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재발견 <br/>경주의 신성한 보고(寶庫) 선도산<br/><3>선도산 성모(聖母) 혹은 신모(神母)로 불린 여성
고대의 왕 혹은, 문학작품 속에 등장하는 국가의 통치자는 다소간 과장되게 기록되거나 묘사되는 경우가 흔하다. 그가 가졌던 권력의 크기와 보통 사람과는 구별되는 신성(神性)을 강조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금 먼 나라 이야기지만 16세기 프랑스의 사례를 잠시 살펴보자.
수도자에서 의사로 직업을 바꾸고, 거기에 소설가로까지 활동한 프랑수아 라블레(1483~1553)란 작가가 있다.
그가 쓴 작품 중 하나가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이다. 한국에선 그다지 높은 인기를 누린 소설이 아니지만, 프랑스인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최고 작품”으로 추켜세우는 5부작 풍자소설.
이 소설은 비교적 간단한 스토리로 이뤄져 있다. 왕인 가르강튀아의 기이한 출생과 해괴한 행적을 좇아가는 형식이다. 이는 그 당시 풍자소설의 기본적인 골격 중 하나이기도 했다.
고대 건국신화는 신화적 요소와
국가 창업의 역사적인 사건 담겨
신모는 건국 영웅을 낳고 기르며
새 국가의 건설 내지는 그 여정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조력자로
◆무엇이건 범인(凡人)과는 달랐던 왕을 낳은 어머니는...
소설에서 가르강튀아는 ‘어머니의 왼쪽 귀’에서 태어난 것으로 서술된다. 인간이 ‘자궁’이 아닌 ‘귀’에서 생겨난 것부터가 엄청난 상징과 은유를 담은 과장이 분명하다. 게다가 그의 먹성을 묘사하는 대목에 이르면 놀라움은 더 커진다. 이런 것이다.
“소 16마리, 송아지 32마리, 염소 63마리, 양 95마리, 돼지 300마리, 메추리 220마리, 도요새 700마리, 수탉 400마리, 암탉 600마리, 토끼 1400마리, 산돼지 11마리, 사슴 18마리, 꿩 140마리, 오리, 왜가리, 황새, 칠면조….”
어떤 인간도 위에 열거하는 것들을 한꺼번에 다 먹을 수 없다. 이는 15~16세기 부패한 귀족들의 퇴폐와 전횡을 꼬집어 풍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해학이 아니었을까 싶다.
이와는 다른 방식이지만, ‘많이 먹는 왕’의 이야기는 흥미롭게도 신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에서도 나타난다. 아래는 ‘삼국유사’의 인용이다.
“무열왕은 하루에 쌀 서 말과 꿩 아홉 마리를 잡수셨는데 경신년(庚申年) 백제를 멸망시킨 후에는 점심은 그만두고 아침과 저녁만 하였다. 그래도 계산하여 보면 하루에 쌀이 여섯 말, 술이 여섯 말, 그리고 꿩이 열 마리였다.”
출생에서부터 먹는 양까지 평범한 사람과는 판이하게 달랐던 왕들. 그렇다면, 그런 왕을 넣은 어머니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을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신라시대부터 지금까지 선도산 성모(성스러운 어머니) 또는, 선도산 신모(신의 지위를 가진 어머니)로 불리는 여성은 신라의 첫 번째 왕인 박혁거세의 모신(母神)이자, 신령한 산의 여산신(女山神)으로 회자돼 왔다.
1000년을 지속된 강력한 고대 왕조의 출현과도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니, 선도산 성모(신모)의 존재는 출발부터가 기세등등했을 터.
◆건국 영웅 낳고 도움을 주며, 죽은 후엔 제의(祭儀)의 대상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채미하 강사의 논문 ‘한국 고대 신모(神母)와 국가제의(國家祭儀)-유화와 선도산 신모를 중심으로’는 신라를 포함한 고대 왕국의 건국신화 속 여성이 가진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건국신화는 초현실적·초자연적인 내용을 전함과 동시에 국가의 창업이라는 역사적 사건도 포함하고 있다. 한국 고대 건국신화 역시 신화적 요소와 역사적 요소가 있다. 이러한 한국 고대 건국신화와 관련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 왔다. 이중 신모(神母)는 건국 영웅을 낳고 그들을 기르며 새로운 국가를 건설 내지는 건설하기 위해 떠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거나 시조의 조력자로 나온다. 이와 같은 신모로는 고조선의 웅녀와 고구려의 유화, 백제의 소서노, 신라의 선도산 신모와 알영, 금관가야의 허왕후, 대가야의 정견모주가 있다. 그리고 이들 신모는 죽은 후 국가제의의 대상이기도 하였다.”
