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신성한 보고(寶庫) 선도산<br/>(7) 신라 왕들의 유택 사이를 꿈인 듯 떠돌다가
무열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문성왕릉, 헌안왕릉, 그 외에도 왕이나 최고위층 귀족으로 추정되는 이들이 묻힌 것으로 보이는 거대한 능(陵)들….
선도산과 서악마을을 돌아본다는 건 신라 왕들이 조용하게 잠든 유택 사이를 방황하는 일과 다름없다. 신라 천년의 역사 속을 거니는 행위인 것.
진흥왕과 진지왕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였고, 삼국통일의 주춧돌을 놓은 무열왕은 진지왕의 손자다.
살아서 가장 가까웠던 이들이 죽어서도 1천년 이상을 지호지간에 묻혀 서로를 바라보고 있는 형상은 무언가 애틋하고 가슴 뜨거워지는 감흥을 보는 이에게 선물한다. 그게 최고 권력자의 봉분이 아니라 보통 백성의 무덤이라 해도 다를 게 없을 듯하다. 기자 역시 그런 감정을 피해갈 수 없었다.
진흥왕의 손자 진평왕 보문동 왕릉에 묻혀
생전에 사냥 탐닉, 기자는 시 한편으로 추모
조카 문성왕·삼촌 헌안왕 선도산 자락 나란히
문성왕, 숙부에 왕위 물려주고 공작지에 안장
생전 사연 넘어 사후 1천년 이어진 인연 감동
◆진흥왕의 손자가 묻힌 진평왕릉에서 쓴 한 편의 시
신라사(新羅史)를 돌아볼 때 가장 강력한 왕권을 휘두른 통치자 중 하나이며, 공적 또한 숱했던 진흥왕의 능을 찾았던 지난달 하순.
그가 아낀 장남 동륜(銅輪)의 아들, 그러니까 진흥왕의 손자이자 진지왕의 조카인 진평왕의 유택(幽宅)까지 찾아갔다. 할아버지와 숙부가 묻힌 선도산이 아닌 경주시 보문동에 위치한 진평왕의 능. 후텁지근한 바람 부는 한낮. 나무 그늘 아래 앉아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된 진평왕의 모습을 상상했다.
“진평왕(眞平王)은 태어날 때부터 외모가 범상치 않았고 체격이 컸다. 거기에 지혜롭고 의지가 굳기까지 했다. 사냥을 무척 좋아해 이를 말리는 누구의 말도 듣지 않았다. 다만, 죽은 뒤 무덤 속에서도 간언(諫言·왕의 잘못을 바로잡도록 하는 신하의 말)을 하는 충신에게 감동해 사냥을 그만둔다. 진평왕은 키가 11자나 되었으며, 천주사(天柱寺)를 방문했을 때 그가 밟은 돌계단이 한꺼번에 3개나 부서지기도 했다.”
다수의 신라 왕들에 관한 책과 논문을 읽고, 그들의 유택을 찾으며 보낸 몇 주의 시간 탓이었을까? 진평왕릉에 갔던 날 밤엔 다음과 같은 졸시를 쓰기도 했다. 제목은 ‘진평왕릉 훑어간 바람’.
화살 맞은 사슴이 악몽으로 돌아온 밤
청동가위로 길어진 초의 심지를 자른다
조부 진흥이 그토록 만류했으나
버리지 못한 사냥 취미, 그 탓인가
사찰 돌계단을 두부처럼 부순 완력도
열 자 아홉 치의 몸피로도 꿈을 막을 수야
일찌감치 정해놓은 장지가 땅꺼짐에 벌어지고
어젠 검은 그늘 만드는 까마귀 떼 다녀갔다고
품고 자던 마야부인 목을 틀어쥐고
식은땀 범벅으로 깨어난 미명
문득 내려다보니 무섭게 자라있는 발톱
왕의 의지로도 불가능한 일이 있다.
◆선도산, 조카와 숙부의 안식처...문성왕릉과 헌안왕릉
진평왕의 할아버지인 진흥왕과 진흥왕의 차남인 진지왕의 유택 외에도 선도산엔 왕의 지위에 올랐던 조카와 숙부의 안식처가 나란히 자리해 있다. 문성왕릉과 헌안왕릉이다.
선도산 자락에서 볼 수 있는 두 능 역시 그다지 크고 화려하게 장식되진 않았지만, 고적한 풍경 속에 소박하게 솟아 있는 게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그렇다면 문성왕과 헌안왕은 어떤 인물이었을까? 신라 46대 왕인 문성왕에 대해서 ‘나무위키’는 이런 설명을 들려준다.
