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장맛비 그친 하늘 위에 / 구름꽃 둥둥 피어나고 / 풀벌레 소리높여 노래하는 // 할머니 모시저고리보다 / 햇빛이 더 짱짱한 칠월 // 피자두 적포도 청포도 복숭아 / 한입 물면 새콤달콤한 달 /바람이 인색하게 불어도 /넉넉하게 살찌우고 가는 칠월”‘현대 시인 중에서는 흔치 않게 진실하고 순수한 사랑시의 계보를 이어간다고 평가받는’(이 평가는 책소개에서 그대로 인용하였다.) 이수인 시인의 두 번째 시집 ‘그녀 초승달 따다’(2008, 북스토리)에 실린 시 ‘7월’에서는 넉넉한 7월을 풍요롭게 그려주고 있다.한 해의 절반을 보내고 새로운 절반을 시작하며 희망과 소생을 새롭게 다지는 달이 7월이다. 보통은 6월 중하순 경에 시작하는 장마가 7월 중순이면 끝나고 작열하는 뜨거운 태양에 풀들은 더욱 짙은 빛을 띠고, 각종 열매는 영글기를 시작하는 달이 7월이다.그런데, 올해는 예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듯하다. 6월에 시작되었어야 할 장마가 7월 2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7월에 시작되는 ‘지각 장마’는 39년 만의 일이라고 한다. 6월에도 비가 잦았지만, 올 6월의 비는 장맛비가 아니라고 하니 문외한인 나로서는 기상 전문가가 말하는 대로 믿을 수밖에 없겠다. 눅눅하고 꿉꿉하게 7월이 시작된 것이다.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몸도 마음도 지칠 대로 지친 사람들에게 백신 접종은 희망의 전령사 역할을 하였다. 백신 접종이 원활하게 진행됨에 따라 방역 당국에서는 7월이 되면 사회적 거리두기도 조금 완화할 예정이었는데, 변이 바이러스라는 암초에 걸려 다시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연을 제맘껏 누리는 것을 넘어 훼손시키고 파괴하였던 인간들에게 자연은 아직 더 깊은 반성과 낮아짐을 요구하는 것이리라.세계적으로도 7월은 많은 나라들에 새로운 희망을 가져다 준 달이다. 자료를 찾아보니 160여 개 나라의 독립기념일 또는 건국기념일이 열두 달 중에서 가장 많은 달이 7월이다. 1월에는 네 개 나라에 독립기념일이 있어 가장 적고, 7월과 8월이 각각 23개 나라로 독립기념일이 가장 많은 달이 이 두 달이다. 미국의 독립기념일도 7월에 있고(4일), 베네수엘라(5일), 아르헨티나(9일), 콜롬비아(20일) 등의 남미의 국가나 르완다(1일), 소말리아(1일), 알제리(5일), 라이베리아(26일) 등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기념일이 7월에 있다. 그런데 독립기념일 또는 건국기념일이라고 부르지는 않지만 실제 독립이나 건국 또는 국가적인 새로운 전환을 기념하는 날인 캐나다의 날(7월 1일), 프랑스 혁명기념일(7월 14일)을 포함하면 7월이 25개 나라로, 열두 달 가운데 가장 많은 나라의 독립기념일이 7월에 있는 셈이다.눅눅하고 축축한 장마로 시작된 7월에 변이종 바이러스가 다시 엄습한대도 꿉꿉한 마음으로 있지는 말자. 희망을 놓지 않을 일이다. 그럴 때에 7월은 이육사 시인이 ‘청포도’에서 노래한 것처럼,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힐 것이다.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하여 알알이 희망의 포도송이 가득 쥐는 7월을 만들어 가자.
2021-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