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손때와 설 명절

등록일 2021-02-09 18:32 게재일 2021-02-10 23면
스크랩버튼
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동네 집 사이로 난/좁은 계단 길에/부러진 목발 기대앉아 있네요/외로운 얼굴로 기대앉아 있네요//작은 목발이에요/손잡이에 감긴 하얀 헝겊에/뽀얗게 손때가 묻어 있어요/참 작은 목발이에요/부러졌네요”

황인숙 시인의 시 ‘골목길’ 일부이다. 시인은 골목길, 더 정확히 말하자면 서울 용산 해방촌의 골목길에 관심과 애정이 많다. 이 좁은 골목길 한 귀퉁이에 용도가 다했거나 과도한 사용으로 부러진 채 목발이 버려져 있고, 시인의 눈길은 목발의 손때 묻은 손잡이 헝겊에 머문다. 손잡이 헝겊에 묻은 손때가 눈에 띌 정도면 엔간히 사용된 목발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손때는 목발을 사용했던 이의 회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애씀이 고스란히 드러난 자국이리라.

사전은 손때를 ‘오랫동안 쓰고 매만져서 길이 든 흔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른 단어보다는 그래도 비교적 건조하지 않고 담담하게 풀이된 듯 보인다. 하지만 우리에게 손때라는 단어는 이보다 더 애잔하게 다가온다. 따뜻함과 애틋함 그리고 세월의 눅진한 흔적을 담고 있는 말이 손때가 아닐까.

지난 토요일 영등포 쪽방촌 봉사를 가면서 딸과 조카딸이 품고 놀던 인형들을 거둬 큰 비닐 봉투에 한가득 담아 갔다. 인형 나눔을 할 것이라고 진작에 이야기는 해뒀다. 그런데 늘 품고 있던 인형들 몇 개는 기념으로 간직하겠다는 조카의 말을 깜빡 잊고 몽땅 가져가서 기증을 해 버렸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다음날 때마침 조카는 인형이야기를 꺼냈고, 하나도 남기지 않고 모두 기증하였다는 소식에 그는 몹시 서운해 했다.

혹시라도 남은 인형이 있는가 해서 기증한 곳에 전화했더니 거의 다 가져가고 몇 개만 남아있다고 한다. 그것이라도 챙겨보려고 부리나케 달려갔다. 깨끗하고 비싸고 좋아보이고 비교적 새 것같은 인형들은 이미 다른 이의 손에 넘어가고 없었다. 남의 손이 많이 탄 더러운 인형을 가져가고 싶지 않은 마음은 누구나 같았던 듯, 때가 묻어 꼬질꼬질하고 지저분해 보이는 인형 몇 개만 남아 있었다.

빈손으로 돌아갈 수는 없기에 하릴없이 남은 인형들을 가지고 돌아와 조카에게 보여주었다. 웬걸, 아이의 얼굴에는 대번에 화색이 돌고 기쁨의 미소가 번졌다. 자기가 간직하고 싶었던 인형이 그 중에 있었던 것이다. 누군가의 어릴 때부터 가슴에 품고 안고 주무르고 매만져서 더러워진 인형은 다른 사람에게는 쓰레기처럼 보였을 것이다. 하지만, 손때 묻힌 당사자에게는 애틋한 사랑과 추억의 덩어리이고 고갱이이고 ‘아카이브’(기록 보관소, 자료 저장고)였던 것이다. 아, 손때가 가져온 이 기쁨의 반전이자 역설이라니!

곧 설이다. 아무리 모든 것들이 양력 시간으로 흘러간다 하여도, 설은 겨레의 손때 짙게 밴 새해 첫날이다. 한때는 이중과세 논란도 있었지만, 이제는 구정이라는 말도 사라지고 설이라는 이름으로 온전히 자리잡았다. 온 겨레의 손때 가득 묻은 설 명절을 뉘라서 버리자고 하겠는가.

단지 이번 설은 또 한 번의 손때를 배게 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고향에 두루두루 손때 묻히기는 다음을 기약하는 수밖에 없음이 아쉬울 뿐이다.

이재현의 달골말결(月谷言紋)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