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국내 금 시세도 연일 상승하고 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와 경기 침체 속에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의 인기가 높아졌다.
최근 국제 금값은 올해 3월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한 뒤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인 4000달러선을 돌파했다.
국내 금 시세 또한 심상치 않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초 순금 한 돈(3.75g) 기준 70만원을 넘어선 뒤 불과 한 달 만에 80만원을 돌파하며 수시로 신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금은방에서도 변화된 분위기가 감지된다.
9일 찾은 포항시 북구의 한 금거래소는 오픈 직후부터 손님들이 몰려들었고 시세를 묻는 전화 또한 이어졌다.
3년째 매장을 운영 중인 이모씨(60대)는 “최근 한 달 사이 금반지보다 순금 골드바를 찾는 손님이 부쩍 늘었다”며 “문의 전화가 말도 못 하게 많이 온다”고 말했다.
그는 “가격이 계속 오르니 ‘지금 사도 되나’ 고민하는 분들이 많지만 투자 목적인 고객들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100만원은 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꾸준히 적립식 구매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금은방 상황도 비슷했다.
포항시 북구에서 70년간 3대째 운영 중이라는 매장의 업주 박모씨(45)는 “요즘 정말 문의가 많다. 특히 골드바를 찾는 손님들이 주를 이룬다”고 말했다. 박씨는 “명절 대목에 지출이 많아서 그런지 이번 연휴 기간 동안에는 사는 분들보다 팔러 온 분들이 특히 많았다”고 덧붙였다.
실제 금값 급등에 ‘이때다’ 싶어 금제품을 팔러 온 손님도 있었다. 이날 매장을 찾은 김모씨(60대)는 “매일 뉴스에서 금값이 올랐다는 얘기가 나오니 지금이 팔 기회인 것 같아서 왔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금값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은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 달러화에 대한 신인도가 하락하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금값이 상승하는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어쩌면 한 돈당 금값 100만원 시대가 빠르면 올해 중에 달성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금 가격은 올해 들어서만 약 52%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글·사진/정혜진기자 jhj1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