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아·청소년 전문의의 절반 가량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돼 지역간 소아 진료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기준 전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가 전체의 49%를 차지했다.
전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중 53%(3423명)는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 병원급 이상 기관 소속은 1808명(28%)이었다. 18세 이하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는 전국 평균 0.80명이었지만, 서울은 1.1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대구(각 1.01명), 광주(0.97명) 등 대도시는 평균 이상이었다.
반면 경북은 0.52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고, 충남(0.56명), 전남(0.59명), 충북·울산(각 0.62명), 제주(0.65명), 세종(0.69명), 인천(0.70명)도 평균을 밑돌았다. 서울과 충남 간 격차는 두 배 이상이었다.
문제는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감소세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전공의 복귀 과정에서 수도권은 80명, 비수도권은 23명이었지만, 대구권은 단 4명에 그쳤다. 소아청소년과 레지던트 정원 역시 2018년 816명에서 2022년 395명으로 30% 가까이 줄어든 상황이다.
연구팀은 “출생률 감소에 따른 소아 인구 축소가 소아 의료체계의 근본적인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며 “여기에 전공의 감소와 전문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겹치면서 지방의 소아 의료 공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구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의정 갈등 이후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모집이 사실상 끊긴 상태”라며 “앞으로도 지원자가 더 늘어날지 불투명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지역 간 의료자원 불균형을 완화하고 전문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 지원, 소아 의료 지불보상제도 개선, 거버넌스 정비 등 제도적 대책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