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뉴스

상주 농특산물 홍보 공무원들이 나섰다

[상주] 전국 최고의 농업도시에 근무하는 공무원답게 상주시청 직원들이 지역 농특산물 홍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화제가 되고 있다. 상주시는 특색 있는 시정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지난 5월 사과, 배, 오이, 꿀, 곶감 등 상주 지역 대표 농특산물 5가지 품목을 주제로 홍보 영상물을 제작했다.눈길을 끄는 것은 모델이다. 직원 중 20대에서 50대까지 남녀 5명이 모델로 등장해 지역 농특산물을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배 모델로 나선 이정환 주무관(문화예술과)은 동글동글한 얼굴이 배와 닮아 모델로 뽑혔다. 자신의 배를 불룩하게 내민 상태에서 배를 들고 촬영해 웃음을 자아낸다. 꿀 모델로 나선 이인선 주무관(총무과)은 해맑은 웃음으로 달콤한 꿀을 표현했다.모델 선정, 촬영, 편집은 시청 홍보기획팀에서 맡았다. 직원들이 외부 도움 없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해 모델 출연료를 부담하지 않는 등 예산 절감에도 기여했다.제작된 콘텐츠는 시 공식 SNS를 통해 지역 농특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게 된다. 전광판, 대도시 광고 등 다양한 매체에도 활용할 예정이다.시는 앞으로도 관광지, 축제, 시정 소식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이색적인 홍보 콘텐츠를 꾸준히 제작할 계획이다. /곽인규기자

2020-06-02

“자호천·금호강에 이런 담수생물들이 살아요”

[상주] 상주시에 있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2일 낙동강 권역 자호천과 금호강에 사는 대표적 담수생물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정보를 다룬 ‘낙동강 생물길3-자호천·금호강’사진을 발간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하천이나 호수 등에 서식하는 생물 중 눈으로 구별할 수 있고 척추가 없는 동물을 말한다.자호천은 포항시 죽장면에서 발원해 금호강에 합류하며, 금호강은 경산시, 영천시, 대구광역시 등을 지나 낙동강 본류로 흘러 들어간다.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2018년부터 최근까지 자호천 9개 지점, 금호강 4개 지점에 대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현황을 조사했다.이들 13개 지점에 사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45종으로 나타났다.자호천에는 134종, 금호강은 69종이 사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각 조사 지점별 평균 종수는 46종으로 나타났다.가장 많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사는 지점은 자호천 9번째 지점(경상북도 영천시 조교동 단포교)으로 네점하루살이, 꼬마줄날도래 등 54종이 확인됐다. 가장 적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사는 지점은 금호강 4번째 지점(대구광역시 서구 팔달교)으로 깔따구류, 민물넙적거머리 등 29종이 확인됐다.이번 자호천과 금호강에 사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중 대칭이, 큰논우렁이, 노란측범잠자리, 어리장수잠자리, 가시측범잠자리, 잔산잠자리, 알락물진드기 주름다슬기, 작은대칭이, 강하루살이, 뿔하루살이, 한국강도래, 두눈강도래 등 13종은 사진과 지도로 ‘낙동강 생물길3-자호천·금호강’에 수록했다.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다양성연구팀(054-530-0831)으로 신청하면 무료로 받아 볼 수 있다. /곽인규기자

2020-06-02

중진공 경북지역본부, 해외지사화 참여기업 모집

【구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경북지역본부는 오는 9일까지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 촉진을 지원하는 해외지사화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한다.‘해외지사화사업’은 해외에 지사를 설치할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의 현지 지사 역할을 대행해 수출과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고 중진공, 코트라, OKTA에서 수행한다.중진공은 ‘해외민간네트워크’와 함께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현지 유통망 진출, 기술제휴, 법인설립 등의 발전·확장단계 서비스를 제공한다.해외민간네트워크는 중소벤처기업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에 필요한 마케팅·컨설팅 역량을 보유한 해외 현지 컨설팅 전문기업으로 현재 37개국에서 130개사가 활동 중이다.특히, 경북도와 협업해 경북지역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중진공 해외지사화 사업비 중 기업부담금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어 기업의 자금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했다.사업신청은 9일까지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중진공 황의경 경북지역본부장은 “해외지사화 사업을 통해 경북도내 중소·중견기업의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해외시장 신규 판로 개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20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