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

조희팔 일당, 위장법인 설립 매출금 빼돌려

유사수신 사기범 조희팔 일당이 위장 법인을 설립해 매출금을 조직적으로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23일 검찰에 따르면 조희팔 조직은 2006년 10월께부터 티투, 벤스 등 금융 다단계 유사수신 업체를 설립해 운영하면서 소위 `B법인`으로 티투주, 벤스밴 등을 설립해 관리했다. B법인은 실제 매출액이 드러나지 않도록 매출금을 분산 입금해 교묘하게 빼돌리기 위한 위장 법인으로 일종의 유령회사다.이는 금융 감독기관과 수사기관의 감시, 단속을 대비한 것이었다고 검찰은 밝혔다.2004년 10월 대구에서 비엠씨라는 회사를 차려 사기행각을 시작한 조희팔은 회사명을 수시로 바꿔가며 투자자들을 끌어모았다. 단속을 당하면 즉시 폐업하고 새 법인을 차리는 식이었다. 위장 법인까지 더하면 조희팔 일당이 대구, 인천, 부산 등지에서 차린 법인은 모두 25개 안팎인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피해자들 돈인 법인자금 횡령도 수시로 이뤄졌다. 조희팔 일당이 기존 법인을 폐업하고 해당법인을 승계하는 신설 법인을 만드는 과정에서 거액의 돈을 빼돌린 것이다.조희팔과 조씨 조직의 2인자 강태용(55·구속)은 종전 법인 계좌의 자금을 승계법인에 인계하지 않고 분배해 가로챘다.두 사람이 법인 자금을 횡령한 규모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검찰은 지난해 10월 중국에서 검거돼 두달여 만에 국내로 압송된 강태용이 업무상 보관하던 피해자들 소유의 자금을 횡령한 금액만 200억원대인 것으로 파악했다.그러나 피해자들은 “이는 전체 횡령 규모로 볼 때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며 1조원 이상을 숨겼을 것”으로 추정했다./이창훈기자myway@kbmaeil.com

2016-02-24

세금포탈 혐의 대구염색공단 前 이사장 항소심 징역 10개월 집행유예 2년 선고

대구지법 제4형사부는 허위 세금계산서를 이용해 세금을 포탈한 혐의(조세범처벌법 위반) 등으로 기소된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전 이사장 A씨(76)에 대한 항소심에서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고 22일 밝혔다.또 같은 혐의로 기소된 대구염색공단에는 벌금 1천500만원을 선고했다. 앞서 1심은 A전 이사장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A씨는 2007년 4월부터 2010년 4월 사이 자신이 사주인 유연탄 운송업체와 염색공단 거래업체 등을 동원해 10억원대의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게 하는 등 방법으로 부가가치세, 법인세 등을 포탈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그는 증거 인멸을 위해 관련 회계 장부와 세금계산서 등을 파기하도록 한 혐의도 받고 있다.재판부는 “조세 정의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건전한 상거래 질서를 어지럽힌 점에서 죄질이 무겁다”며 “다만 별 건의 횡령죄로 실형을 선고받은 점, 고령인 점 등을 참작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한편 A씨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염색공단 내 유연탄 운송비를 허위 또는 과다계상하는 수법으로 46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 기소돼 징역 2년6개월을 선고받고 복역했다./이창훈기자myway@kbmaeil.com

2016-02-23

조희팔 범죄수익금 떼이자 조폭동원 中서 납치행각

대구지검 형사4부(부장검사 김주필)는 다단계사기범 조희팔의 2인자 강태용의 부탁을 받고 강씨가 맡긴 돈을 강제로 받아낸 혐의(특수공갈 등)로 박모(48·성인오락실관리)씨를 구속 기소했다고 22일 밝혔다.박씨는 2010년 11월께 강태용(55)의 부탁을 받은 국내 조직폭력배 송모(수배 중)씨 등과 중국으로 건너가 이모(42·구속)씨를 납치해 감금·폭행하고 2억7천여만원을 빼앗은 혐의를 받고 있다.앞서 중국에서 도피 중이던 강태용은 수표로 된 조희팔 조직 범죄수익금 19여억원을 돈세탁해 달라고 이씨에게 부탁했으나, 이씨는 돈을 갖고 중국으로 달아났다.강태용은 국내 조력자를 통해 대구지역 두목급 조폭 송씨에게 `돈 회수`를 부탁했고, 송씨는 박씨 등과 중국으로 가 현지 조선족 조폭들의 도움을 받아 허난성 정저우에 숨어 있던 이씨를 찾아냈다. 박씨 등은 이씨를 중국 내 근거지인 칭다오로 데려간 뒤 한 달여 동안 감금, 협박하며 이씨 부모와 누나 등이 살던 집을 급매하도록 해 송금받고 이씨가 가진 빌라 소유권 등을 넘겨받았다.조희팔 조직의 2인자 강태용은 2008년 11월 중국으로 달아났다가 지난해 10월 중국 장쑤성 우시시의 한 아파트에서 현지 공안에 붙잡힌 뒤 국내로 압송돼 수감 중이다./이창훈기자myway@kbmaeil.com

