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2025년 스마트도시 인증 획득⋯AI 교통·데이터 기반 혁신 도시 주도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11-24 15:45 게재일 2025-11-25
스크랩버튼

대구시가 인공지능(AI) 기반 교통플랫폼과 데이터안심구역 구축 등 선도적 데이터 활용 성과로 국토교통부의 ‘2025년 스마트도시 인증’을 받았다. 이번 인증에는 대구를 포함해 안양·부천·수원 등 대도시와 서울 성동·구로·강남·은평, 전남 여수 등 9곳이 신규 선정됐다.

대구시는 주요 250개 교차로에 900여 대 AI 엣지 폐쇄회로(CC)TV 설치와 교통정보 13종 실시간 분석 플랫폼 구축으로 교통 효율성을 높였다. 디지털트윈 기반 교통신호 알고리즘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상습 정체구간 분석, 최적 신호 운영 시나리오 제공 등 정책 결정에도 직접 활용한다.

2025년 대구스마트시티센터에는 데이터안심구역을 조성해 시민과 기업, 연구기관이 안전하게 공공·민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스마트시티·모빌리티, 금융, 의료 등 14개 분야 171종 데이터를 확보하고, 수요기업에 제공해 데이터 기반 혁신 생태계를 강화한다.

또 수성 알파시티 일원에는 스마트도시 특화단지(2025~2027)를 조성한다. 국산 반도체 기반 온디바이스 AI 실증·개발 지원과 민간 개방형 R&D 허브 구축으로 지역 산업과 기술 혁신을 촉진한다.

대도시 부문에서는 안양시가 AI 동선추적·자율주행 버스, 부천시는 모바일 통합플랫폼·AI 복지콜, 수원시는 지능형 교통정보·스마트폰 제한 스쿨존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중소도시 부문에서는 성동구가 주민참여 정책제안 플랫폼, 구로구가 보행보조 로봇·다중인파 안전관리, 강남구가 로봇 테스트필드·미래교육센터, 여수시는 글로벌 스마트관광·원격검침 시스템, 은평구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플랫폼으로 첫 인증을 받았다.

이번 인증으로 국내 스마트도시의 기술력과 시민참여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국토교통부는 인증 도시에 장관 명의 인증서와 동판을 수여하고, 국내외 홍보 및 우수사례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윤종빈 국토교통부 도시경제과장은 “체계적 도시 진단을 통해 지역 간 기술 격차를 완화하고, 스마트도시 우수사례를 국내외로 확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