“신라 45대 신무왕 김우징의 아들로 신라 하대에서 애장왕(제40대) 이후 오랜만에 등장한 적장자 군주다. 김제륭, 김명, 장보고로 이어진 반란의 시대를 끊어내고, 통일신라의 수명을 늘린 수성 군주로 평가된다. 857년 승하했고 공작지(孔雀趾)라는 땅에 묻혔다. 문성왕은 죽을 때 유언으로 아들이 아닌 숙부 김의정(金誼靖)을 후계자로 지목했다.”
자신의 아들이 아닌 숙부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공작의 발가락’이라는 묘한 이름의 땅에서 영원한 잠에 든 문성왕. 그렇다면 지금의 경주시 효현동이 문성왕 때는 ‘공작지’로 불렸던 걸까? 이에 대해서는 또 다른 취재가 필요할 것 같다.
그렇다면 조카로부터 왕의 권력을 받아 신라 47대 왕이 된 헌안왕의 삶은 어떠했을지. 헌안왕의 재위 기간은 857년 가을부터 861년 1월까지로 3년이 조금 넘는 짧은 시간이었다. 게다가 그에겐 왕위를 물려줄 아들이 없었다.
왕으로 있던 858년 봄과 여름에 이상 기후로 백성들이 굶주리자 서라벌 전역에 관리를 파견해 곡식을 나눠주는 선정(善政)을 베풀었고, 제방을 쌓아 농업 생산력을 높이고자 힘썼기에 ‘어진 군주’로 불리던 헌안왕은 당시 열여섯 살이던 사위 김응렴(경문왕)에게 양위(讓位·왕의 자리를 물려줌)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문헌에 의하면 헌안왕 역시 ‘공작지(孔雀趾)에 묻혔다’고 기록돼 있다. (계속)
서악서원에 서려있는 김유신 설화
설총·최치원·김유신 서원에 위패 모실 때
‘김유신 빼자’ 는 말에 꿈 속 나타나 불호령
경주 선도산 입구의 무열왕릉 지척엔 서악서원(西岳書院)이 자리해 있다.
서원(書院)은 조선시대 유교의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학자를 양성하기 위해 전국에 설립한 교육기관. 그중에서도 사액서원(賜額書院)이란 왕이 서원에 현판과 책, 노비 등을 하사함으로써 권위를 높여준 서원을 지칭한다. 서악서원은 사액서원 중 하나다.
서악서원엔 3명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설총, 최치원, 김유신이 바로 그들. 역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셋 모두 여러 차례 이름을 들어봤을 사람들이다.
헌데, 이 가운데 김유신에 얽힌 흥미로운 사연이 옛이야기로 전해져 오고 있다. 조선시대의 야담을 모아 펴낸 ‘천예록(天倪錄)’에 실린 설화다.
서악서원이 사액서원으로 지위를 높일 즈음의 일이다. 김유신, 설총, 최치원 세 사람의 위패를 모두 모신 경주의 서악서원. 이 서원이 사액(賜額·왕이 서원에 이름을 지어서 새긴 편액을 내림)을 받게 되었을 때, 경주 유학자 중 한 명이 말한다.
“설총은 중국 유교 경전을 이두로 풀이한 공적이 있고, 최치원은 문장으로 중국에까지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김유신은 신라의 일개 장군으로 유학자들에게 모범이 될 만한 일을 한 적이 없으니 김유신의 위패를 서원에서 빼야 한다.”
그런 말을 한 며칠 후. 그 유학자는 자다가 꿈을 꾼다. 갑옷을 입은 무사들이 그의 머리채를 잡고 서원 뜰에 꿇어앉혔다. 그때 나타난 김유신이 일갈한다.
“유학자의 덕목은 충(忠)과 효(孝)가 아닌가. 위태로운 나라를 위해 전장에 나아가 삼국을 통일했으니 그것이 충이요, 입신양명으로 부모의 이름을 빛나게 했으니 그건 효다. 그런데, 감히 네가 나를 함부로 평가하느냐?”
꿈에서 깨어난 서생은 두려움에 떨면서 며칠을 앓다가 피를 토하고 죽었다고 한다. 이는 김유신이 가졌던 정치·사회적 위상이 신라시대를 넘어 조선에 이르기까지 낮아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서악서원 설립의 배경과 역사적 내력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가 간단하게 요약하고 있다. 아래와 같다.
“1561년(명종 16) 이정(李楨)을 중심으로 한 지방 유림의 공의로 김유신의 위패를 모시며 창건했다. 1563년(명종 18) 신라의 문장가 설총·최치원의 위패를 추가로 배향했다. 처음은 선도산 아래 서악정사(西岳精舍)로 창건해 향사를 지내오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돼 1600년(선조 33) 서원터의 초사(草舍)에 위패를 봉안했다. 1602년 묘우(廟宇)를 신축하고, 1610년 강당과 재사(齋舍)를 중건했다. 1623년(인조 1) ‘西岳(서악)’이라고 사액됐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헐리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 하나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