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통곡과 저항, 그리고 용서와 화해

등록일 2021-08-31 18:34 게재일 2021-09-01 19면
스크랩버튼
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하늘을 우러러 / 울기는 하여도 / 하늘이 그리워 울음이 아니다 / 두 발을 못 뻗는 이 땅이 애달파 / 하늘을 흘기니 / 울음이 터진다. / 해야 웃지 마라. / 달도 뜨지 마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유명한 시인 이상화가 1926년 4월 『개벽』 68호에 실은 시 ‘통곡(慟哭)’의 전문이다. 이상화는 일본을 거쳐 프랑스로 유학을 가기 위해 1923년 초봄에 동경에 갔다가 그해 9월 관동대지진을 만난다. 지진 발생 후 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 몰려 암살 위협을 겪기도 한 시인은 한동안 일본에 은신해 있다가 인생관이 바뀌면서 프랑스 유학의 뜻을 접고 조선으로 되돌아온다.

9월 1일 오늘은 관동대지진 98주년이 되는 날이다. 일본에서는 1923년의 지진으로 인한 피해와 이와 관련된 학살 사건을 통틀어 간토대진재(關東大震災)라고 부르지만, 우리에게는 관동대지진과 관동대학살이 눈과 귀에 더 익다.

일본은 지진이 많이 일어나기로 유명한 나라이다. 지질학에서의 판 구조론에 따르면 지각판은 북미판, 남미판,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인도-호주판, 남극판 등 커다란 7개의 판과 중간 크기의 6개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대규모 지진들은 이 지각판의 경계 부분에서 자주 일어나는데, 일본 동쪽 앞바다는 7개의 판 중에 4개의 판이 접하는 곳이어서 빈번한 일본 지진 발생 이유가 설명이 된다.

1923년 관동대지진은 20세기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 중에서 9번째로 큰 지진이었지만 해역이 아닌 인구가 많은 동경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였기에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10만5천여 명에 이르고 190만 가구가 집을 잃은, 메이지 시대 이후 현재까지의 일본 역사상 가장 큰 피해를 끼친 지진으로 기록되고 있다.

지진이야 천재(天災)이고 불가항력적이라고 하겠지만, 그 천재를 빌미로 일본은 조선인(그리고 일부 중국인과 일본인 사회주의자)을 대상으로 한 관동대학살 사건이라는 인재(人災)를 벌였다. 지진의 혼란을 틈타 조선인이 강력 범죄와 폭동을 일으킨다는 소문이 떠돌고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고 불을 지르고 다닌다”와 같은 유언비어가 횡행하자, 일제의 군경과 민간인 자경단은 조선인 대량 학살을 자행하였다. 이로 인한 조선인 사망자의 수는 6천661명(당시 임시정부 발행 독립신문 조사)에서 2만3천58명(2013년 8월 21일자 연합뉴스 기사)에 이른다는 주장까지 있다. 조선총독부의 조사에 따르면 1923년의 재일조선인 숫자가 8만617명이라고 하니 당시 조선인 피학살자 수의 규모를 가히 짐작할 수 있겠다.

이상화 시인이 ‘통곡’을 발표한 1926년 4월은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지 2년 반이 지난 시점이었다. 조선인의 참상을 목격한 시인의 트라우마는 일제에 대한 강렬한 저항의식으로 전환되었을 것이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비롯한 저항시를 만들어냈을 것이다. 일본은 지금까지 관동대학살 문제에 대해 무책임과 무관심으로 일관해 오고 있다. 시인은 통곡하였지만, 우리는 진상 규명과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받은 다음 용서와 화해의 길로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이재현의 달골말결(月谷言紋)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