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가장 넓은 영토 지배했던 진흥왕과 아들 진지왕

이용선기자 · 홍성식 기자
등록일 2024-09-03 18:38 게재일 2024-09-04 16면
스크랩버튼
경주의 재발견 <br/>경주의 신성한 보고(寶庫) 선도산<br/>서방정토에서 잠든 아버지와 아들&lt;6&gt;
진흥왕의 둘째 아들인 진지왕의 능.
진흥왕의 둘째 아들인 진지왕의 능.

신선이 먹는 복숭아가 열린다는 이야기가 떠도는 산.

서라벌 서쪽에 있는 거대한 봉우리라 해서 서악(西岳).

부처가 다스리는 불화 없는 이상향을 의미하는 서방정토(西方淨土), 또는 극락정토(極樂淨土).

지금의 경주시 효현동에 위치한 선도산(仙桃山) 일대를 신라 사람들은 위와 같이 받아들였다.

거대한 불상 ‘마애여래삼존불’이 내려다보는 곳에 다수의 왕릉이 솟았고, 신라의 첫 번째 통치자 박혁거세의 어머니로 숭배 받는 성모(聖母)가 기거했던 곳. 무언가 비밀스럽고 신비한 분위기 속에 갖가지 설화와 전설이 숨겨진 공간이 바로 경주 선도산이다.

‘두산백과’는 이곳에 자리한 유적, 그 가운데서도 왕의 유택(幽宅)으로 추정되는 능(陵)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이런 문장이다.

“선도산 주변에 유적지가 많다. 경주 진흥왕릉, 진지왕릉, 문성왕릉과 무열왕릉, 법흥왕릉, 서악리 고분군 등이 선도산 자락에 있다.”

화랑도 국가조직 개편·불교 교단 정비한 진흥왕

고구려 영토 한강 유역 빼앗고 함경도까지 진출

대가야 병합으로 백제 팽창까지 저지한 정복군주

차남 진지왕은 형 동륜의 죽음으로 보위 올랐지만

방탕한 생활로 3년 만에 폐위, 쓸쓸히 죽음 맞아

손자 무열왕, 진골 약점 극복 위해 선도산에 묻혀

◆신라시대 선도산의 위상을 짐작케 해주는 왕릉들

지난 주말 다시 찾은 선도산. 그 산 입구 무열왕릉을 지나 10~15분쯤 야트막한 산자락을 오르면 몇 기의 봉분(封墳)이 모습을 드러낸다.

그런데, 크기가 경주 시내에서 볼 수 있는 대릉원의 봉분이나 황남대총과 달리 ‘거대함’과는 거리가 멀다. 어찌 보면 소박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서라벌 백성들에게 선도산이 어떤 의미를 지녔었고, 동시에 그 시절 서악의 위상을 떠올려보면 ‘왕의 영원한 안식처’를 그곳에 만들었던 것에는 어떤 이유가 있었을 게 분명하다.

동국대 사학과 최연식 교수의 논문 ‘선도산의 신성함을 바라보는 세 가지 입장’을 먼저 살펴보자.

“선도산의 신라시대 위상과 관련해서는 산의 동편 자락에 조성된 왕릉들의 존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피장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지만 법흥왕과 진흥왕의 능이 포함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근처에 있는 다수의 왕족 및 귀족들의 고분도 왕릉과 마찬가지로 6세기 후반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시기부터 이 지역이 왕실과 귀족들의 장지로 적극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두 명도 아니다. 다수의 신라 왕이 잠들어있다고 추정되는 선도산 초입은 그런 이유로 묘한 기운이 감돈다. 한여름 뙤약볕을 피해 왕릉 주변 소나무 그늘에 앉아 있으면 불어오는 한 점 바람도 심상치 않게 느껴지는 것.

그런데, 여기서 의문 한 가지. 진흥왕, 진지왕과 달리 무열왕은 6세기 아닌 7세기의 신라 통치자다.

7세기에 세상을 떠난 다른 왕들은 선도산 인근이 아닌 다른 곳에 묻혔다. 헌데, 어째서 무열왕릉은 선도산 입구에 조성된 것일까? 앞서 언급한 최연식의 논문이 아래와 같은 답을 들려준다.

“7세기 전반기에 조성된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의 능은 모두 선도산을 떠나 왕경의 다른 지역에 만들어졌는데, 661년에 죽은 무열왕의 능이 다시 선도산 지역 기존 왕릉 옆에 조성된다. 이는 동륜계의 성골 출신이 아닌 진골로서 왕위에 오른 무열왕이 자신의 혈연 계보가 6세기 후반의 법흥왕·진흥왕·진지왕 등에 이어짐을 보임으로써 정치적 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정치적 결정으로 생각된다.”

이는 충분히 이해와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주장이다. 고대국가는 선거라는 방식을 통해 통치권을 부여받는 현대의 공화정과 달리 권위와 신성(神性)을 바탕으로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했던 군주가 다스리는 나라였다.

