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뉴스

상주에 귀농·귀촌인 보금자리 들어서

[상주] 상주시가 귀농·귀촌인들이 모여 사는 ‘자전거 마을’을 조성했다.7일 시에 따르면 사벌면 묵하리 경천대 인근에 2만9천233㎡ 규모로 조성한 자전거 마을에는 단독주택 36가구가 들어섰다.시는 2016년부터 18억원을 들여 도로와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공사를 했고, 입주자들은 가구당 720만원씩을 부담했다.입주자들은 조합을 결성해 개인 주택을 지었는데 36가구 중 3가구를 제외하곤 부산, 경기도, 김천 등 외지에서 온 사람들이다.자전거 마을은 낙동강 제1경 경천대 인근에 있어 낙동강의 경치를 즐길 수 있다. 또 주변에 상주국제승마장, 상주자전거박물관, 낙동강 둘레길, 자전거 길 등이 있어 레저스포츠를 즐기기에도 좋은 곳이다.마을 명칭은 상주가 자전거 도시인 데다 인근에 자전거박물관과 자전거 도로가 있어 붙여졌다.자전거 마을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주관하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신규마을조성사업)으로 조성됐다.자전거 마을에는 퇴직한 도시인들이 조용한 생활을 즐기거나 농사를 짓기 위해 입주했다.이경호 시 개발지원과장은 “자전거 마을은 낙동강 관광벨트에 위치해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생활여건이 우수하다”며 “앞으로도 거주 공간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 귀농·귀촌 1번지의 명성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곽인규기자

2020-01-07

김충섭 김천시장 “올핸 김천 미래 100년 준비 원년”

【김천】 김충섭 김천시장은 7일 “2020년 경자년은 김천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김 시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해 주요성과와 2020년 시정 운영 방향을 밝혔다.김 시장은 “당초예산 1조원 시대 개막(1조360억원)을 시작으로 국비예산 3천512억원을 확보하고 총 40개의 중앙부처 공모사업(감호지구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재생에너지 복합지원 사업, 해피투게더 센터 등)에 515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이어 “해피투게더 김천운동을 의욕적으로 추진하면서 김천시의 체류형 관광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유동인구 증가와 기업유치로 인한 일자리를 창출했다. 현대글로벌 모터스, 롯데푸드, 대정, 대하산업 등 총 78개 기업 4천728억원의 투자유치도 이끌어 냈다”고 덧붙였다.이를 바탕으로 한 2020년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김 시장은 “4차 산업 혁명시대를 대비해 미래교통·안전클러스터, 초소형 전기차, 드론산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키워 나가고, 혁신도시 시즌2에도 적극 대응해 관련 공공기관을 추가로 유치토록 하겠다”고 했다.이어 “시청에서 혁신도시간 연결도로가 차질없이 추진되고 있다”며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복합혁신센터, 대형병원 등을 건립하고 공공기관과 연계해 기업과 연구기관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나채복기자 ncb7737@kbmaeil.com

2020-01-07

새 생명 있는 곳 어디든 즉각 출동

[상주] 상주소방서가 새 생명이 있는 곳이면 언제, 어디든 즉각 출동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소방서는 저 출산 극복과 ‘아이 낳기 좋은 경북, 아이 행복한 경북’을 위해 상주 전 지역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를 올해부터 전격 시행한다고 밝혔다.‘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는 출산이 임박 하거나 조산 우려가 있는 임산부, 출산 후 거동이 불편한 임산부 등 모든 임산부가 등록대상이다.출산관련 정보를 119에 사전 등록하면 위급한 상황으로 119신고 시 출동하는 구급대원에게 등록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돼 신속한 응급처치는 물론, 보호자에게도 신고상황이 자동 전송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119안전신고센터(www.119.go.kr)를 통해 본인의 출산예정일, 진료병원 등 출산 관련 정보를 등록하면 된다.등록된 가입 임산부가 출산예정일에 가족의 도움을 받기 어렵거나, 거동이 불편하고, 위험한 상황을 대비해 119에 신고하면 대구·경북 지역의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서비스도 포함한다.이주원 상주소방서장은 “구급차 내 분만세트 보강과 구급대원의 응급분만 교육훈련을 통해 수준 높은 ‘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임산부들이 안심하고 어려움 없이 출산 할 수 있는 기반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2020-01-05

구미시, 수도권·대구경북권 대학생에 저렴한 생활관 지원

[구미] 구미시가 수도권과 대구·경북권 대학생들을 위한 생활관을 운영하고 있다.구미지역 출신으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 110여명에게 서울 ‘구미학숙’을 제공한다. 사용료는 연간 입사비 5만원과 월 사용료 15만원이다.시가 2014년 3월 LG디스플레이와 공동으로 60억원을 들여 구미학숙을 개관했다. 건축 연면적 2천487㎡, 부지 608㎡로 지하 2층, 지상 6층, 110명 수용 규모로 입사기간은 1년이다. 방마다 책상, 침대, 냉장고, 인터넷 전용회선이 완비돼 있고, 공동시설로 단체식당, 독서실, 체력단련실 등이 있다. 구미학숙은 매년 3 대 1 이상의 높은 경쟁률을 보여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시는 또 대구·경북권 6개 대학 향토생활관에 총 21억원을 출연해 대학생 210명의 입사를 지원하고 있다.2006년 경북대를 시작으로 영남대, 대구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경일대와 향토생활관(기숙사) 지원 협약을 체결해 매년 대학별 20∼50명에게 신입생 40%, 재학생 60%의 비율로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구미시 관계자는 “향토생활관은 대학 인근의 원룸보다 저렴한 기숙사비로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어 학생과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준다”고 말했다. /김락현기자

202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