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대구세계마스터즈육상경기대회(WMAC) 조직위원회와 대구정책연구원은 28일 대구정책연구원 국제회의실에서 ‘2026대구WMAC 성공 개최와 파급효과 창출’을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대회의 성공적 운영과 지역 경제·문화적 효과 극대화를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주제 발표에서 이승환 공주대 교수는 ‘WMAC Daegu 2026 연계 스포츠관광 마케팅 전략’을 통해 체험형 콘텐츠 개발, 도심 축제화, 관광 레거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Run & Explore’(경기와 관광 결합 프로그램)와 ‘City as a Stadium’(도시 공간을 관광무대로 활용) 등 스포츠와 관광의 시너지 방안을 제안했다.
송기룡 대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WMAC Daegu 2026 성공 개최와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서 장기 체류형 관광 설계, 지역기업 중심 물품 조달, 생활체육 확산 등 6대 전략을 제시하며, 대회가 대구의 도시브랜드와 경제를 연결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상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초빙석좌연구위원의 좌장으로 진행된 지정토론에서는 학계, 산업계, 언론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대회의 지속 가능한 유산 창출 방안을 논의했다. 김상태 연구위원은 “대구의 문화적 자산과 산업적 강점을 결합해 글로벌 스포츠 관광도시로 도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양호 대구정책연구원장은 “2026WMAC는 대구가 국제스포츠 중심 도시로 재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생산유발효과 1460억 원, 고용유발효과 1600명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진기훈 조직위원회 사무총장은 “세미나에서 논의된 전략이 대회의 성공적 개최와 글로벌 대구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2026년 대구를 전 세계 스포츠 축제의 장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6대구세계마스터즈육상경기대회는 2026년 8월 21일부터 9월 3일까지 13일간 대구스타디움 일원에서 개최된다. 90여 개국 1만 1000여 명의 육상 동호인이 참가해 34개 종목에서 경기를 펼칠 예정이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