신성과 권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하늘이 선택한 자’라는 백성들의 무조건적 믿음이 있어야 했고, 존귀한 혈통임을 스스로 증명해야 했을 터. 성골이 아닌 진골 출신 왕이라는 ‘정치적 약점’의 극복을 위해 무열왕은 ‘동일한 혈통’ 진흥왕에게 기댄 것이라는 추정이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

선도산 자락에 위치한 진흥왕릉.
선도산 자락에 위치한 진흥왕릉.

◆선도산 자락에서 영면(永眠) 중인 진흥왕은…

그렇다면 무열왕의 선대 혈족인 진흥왕은 어떤 사람이며 신라 역사에서 어떠한 역할을 한 권력자인지 궁금해진다.

534년에 태어나 576년 마흔두 살에 타계한 것으로 알려진 진흥왕은 ‘신라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지배했던 왕’으로 유명하다. ‘위키백과’는 그의 삶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진흥왕은 국가 발전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해 사상적 통합을 도모했다. 이를 토대로 신라는 고구려의 지배 아래 있던 한강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으로까지 진출하였으며, 남쪽으로는 562년 대가야를 정복해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 이러한 신라의 팽창은 낙동강 유역과 한강 유역의 2대 생산력을 소유하게 돼 백제를 억누르고 고구려의 남진 세력을 막게 됐을 뿐만 아니라 인천만(仁川灣)에서 수·당(隨唐)과 직통해 이들과 연맹 관계를 맺게 돼 삼국의 정립을 보았다. 이는 이후 신라가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는 계기가 됐다. 진흥왕 때는 신라의 전성기였으며, 정복 군주로 불렸다. 고구려의 영토였던 원산만 훨씬 너머까지 진출한 흔적은 마운령비에서 알 수 있다.”

보통의 사람들은 삼국통일을 ‘무열왕이 기틀을 닦고 문무왕이 완수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그 이전에 진흥왕이 있었던 것이다.

지속적인 정복 전쟁을 통해 고구려의 영토를 차지하고, 대가야를 병합했으며, 백제의 팽창을 저지했던 사람이 바로 진흥왕이었던 것.

그렇다고 진흥왕이 ‘비교할 대상이 드문 강한 무력을 가졌던 통치자’로만 기억되는 건 아니다. 윤희진의 책 ‘인물한국사’는 진흥왕의 예술적 심미안(審美眼)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런 대목이다.

“진흥왕이 지방을 시찰하던 중 가야 출신인 우륵에 대한 소문을 들었다. 진흥왕은 우륵을 불러 가야금을 연주하게 했고, 552년 계고·법지·만덕 세 사람을 시켜 우륵에게 음악을 배우게 했다. 우륵은 계고에게는 가야금을, 법지에게는 노래를, 만덕에게는 춤을 가르친 뒤 왕 앞에서 연주하게 하니, 왕이 기뻐하며 크게 포상했다고 전한다.”

Chat GPT가 묘사한 부친 진흥왕과 아들 진지왕.
Chat GPT가 묘사한 부친 진흥왕과 아들 진지왕.

◆차남 진지왕도 진흥왕릉 곁에 묻혀

진흥왕은 자신이 다스리는 영토 곳곳에 순수비(巡狩碑·왕이 살피며 돌아다닌 곳임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를 세워 복속시킨 땅의 광대함을 내세워 자랑하려했던 ‘정복 군주’였다.

물리적인 힘과 예술적인 감각을 동시에 지녔던 인물이었음에도 진흥왕의 삶이 마냥 행복하지만은 않았다.

그가 아끼던 장남 동륜(銅輪)이 572년 사망한 것이다. 진흥왕이 서른세 살이던 때다. 아들을 앞세운 참척(慘慽) 앞에서 그 슬픔이 왕이라고 달랐을까? 그렇지 않았을 게 분명하다. 속으로는 피눈물을 쏟았을 터.

선도산 자락 진흥왕릉 지척엔 진지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무덤도 있다. 진지왕은 죽은 형 동륜을 대신해 보위(寶位)에 오른 진흥왕의 차남이다. 역사학계는 그를 아버지와 달리 인색하게 평가한다.

‘삼국유사’와 ‘화랑세기’ 같은 고문헌은 진지왕을 “방탕하게 생활하다가 끝내 폐위되어 쓸쓸하게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진지왕릉이 다른 왕릉에 비해 작은 게 그런 이유가 있어서라고 말하는 학자도 있다. 재위 기간 역시 576년에서 579년까지로 3년 남짓한 시간이었기에 길지 않았다.

그럼에도 진지왕은 김춘추(무열왕)의 조부로 오랜 시간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았다. 이것 하나는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어쨌건 선도산 아래쪽엔 증조부(진흥왕), 조부(진지왕), 손자(무열왕)가 함께 잠들어 있다. 아버지 진흥왕은 20대에 요절한 아들 진지왕의 그다지 행복하지 못했던 삶을 측은하게 생각하고 있을지.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경주의 재발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