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력산업의 뿌리 중 하나가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출발한 ‘대흥전기주식회사’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희귀 사료가 국문 번역돼 시민들에게 공개된다. 오랫동안 연구 공백 상태였던 대구 전력·경제사의 초기 형성과 도시 성장의 단서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대구시는 일제강점기 전력산업의 흐름과 대구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는 ‘대흥전기주식회사 연혁사·발달사’ 국문 번역본을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대흥전기주식회사는 일제강점기 주요 고미술품을 대량 수집해 일본으로 반출한 것으로 알려진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가 설립해 1945년까지 운영한 회사이다.
대흥전기주식회사는 1911년 설립된 ‘대구전기’와 1917년 설립된 ‘함흥전기’가 1918년 합병한 것이다. 이후 여섯 곳의 전기회사가 대흥전기를 중심으로 통합되면서 남선합동전기로 이어져 한전의 전신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1934년 작성된 ‘대흥전기주식회사 발달사’와 1939년의 ‘대흥전기주식회사 연혁사’ 두 종류로 120여 년에 이르는 대구 전력산업의 기원을 보여주는 핵심 기록이다. 특히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경영을 맡았던 시기와 전력 공급망 확장, 전기산업 성장 과정 등이 상세하게 담겨 있다.
문헌은 대구를 ‘조선의 나고야’로 표현하며 정치·경제 중심 기능과 활발한 물자 집산 구조를 갖춘 도시로 평가한다. 당시 대구 시가지는 “현재의 5~6배 규모로 성장할 도시”라고 적혀 있어 당시 전기회사가 대구를 높은 전력 수요와 성장 가능성을 갖춘 최적의 사업지로 바라봤음을 보여준다.
또 전력산업을 매개로 도시와 지방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지속적 이익과 공동 번영이 가능하다는 인식이 반복적으로 언급되며, 대흥전기와 오구라가 도시 발전을 바라본 관점을 엿볼 수 있는 대목도 포함돼 있다.
책임 번역을 맡은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오진석 교수는 “대흥전기는 그동안 학술적으로 거의 조명되지 않은 기업”이라며 “이번 번역본은 일제강점기 전력산업사와 대구 경제사 연구의 기반이 될 중요한 사료”라고 말했다.
이재성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당시 전력산업의 형성과 도시구조 변화 속에서 대구가 담당했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라며 “앞으로 지역사 연구자의 연구 기반을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시는 ‘대구부읍지’, ‘대구민단사’, ‘대구부사례’ 등 역사자료를 지속적으로 번역·공개하고 있다. 일정 기간 온라인 검증을 거쳐 ‘대구사료총서’로 발간할 예정이다. 이번 번역본은 대구시 홈페이지내 ‘대구역사자료’에서 열람할 수 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