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평화로운 땅에 우뚝 선 깔끔하고 단아한 무열왕릉

이용선기자
등록일 2024-08-27 18:13 게재일 2024-08-28 16면
스크랩버튼
경주의 재발견 <br/>경주의 신성한 보고(寶庫) 선도산 <br/>&lt;5&gt; 신라왕중의왕 선도산 자락에 묻히다
선도산 초입에 자리한 무열왕릉.

묘호(廟號·왕이 죽은 후 살아생전의 공덕을 기려 붙인 명칭) 태종.

시호(諡號·이전 왕이 사망한 후 다음 왕이 선대 군주에게 붙인 이름) 무열대왕.

휘(諱·선조의 생전 이름)는 김춘추.

비단 신라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만이 아니다. 중고교 시절 졸면서 역사 수업을 들은 학생이라도 한 번은 들어봤을 이름 무열왕 김춘추(603~661). 지금으로부터 1400여 년 전 백제를 병합하고, 고구려의 국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아들 문무왕(김법민)이 ‘삼한일통(삼국통일)’을 이룰 수 있게 초석을 깔아준 사람이다.

한국에 사는 사람이라면 삼척동자에게도 낯설지 않은 무열왕 김춘추의 능(陵)으로 추정되는 고분은 선도산 입구에 자리해 있다. 고문헌은 아주 짤막하게 그의 유택이 위치한 지역을 지목했다. 이런 문장이다.

“661년 음력 6월. 59세로 무열왕이 죽었다. 그는 영경사(永敬寺)의 북쪽에 묻혔다.”

추정하면 7세기 중반 신라엔 영경사라는 이름의 규모가 큰 절이 있었고, 그 절 북쪽이 여러모로 길한 땅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을 터. 왕의 장지(葬地)를 아무 곳에나 쓰는 경우는 없는 법이니까.

법흥왕 때 불교를 국가의 공식 종교로 받아들였던 신라는 선도산 일대를 서방정토(西方淨土)라 부르며 ‘부처가 다스리는 평화로운 땅’으로 생각했다. 바로 그 서방정토 들머리에 존경 받는 왕의 시신을 매장한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선도산 초입에 자리한 공원 형태의 무열왕릉

신라 ‘불교왕국’에 영원히 잠든 무열왕 김춘추

뛰어난 외모에 탁월한 정치력·외교적 성과 등

신라의 영토 확장·국력 강화·통일에 크게 기여

거북 모양 비석 받침돌·사계절 풍경 등 돋보여

◆ ‘서방정토’에 잠든 무열왕 김춘추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선도산 초입엔 공원 형태로 커다랗게 조성된 무열왕릉(사적 20호) 묘역이 있다. ‘마애여래삼존불’이 선도산 꼭대기에서 서라벌의 서악(西岳)을 내려다보는 형상이라면, 무열왕릉은 서악 입구를 지키며 우뚝 선 모습이다.

부정할 수 없는 ‘불교왕국’ 신라가 성스럽게 여겨온 땅에서 영원한 잠에 든 무열왕 김춘추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궁금증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 의문에 간명하게 답하는 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아래와 같은 설명이다.

“태종무열왕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29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54~661년이다. 이름은 김춘추로 진덕여왕 사후 신하들의 추대로 즉위하여 신라 중대왕실을 열었다. 즉위 전부터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를 직접 오가며 탁월한 외교역량을 보여주었고, 김유신과 연합해 신귀족세력을 형성하여 보다 강화된 왕권 중심의 집권체제를 확립했다. 이후 친당외교를 통해 당나라를 후원세력으로 삼고 고구려와 백제를 공략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삼국통일이라는 대업의 토대를 마련한 후 재위한 지 8년 만에 사망했다.”

여러 가지 취재를 위해 지난 몇 년 사이 경주 선도산 자락에 위치한 무열왕릉을 네댓 번 찾았다. 그때마다 ‘참으로 깔끔하고 단아한 고분이구나’란 생각을 했다.

철마다 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주위 풍광도 좋았다. 다른 왕릉 주변에선 볼 수 없었던 귀부(龜趺·거북이 형상의 비석 받침돌)도 이채로웠다.

무열왕은 신라 992년의 역사를 돌아볼 때 ‘왕 중의 왕’이라 불러도 이론(異論)을 제기할 역사학자가 별로 없을 정도의 행적을 보인 인물이다. 그의 학식과 외교 협상력은 탁월했고, 잘생긴 외모까지 돌올했다.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병합하고, 당나라 세력을 축출함으로써 삼국통일을 이룬 7세기 중후반을 다룬 각종 학술논문에서도 무열왕 김춘추의 ‘튀는 행적’은 여러 차례 발견된다.

“668년에 문무왕은 고구려를 평정하고 선조묘 종묘에 개선의식을 거행하였다 이때 태종(무열왕)에게 ‘일통삼한(삼국통일)’의 공덕을 올렸다 일통삼한은 삼한이라는 천하를 평정하였다는 의미로 신라의 왕이 삼한의 천자(天子·하늘을 대신해 세상을 다스리는 사람)라는 것을 뜻한다.”

