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 섬유·패션산업, 친환경·고기능화로 날개

김락현 기자
등록일 2025-10-12 15:41 게재일 2025-10-13 8면
스크랩버튼
市, 2024년 사업 첫 해, 신규 고용 175%·수출 실적 280% 초과 달성
올핸 1차년도 성과 확산… 기술 지원 강화로 해외 저가 공세 대응키로
Second alt text
섬유·패선 기업들과 간담회 모습./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대구 서구 섬유·패션제품 친환경·고기능화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전통 산업의 혁신과 지방소멸 대응을 동시에 추진하며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24년 사업 첫 해부터 신규 고용 175%, 수출 실적 280% 초과 달성 등 주요 지표를 크게 상회하며 실효성을 입증했다.  

대구시는 중소벤처기업부 ‘시군구 연고산업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총 9억 2000만 원(국비 6억 4000만 원, 시비·구비 2억 8000만 원)을 투입해 지역 섬유·패션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친환경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은 인구감소지역인 서구와 남구의 산업 기반을 강화해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구의 섬유·패션산업은 지역 제조업의 17.3%, 고용의 13.2%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지만, 해외 저가 제품 유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구시는 2024년 12개사, 2025년 15개사 등 총 27개 참여기업을 선정해 △ICT 융합 컨설팅 △시제품 제작 △마케팅 지원 △기술닥터 매칭 등 맞춤형 지원을 진행 중이다.  

2024년 사업 첫 해부터 뚜렷한 성과가 나타났다. 신규 고용은 목표 12명 대비 21명(175%)을 달성했으며, 직접 수출 실적은 목표 2억 원 대비 5억 6000만 원(280%)을 기록해 ‘Made in Daegu’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에 대구시는 2025년 △고부가가치 완제품 개발 확대 △글로벌 마케팅 및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ESG 경영 정착 등을 통해 1차년도 성과를 확산할 계획이다. 또 AI 기반 제품 개발, 친환경 소재 고도화, 생산성 개선 컨설팅 등 기술 지원을 강화해 해외 저가 공세에 대응할 기술적 우위를 확보한다.  

박기환 대구시 경제국장은 “이 사업을 통해 대구가 친환경·고기능 섬유·패션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