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람들

시각장애인 IT 개발자로 사회 첫발

17일 송현아 씨가 대구대 경산캠퍼스에서 졸업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비전공자로 글씨도 잘 볼 수 없을 정도로 중증 시각장애 졸업생이 IT 개발자로 사회 첫발을 내디뎌 눈길을 끈다.  17일 열린 2022학년도 전기 대구대 학위수여식에서 학위를 수여 받은 송현아(22, 여) 씨가 주인공으로 포스코휴먼스 표창장까지 받게 된 그는 IT 회사의 AI 사업팀으로 출근하며 IT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여정을 시작했다. 단지 남들보다 눈이 조금 좋지 않은 줄로만 알았던 그는 19살 때 망막색소변성증 판정으로 말미암은 충격은 상상 이상이었지만 2019년, 대구대 아동가정복지학과에 입학했다.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꿈으로 학교 수업은 물론 대구시각장애복지관에서 근로 학생으로 일하고, 사회복지실습까지 열심히 했다.  입학 당시에는 교재나 스마트폰에 있는 글씨를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시력이 괜찮아 다른 장애 학생을 돕는 도우미 활동과 시각장애 학생 연합동아리 ‘푸른 샘’에서 활동하며 장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희망을 배웠다. 하지만, 어느 순간 종이에 적힌 글자는 볼 수 없게 됐고, 스마트폰에 있는 글자만 겨우 읽었다. 그마저도 오랜 시간 볼 수 없었다. 결국, 2021년 무렵 그의 장애 정도는 ‘심한 장애’로 바뀌었다. 희망과 절망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할 무렵, 그는 지인 추천으로 ‘코딩’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SK CC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운영하는 ‘청년 장애인 ICT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비전공자로 눈까지 안 좋아 프로그램 개발 툴(Tool)을 배우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어 교육을 시작한 지 1~2주가 지나자 후회가 몰려왔다.하지만, 스터디를 하며 다른 교육생의 도움을 받고 6개월간 열심히 공부해 수료증을 받아들었다. 이 수료증은 그의 인생의 진로를 바꾸는 ‘무기’가 됐다. 하지만, 장애인에게 취업의 문턱은 더 높았다. 면접 준비를 하면서 “중증 시각장애인이 IT 개발자를 준비하는 것은 처음 본다”는 말과 글자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 코딩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몸으로 증명하고 싶었다. 지난해 9월 그는 경기도 성남의 IT 회사에서 합격 통보를 받고 10월부터 본사에서 근무하며 화면낭독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업무를 열심히 배우고 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

2023-02-20

대구 수성 글로벌 ESD 실천연대 ‘행정안전부 장관상’

대구 수성 글로벌 ESD 실천연대(대표 이영지)는 최근 ‘2022 지역 탄소중립 활성화 우수단체’ 공모에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사진수성 글로벌 ESD 실천연대는 수성구에서 운영하는‘수성 글로벌 여성 아카데미’교육을 수료한 지역 여성들이 지난 2015년에 만든 비영리민간단체이다.이들은 탄소중립 실천에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도록 환경 캠페인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상을 수상하게 됐다.주요 공적으로는 △2020년 코로나19 면 마스크 제작 및 기부 △2021년 릴레이 줍깅 캠페인 ‘수성을 쓰담쓰담 달려요’ △2022년 찾아가는 탄소중립 환경교육 진행 등이 있다.탄소중립과 관련된 활동 외에도 일상생활 속에서 텀블러 사용, 대중교통 이용, 착한소비를 위한 장애인기업, 마을기업 이용 등을 실천하고 있다.이영지 회장은 “앞으로도 수성구의 탄소중립 정책에 발맞춰 지역의 대표 여성 단체로서 다양한 환경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 동참하겠다”고 말했다.김대권 수성구청장은 “탄소중립 정책은 지역주민과 시민단체의 연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면서 “앞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탄소중립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전했다./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2023-02-19

항공기 부품 제조로봇 시연회

한국로봇융합연구원(원장 여준구)이 지난 16일 대한항공 테크센터에서 ‘항공분야 제조로봇 표준공정모델 기술시연회 및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사진한국로봇융합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의 지원을 받아 대한항공과 협력해 ‘항공기 부품 조립 및 가공 자동화 기술’을 개발 중이다.이번 시연회에서 선보인 기술은 6축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항공 금속재 부품 드릴링 및 리베팅, 복합재 트리밍 자동화 공정이다. 이번 시연회에는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기술진 및 로봇 SI 기업으로 (주)티알, (주)주원이엔에스, (주)이루FA시스템, 에스아이에스(주)와 항공기 부품 제조기업 16개 사가 참석해 항공분야 제조 공정의 로봇 자동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시연된 기술이 항공자동화 분야의 후발주자인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조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제조로봇 플러스사업’을 통해 한국로봇융합연구원과 대한항공이 개발한 항공분야 제조로봇 표준공정모델 기술을 로봇SI 기업들이 실제 항공기 부품 제조 공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 사업을 설명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한국로봇융합연구원 여준구 원장은 “이번 시연회에 포함되지 않은 항공기 제작공정분야에서도 로봇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로봇 활용공정모델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대한항공 박정우 본부장은 “항공기 부품 제조기업들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대중소 상생협력을 적극 실천하겠다”며 “제조로봇 플러스 사업을 통해 항공분야 컨소시엄을 구축해 신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