위의 서술은 경북대 사학과 안주홍의 논문 ‘신라 태종(太宗) 묘호(廟號)와 일통삼한 의식’ 중 한 대목을 인용한 것이다.

‘하늘을 대신해 세상을 다스리는 사람’이란 옛날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최고의 찬사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

문무왕은 무열왕의 아들. 하지만, 아무리 아들이라 해도 터무니없는 업적을 억지로 부풀려 아버지 앞에 바치지는 못했을 것이다. 거짓말을 해서 백성들의 비웃음을 부르는 건 부끄러운 일이므로.

 

Chat GPT로 그린 무열왕 김춘추.
Chat GPT로 그린 무열왕 김춘추.

◆ 고문헌과 학술논문에서 보여지는 무열왕은…

무열왕은 신라 내부에서만이 아닌 당시로선 군사·경제·문화적 선진국이었던 중국 당나라에서도 높이 평가받았다. 조금은 우스운 비유가 될 수 있겠으나, 지금의 보이 밴드가 일으킨 ‘한류 열풍’ 같은 인기였다.

동국대 사학과 김상현의 논문 ‘일연(一然)의 일통삼한(一統三韓) 인식(認識)’에서도 무열왕에 대한 국내외적 호평은 간명하고 명료하게 드러난다. 다음과 같은 형태다.

“당나라의 황제는 김춘추의 풍채를 보고 ‘신성지인(神聖之人·고결하고 거룩한 사람)’이라 칭찬했다. 무열왕이 통치하던 시대를 백성들은 ‘성대(聖代·어질고 현명한 왕이 다스리는 시대)’라고 불렀다. 이는 태종무열왕에 대한 서술이다. 이러한 단편적인 기록만으로도….(후략)”

이처럼 누구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탁월한 정치·외교적 성과와 영토 확장이라는 통치자로서의 업적을 보여준 사람이 묻힌 곳이라면, 그 시절 선도산과 서라벌 서악이 가졌던 위상 또한 결코 만만치 않았을 것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지난 7월 하순. 무열왕릉을 찾았을 땐 무시무시한 폭염이 머리를 치켜들고 있었다. 어지럽게 매미가 울고, 오후의 뜨거운 햇살이 괜한 짜증과 스트레스를 불러왔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무열왕릉이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풀밭 그늘에 다리를 뻗고 앉아 1400여 년 전 드라마나 영화 같았던 신라의 역사를 떠올리니, 참을 수 없을 듯한 더위도 ‘한순간 지나가는 짧은 고통’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새삼스러웠다.

 

거북 형상으로 만들어진 무열왕릉의 비석 받침돌.
거북 형상으로 만들어진 무열왕릉의 비석 받침돌.

◆ 무열왕 외에도 4명의 신라 왕이 묻힌 선도산

무열왕이 잠들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선도산 입구 묘역엔 적지 않은 여행자와 경주시민들이 계절을 가리지 않고 드나든다. 남녀노소 불문이다. 그들을 위해 무열왕릉의 간략한 개요를 ‘위키백과’를 인용해 소개한다.

“무열왕릉(武烈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29대 태종무열왕의 능이다. 선도산 동쪽 구릉에 있는 4기의 큰 무덤 가운데 가장 아래쪽에 있으며, 사적 제20호로 지정돼 있다. 경내의 비각에는 국보 제25호 태종무열왕릉비의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있는데, 이수에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 새겨져 있어 흥덕왕릉과 함께 신라 왕릉 가운데 매장된 왕이 명확한 능으로 보여지고 있다. 발굴·조사는 하지 않았으나, 형태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무덤에 비해 봉분 장식이 소박한 편이다.”

세상 인간 대부분이 그렇듯 무열왕 김춘추도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몸 안에 지니고 살았다. 그에 대한 평가 역시 여타의 인물들처럼 호오(好惡)가 엇갈린다.

“김춘추가 외교관일 때 일본과 중국은 그를 ‘잘생긴 외모에 빼어난 화술을 구사하는 사내’로 기록한다. 동맹을 맺었던 중국만이 아닌 적대국가였던 일본도 김춘추를 좋게 평가한 것”이라는 호평과 함께 “삼국통일 과정에서 대동강 이북을 포기한다는 협약을 당나라와 체결했고, 외세의 힘을 빌려 같은 민족인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다”는 민족주의 성향 사학자들의 비난도 받고 있는 것.

어쨌건 세간을 떠도는 이런저런 이야기와는 무관하게 무열왕은 자그마치 1363년이란 긴 시간 동안 선도산 자락에 누워 웃지도, 울지도, 말하지도 않은 채 잠들어 있다. 그 잠은 편안했을까?

선도산엔 무열왕릉 외에도 진흥왕, 진지왕, 문성왕, 헌안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고분이 있다. 당연지사 이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오면 거기도 가봐야 할 터다.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경주의 재발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