지금도 사당을 세워 성스러운 존재로 대접하는 선도산 성모에 관해서는 ‘나무위키’ 역시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신라 건국 전의 인물이자 신라의 여신. 고대 한국 문화와 역사에 영향을 끼친 신으로 여러 문헌에서 언급됐다. 사후 경주 선도산의 산신으로 숭배됐다. 혁거세 거서간(박혁거세)의 어머니로 신라시대에 숭배 받은 여성 산신”이라 정의하고 있다.
취재를 위해 두 번째로 경주 선도산을 찾았을 때다. 무열왕릉 뒤편에 자리한 진지왕릉 앞에서 한참 동안 굳은 각오(?)를 다졌다. 땡볕 내리쬐는 한여름에 산길을 꽤 오랜 시간 걸어야 도착할 수 있는 선도산 성모사(聖母祠)까지 가기 위해선 그런 다짐이 필요했기 때문.
마침내 성모사에 이르렀을 땐 섭씨 35도가 넘는 날씨임에도 어떤 서늘한 기운에 잠시잠깐 몸이 떨렸음을 고백한다. 이는 문학적 과장이나 엄살이 아니다.
어쨌건 다음 연재에서는 성도산 성모, 또는 선도산 신모로 불리는 존재의 보다 내밀한 모습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우리 곁 ‘신라 보물’ 서악동 삼층석탑
무열왕릉 입구에서 차를 꺾어 3분쯤 오르막길을 오르면 한국 작은 도시 어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조용한 마을이 모습을 드러낸다.
오가는 사람이 드물고, 땡볕 아래 산새 울음소리만이 청명한 곳. 정확한 주소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705-1번지.
바로 거기 신라인의 예술적 품격을 가감 없이 확인할 수 있는 ‘고대 보물’ 하나가 우뚝 서있다.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慶州 西岳洞 三層石塔)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됐을 것으로 예측되니 만들어진 게 벌써 1400여 년 전.
몹시 귀한 것임에도 너무 쉽게 만날 수 있어서였을까? 석탑이 가진 가치가 쉬이 짐작되지 않았다.
이럴 땐 관련 자료를 찾아볼 수밖에 없다. 기자를 포함해 신라 역사를 잘 알지 못하면서, 호기심은 많은 이들을 위해 ‘두산백과’가 이 탑에 얽힌 이야기를 간략하게 들려준다. 이런 내용이다.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제 석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됐다. 전체 높이 5.07m, 기단의 너비는 2.34m다. 무열왕릉 북동쪽 경사지에 있는 탑으로, 모전탑(模塼塔) 계열에 속한다. 지면에는 두꺼운 장대석(長臺石) 4장을 동서로 깔아서 지대석(址臺石)을 삼았고, 그 위에 8개 돌덩이를 2단으로 쌓아 직육면체의 이형기단(異形基壇)을 구성했다. 경주 남산동 동삼층석탑과 비슷한 형태. 기단 상면에 탑신을 받기 위한 1장의 판석(板石)이 끼어 있는 것은 남산동 석탑에 있는 3단의 층급(層級)에 비해 생략된 형식으로 보인다. 그 위 3층 탑신은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이 각각 1장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초층 옥신은 정육면체로 우주(隅柱)의 표시가 없으며, 정면 중앙에는 얕은 감형(龕形)으로 호형(戶形)을 만들고 그 중앙에 4개의 못자리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금속제의 수환(獸環)을 달았던 자리로 짐작된다…(하략)”
삼층석탑 부근은 계절 따라 피는 작약과 구절초로도 유명하다. 신라문화원(원장 진병길)은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 지역의 문화유적을 보호하고 알리는 활동을 해왔다.
이 단체가 조성한 작약과 구철초 꽃밭은 역사 공부와 아름다운 풍광 속에서의 여유를 원하는 여행자 모두를 만족시켰다. 꽃이 만발하는 철이면 축제도 연다. 물론 이때면 적지 않은 관광객들이 모여든다.
게다가 서악동 삼층석탑에서 불과 수십m 거리엔 왕릉으로 추정되는 커다란 고분이 4기나 존재한다. 신라 진흥왕, 진지왕, 문성왕, 헌안왕이 바로 거기에 잠들어 있을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
서악동, 혹은 서악마을 불리는 곳은 이처럼 ‘경주의 보석’ 역할을 하고 있다. 신라시대 땐 ‘부처가 다스리는 평화롭고 근심 없는 땅(西方淨土)’이라 불렸던 곳이 1천 년 넘는 세월의 흐름 속에서도 그 역할을 바꾸지 않고 있는 것이다.
바로 그 가운데 모든 걸 지켜보고 기억하며 세파를 견뎌 온 서악동 삼층석탑이 있다. 그 탑을 쉽게 보아 넘길 수 없는 이유다.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