만족 사전 모니터링 강화방안 △협력업체 평가 시스템 등 6개 과제를 선정했고, TF팀을 운용해 고객만족과 주택 품질향상, 업무효율성 증대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지난 4일부터 분양을 시작한 창포 메트로시티 설계 시에 `다면적 설계 프로세서 구축`을 적용해 내부 소통과 설계 초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점검해 기존 설계 대비 오류 발생률을 70% 이상 감축할 수 있었다.

▲ 허상호<br /><br />삼도주택 회장
▲ 허상호 삼도주택 회장
직원 사고혁신 위해 도입

중대 과제 발굴에도 활용

-QSS혁신활동에 대한 생각은.

△QSS혁신활동은 우리 회사에 꼭 필요한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삼도주택은 중견기업으로 규모는 지속성장하고 있으나 직원들의 사고와 내부시스템의 부재로 항상 고민하고 있을 때 QSS혁신활동을 접하게 됐다. 처음 QSS혁신활동을 접했을 때 직감적으로 `우리 회사에 필요한 시스템이구나` 생각하고 포스코에 요청했다.

-QSS 도입 후 직원들이 어떻게 변했는지.

△직원들이 업무에 임하는 태도가 달라졌다. 과거 자신의 업무에 대해 비판 없이 일을 진행했다면 QSS혁신활동을 도입하고 난 뒤 일을 진행할 때 현재 상태를 파악해 낭비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상식이 될 정도로 직원들의 마인드가 변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부서 간의 업무 장벽을 허물고 협력과 소통을 통해야만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직원들 스스로 깨닫게 됐다.

-QSS혁신활동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삼도주택의 QSS활동은 이제 초기 구축단계를 완료하고 성숙화 시기에 접어드는 것 같다. 일차적으로 낭비요소 발굴과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 개선에 주력했다면, 이제 기업 내부의 중대 과제에 대해 과제를 발굴해 낭비요소를 제거하는 과제활동을 위주로 실행해 성과를 내는 활동이 전개 중이다.

-향후 QSS혁신활동 계획은.

△QSS를 도입한 지 1년이 넘었다. 그동안 눈에 보이는 변화도 있었고, 보이지 않는 변화도 많았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혁신활동을 더 활발하게 진행하고자 더 많은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을 생각이다. 그리고 제안제도, 삼도 카페 등을 통해 Off Line & On Line으로도 서로 소통하며 더욱 효과 있는 낭비 발굴과 자발적 개선활동 기업문화로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다.

/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