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

포항 죽도어시장 폐수처리시설 저수조서 50대 수협직원 숨진 채 발견… 질식사 추정

포항에서 폐수처리시설을 점검 중이던 근로자가 숨진 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30일 포항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9일 오후 4시 30분께 포항시 북구 죽도동 포항수협 위판장 지하 폐수시설 저수조에서 포항수협 소속 직원 A씨(57)가 숨진 채 발견됐다.동료 직원 B씨(63)는 A씨가 1시간이 넘도록 사무실로 복귀하지 않자 현장을 찾았고, 그곳에서 의식을 잃은 채 쓰러져 있는 A씨를 목격해 119에 신고했다.해당 저수조는 죽도어시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탱크로 지름 4.5m, 높이 5.5m에 이른다.사고 당시 A씨는 저수조에서 혼자 설비점검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씨의 정확한 사망 원인 파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한 상태다.경찰 관계자는 “당시 저수조 탱크에 1m 정도의 폐수가 있었고,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100ppm 정도였다”며 “사망원인은 황화수소 중독으로 인한 질식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밀폐된 공간에서 저농도(3∼5ppm)의 황화수소에 노출되면 눈과 호흡기 점막이 자극돼 통증이 발생하지만, 농도가 20∼30ppm에 달하면 후각이 마비돼 냄새에 익숙해진다. 농도가 100∼300ppm일 경우 노출 2∼15분 내 신경이 마비돼 질식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2020-07-30

유출 화학물질 방제 다 끝나고서야 뒷북 발송한 긴급재난문자에 ‘혼란’

21일 KEC 구미공장에서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와 관련해 재난당국이 안전안내문자와 긴급재난문자를 거꾸로 발송하면서 시민들의 혼란만 가중시켰다는 지적이다.경찰과 소방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 47분께 구미시 공단동 반도체 제조업체 KEC 구미공장에서 유해화학물질 ‘트리클로로실란’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이날 사고와 관련해 경북도는 사고 발생 후 1시간 가량 지난 오전 2시 43분께 주민에게 대피하라는 내용으로, 구미시는 이보다 늦은 오전 3시 10분께 실내에 대피하라는 내용의 안전안내문자(경보음 없음)를 보냈다. 이후 구미시는 오전 4시께 방제작업이 모두 끝났다는 내용으로 경보음이 울리는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시민이 잠을 자는 시간대에 발생한 사고여서 사고 직후 대피 또는 피난하라는 긴급재난문자를 반대로 발송한 것이다. 경보음이 울리지 않아 발송된 문자를 확인하지 못한 시민들도 많았다.더욱 큰 문제는 사고 발생에 대한 대응 방법을 경북도와 구미시가 서로 다르게 안내하면서 혼란만 더욱 가중시켰다는 점이다.경북도는 ‘KEC공장 유해화학물질 누출 발생. 인근 주민들께서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바랍니다’라고 안내했다. 반면 구미시는 ‘인근 주민들께서는 창문 닫고 실내 대피 바랍니다’라고 메시지를 보냈다.KEC 구미공장에서 유출된 트리클로로실란은 흡입 때 호흡곤란, 두통, 어지러움 등을 초래하는 유해화학물질이어서 자칫 인근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인근 한 시민은 “새벽에 자다가 긴급재난 경보음을 듣고 깜짝 놀라 깨어보니 유해물질 유출사고 처리를 완료했다는 문자였다”면서 “사고 처리가 완료되고 경보음 문자를 보내는 것도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된다”고 지적했다.이 시민은 또한 “경북도와 구미시가 다른 내용의 대처 방법을 알려주는데 대체 어느 기관의 말을 들어야 하는지 모르겠고, 만약 불산사고 처럼 큰 사고가 났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또 다른 시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고 하는데 어디가 안전한 곳인지 알려주지도 않으면 어떻게 대피를 하라는 것인지 모르겠다”면서 “유해화학물질이 어떻게 어디로 확산되는지도 모르는데 무조건 안전한 곳으로 피하라고 하면 끝인지, 행정당국의 안일한 처사가 더 큰 화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다시한번 깨달았다”고 꼬집었다.이에 대해 구미시 관계자는 “안전안내문자와 긴급재난문자가 거꾸로 발송된 부분은 실수가 있었다. 시민들에게 혼선을 끼쳐 드려 죄송하다”면서 “앞으로 이번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공단이 밀집한 구미지역 특성에 맞는 24시간 운영의 안전재난상황실 신설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한편, 21일 오전 1시 47분께 구미 공단동 반도체 제조업체 KEC 구미공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인 ‘트리클로로실란’유출사고로 현장에 있던 근로자 7명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별다른 상처가 없어 모두 귀가했다. 구미시는 공장 지하에서 근로자 7명이 트리클로로실란 용기를 다루던 중 밸브가 파손돼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했다.KEC 구미공장 측은 이날 사고로 113㎘의 트리클로로실란이 유출됐다고 밝혔다. 소방·환경당국과 경찰은 합동으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2020-07-21

경주시체육회 시청 트라이애슬론 감독 직무 정지 검토

트라이애슬론 청소년 국가대표 출신 고 최숙현(23) 선수의 사망과 관련, 전 소속팀인 경주시 체육회가 진상조사를 위한 인사위원회를 열고 감독을 직무 정지를 검토했다.최 선수는 지난달 26일 새벽 부산에 있는 운동부 숙소에서 가족에게 자신을 괴롭혔던 사람들의 죄를 밝혀달라는 짧은 문자를 남기고 가족의 곁을 떠났다.경주시 체육회는 이날 고인이 된 최 선수가 직장팀에서 활동하던 과정에서 감독과 선수들로부터 어떤 폭행과 가혹행위를 당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직장 운동부 감독과 선수 등 3명을 불러 청문할 계획이다. 시 체육회 인사위원회는 경주시체육회장, 경주시 국장, 과장, 시의원, 체육회 사무국장, 외부인사 2명 등 총 7명으로 구성돼 있다.경주시 체육회 관계자는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선수와 감독에 대한 징계여부를 결정하겠다. 지금은 언론에 나온 것 같이 감독과 선수들이 최 선수를 상습적으로 괴롭힌 사실이 있는지에 대해 집중 추궁하겠다”고 말했다.지난 2017년 경주시청 운동부에 입단한 최 선수는 2018년은 컨디션 저조로 쉬고 2019년 다시 활동에 들어가 지난 1월 부산시청으로 자리를 옮겼다. 최 선수는 경북체고를 졸업했으며 제57회 경북도민체전에서 3위,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여자 단체전에서 2위를 수상했다. 현재 경주시트라이애슬론팀은 감독 1명, 코치겸 선수 1명 포함 남자 5명, 여자 5명으로 구성돼 있다.여준기 경주시체육회장은 “최 선수가 경찰에 관련 내용을 신고했고 체육회에서는 수사결과를 기다리던 중 갑작스러운 사건이 발생했다”며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당사자들의 진술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 감독과 선수들을 인사위원회에 회부한 것”이라고 했다.그는 “이번 사건과 관련 직장 운동부 책임자인 감독은 수사가 끝날 때까지 업무에서 배제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사위원회에서 폭행과 가혹행위 당사자로 지목된 선수들에 대한 진술을 듣고 최종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한편 최 선수 폭행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직장 운동부 소속 감독과 팀닥터, 선수 2명은 기소의견으로 대구지검 경주지청에 송치됐다.

2020-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