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수성구, 통합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포럼 개최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10-04 09:59 게재일 2025-10-02
스크랩버튼
대구 수성구는 지난달 30일 수성구청 대강당에서 ‘수성구형 통합돌봄 체계 모색을 위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대구 수성구 제공

대구 수성구가 최근 수성구청 대강당에서 ‘수성구형 통합돌봄 체계 모색을 위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2026년 전면 시행되는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비해 지역 특성에 맞는 통합돌봄 모델을 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은 수성구청과 수성구사회복지협의회 공동 주최로 진행됐으며, 보건·의료·공공·민간 분야 전문가 및 유관기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해 다학제적 논의를 펼쳤다. 진혜민 대구행복진흥원 팀장의 발제를 시작으로, 건강보험공단, 민간복지기관, 지역의료, 공공행정 분야 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진 팀장은 발제에서 “통합돌봄은 행정만의 책임이 아닌 보건·복지·주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제도”라고 강조하며, 수성구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조직개편을 통한 컨트롤타워 구축 △지역 자원 체계적 목록화 △협력 구조 설계 △특화서비스 개발의 중요성을 제안했다. 또 법 시행 전 민·관 협력과 현장 중심 실행 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정책토론은 박태영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의 좌장으로 진행됐으며, 각 분야 전문가들은 통합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논의했다. 

장연희 국민건강보험공단 팀장은 “통합돌봄 종합판정과 공단 사업 지원을 통해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명구 대구시지재가노인돌봄센터장은 “민관 협력과 현장 중심 추진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으며, 이수현 범어연합내과 대표원장은 “방문의료와 돌봄 서비스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병정 수성구청 복지정책과 노인복지팀장은 “행정조직 정비와 전담 인력 배치를 통해 실행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이번 포럼은 수성구형 통합돌봄 제도를 위한 민관 협력의 출발점”이라며 “현장의 경험을 공유하고 해법을 모색해 변화하는 복지 환경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구민이 살던 곳에서 존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해 행복 수성을 실현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포럼은 초고령사회 대비 통합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실질적 논의의 장으로, 향후 수성구의 지역 맞춤형 돌봄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