2016-02-23

시가 2억3천만원 상당 장물 휴대폰 불법거래

택시기사들에게서 장물 휴대폰을 사들여 외국으로 빼돌린 일당이 경찰에 무더기로 붙잡혔다. 포항북부경찰서는 택시 승객이 놓고 내린 휴대폰을 사들인 혐의(상습장물취득)로 총책 이모(26)씨 등 11명을 구속하고, 중간책과 택시기사 등 103명을 불구속했다고 18일 밝혔다.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2015년 3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포항과 대구 등지에서 택시기사들로부터 휴대폰을 사들여 휴대폰을 분해한 뒤, 해외로 빼돌려 베트남과 필리핀 등지에서 되팔았다.조사결과, 이들은 밤늦은 시간 길가에서 휴대폰 불빛을 흔들며 택시기사들에게 수신호를 보내는 모집책(일명 `딸랑이`)과 택시기사들로부터 사들인 휴대폰을 분해하고 서울로 보내는 총책, 베트남과 필리핀 등에서 판매하는 해외 판매책으로 구분하는 등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였다.먼저, 모집책은 택시기사들과 접선해 택시 안에서 휴대폰 기종에 따라 개당 1~5만원 사이에 휴대폰을 사들여 대구의 한 중고스마트폰매장으로 보내고, 총책은 휴대폰을 각각 배터리, 본체, 케이스 등으로 분해한 뒤 부품들을 옷가지나 책 사이에 끼워 다시 KTX를 이용해 서울로 보낸다. 이후 서울에서 택배를 통해 베트남이나 필리핀으로 보내고 나면, 현지에서 재조립된 휴대폰이 현지 판매책에 의해 개당 최소 10만원 이상의 가격으로 팔리는 것으로 밝혀졌다.포항 북부경찰서 관계자는 “현재 압수한 휴대폰 288대는 시가 2억3천만원 상당으로, 신원이 확인된 156대를 돌려주고 나머지는 폐기처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이바름기자bareum90@kbmaeil.com

2016-02-19

터널공사비 빼돌린 현장소장 구속·14명 입건

대구지방경찰청은 17일 안전을 무시하고 공법을 임의로 바꿔 공사금을 과다하게 청구하거나 적정 수량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은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등 위반)로 모 건설업체 현장소장 배모(42)씨를 구속했다. 또 배씨의 범행을 묵인하는 대가로 금품을 받은 감리단 관계자와 시공사 관계자 등 8명은 불구속 입건했다. 이어 터널 붕괴를 막기 위해 설치하는 `락볼트`를 설계도에 나오는 수량대로 시공하지 않고 차액을 챙긴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등 위반)로 고속도로 건설 현장 소장 정모(52)씨, 하도급 업체 대표 전모(52)씨 등 2개 공구 관계자 6명도 입건했다.경찰에 따르면 배씨 등은 지난 2015년 3월부터 경주시 외동면 울산~포항 복선전철 3공구 입실터널 공사를 하면서 설계 당시와 다른 공법으로 변경하고 발주처에 17억여원을 과다 청구했다. 이 공구는 붕괴 우려 때문에 화약 발파 대신 비용이 4배 가량 많이 들고 공기도 훨씬 긴 `무진동 암반파쇄공법`을 적용토록 했으나, 배씨는 부당 이득을 노리고 발파를 강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배씨 등은 범행 묵인을 대가로 감리단 관계자에게 150만원 상당의 골프채 한 세트를 제공했다.정씨 등은 지난 2010년 7월부터 지난 2013년 12월까지 경주시 양북면과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 일대 4개 고속도로 터널공사 현장에서 7만4천여개의 락볼트를 쓰도록 한 설계를 무시하고 5만3천여개만 설치한 뒤 정상적으로 공사한 것처럼 서류를 제출해 12억여원을 챙겼다.여기에다 전씨는 지난 2010년 7월부터 지난 2012년 8월까지 포항시 오천읍 울산~포항 고속도로 11공구 현장에서 4개 터널을 시공하면서 설계서에 나온 3만3천여개의 락볼트 가운데 1만4천여개를 시공하지 않고 8억5천여만원을 챙긴 혐의도 추가로 드러났다.경찰은 발주처인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한국도로공사에 부실시공 관련 수사 내용을 통보하고 터널 정밀 안전진단, 관리·감독 강화 등을 촉구하고 과다 지급한 26억5천여만원을 환수토록 했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6-02-18

컴퓨터게임에 빠져 아들 숨지게한 20대 폭행치사혐의 적용

게임을 하러 외출하는데 방해된다며 홀로 키우던 생후 26개월 된 아들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20대 남성에 대한 파기환송심에서 폭행치사 혐의가 적용됐다.대구고법 제2형사부(부장판사 정용달)는 16일 살인, 사체유기, 아동복지법 위반혐의로 기소된 정모(24)씨 파기환송심에서 살인 부분은 항소심과 마찬가지로 무죄로 판단했지만, 폭행치사 혐의를 적용해 징역 8년을 선고했다.앞서 1심은 살인을 유죄로 판단해 징역 15년을, 2심은 “전기와 난방이 끊긴 상태에서 아동이 돌연사 등 다른 원인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살인부분을 무죄로 보고 나머지 두 혐의만 인정해 징역 5년을 각각 선고했다.대법원은 지난해 9월 적어도 폭행치사 내지는 상해치사 혐의가 인정될 수 있다며 사건을 다시 심리하라며 파기환송한 바 있다.정씨는 2014년 3월 7일 오후 2시께 구미시 자신의 집에서 PC방에 가려는데 아들이 잠을 자지 않고 보챈다는 이유로 아들 배를 때리고, 손바닥으로 입과 코를 막아 살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재판부는 “어린 아들을 아파트에 홀로 남겨둔 채 음식도 제대로 주지 않고 장시간 PC방에서 인터넷 게임에 몰두하는 등 피해자에게 기본적 보호·양육을 소홀히 하다가 피해자가 잠을 자지 않고 칭얼댄다는 이유로 폭행해 사망에 이르게 한 점이 인정된다”고 판시했다.다만 “피고인이 어린 나이에 아버지로서 책임을 지게 되어 가정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었고 형사 처벌 전력이 없고 피해자 어머니이자 피고인의 아내가 선처를 탄원하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덧붙였다./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