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하늘 높이 뻗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팽나무’

등록일 2025-11-26 18:54 게재일 2025-11-27 14면
스크랩버튼
104. 경남 창원 북부리 팽나무와 월잠리 주남저수지
Second alt text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팽나무’로 불리는 노거수.

작은 돌산으로 된 반달 모형의 동산이지만, 이곳은 낙동강과 넓은 평야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와 같은 곳이다. 돌산 주변은 아기자기한 농촌 주택이 둘러싸고 있어 이 또한 멋진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그 정상에는 푸른 가지를 하늘 높이 사방으로 펼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팽나무’가 가을 햇살을 품고 있다. 

 

멀리서 바라본 풍경은 마을에 높이 꽂은 희망의 푸른 깃발이며, 낙동강 홍수의 범람을 막는 제방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500년이라는 반세기의 오랜 세월을 묵묵히 낙동강 하류 홍수의 범람을 막고 마을의 평화와 평야의 안전을 지키며 살고 있다. 그러던 중 2022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종편 드라마에 출연함으로 그는 ‘우영우 팽나무’란 이름으로 일약 유명 인사가 되었다. 

 

드라마 출연 유명 인사 ‘우영우 팽나무’
500살, 키 16m·가슴둘레 6.8m의 거인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마을의 수호목’

 

자연과 인간이 빚어낸 터전 주남저수지
낙동강 물줄기가 만들어낸 배후습지 위
사람의 손으로 제방 쌓이며 지금의 모습


때마침 공직자 출신의 모임인 ‘문경회(文卿會)’가 창원에서 열리게 되어 ‘우영우 팽나무’ 노거수를 한번 보고 싶다고 제안하자 유사인 창원의 원촌 선생께서 흔쾌히 이를 받아드려 ‘우영우 팽나무 노거수’와 ‘주남저수지’를 일정에 넣어 특별한 생태 문화 체험을 누렸다. 거기에 우리 일행을 안내까지 해 주어 더 없는 즐거운 가을 여행이 되었다. 

 

그는 모임의 분위기를 웃음꽃으로 피우는 남다른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직에 있을 때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여 높은 직위까지 올랐다. ‘우영우 팽나무’는 창원 의창구 대산면 북부리 102-1번지, 동부마을 언덕 위에 주소를 둔 나이 500살, 키 16m, 가슴둘레 6.8m, 앉은 자리 27m의 거인이다. 그는 낙동강과 평야가 어우러진 경관 속에서 마을의 상징으로 2022년 10월 7일 천연기념물 제673호로 지정되었다. 마을의 수호목으로 주민들은 당산제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고 있다. 

 

그 우람하고 장엄한 모습에 압도되어 우리 일행은 경외감을 표하고 그와 함께 기념 촬영도 하고 노래로 재롱도 떨었다. 창원의 화정 선생과 원촌 선생께서 가곡을 한 곡 멋지게 뽑았다. 노래는 황혼의 심금을 울리고 낙동강 물 따라 남해로, 갈바람 따라 높고 푸른 하늘로 울려 퍼져나갔다.

 

이곳 언덕의 작은 고갯마루에 살고 있는 화정 선생의 집안 동생 집에 초대되어 다과를 즐기면서 동생은 ‘우영우 팽나무’를 늘 볼 수 있고 사계절 주변 농촌 경관이 아름다워 이곳으로 왔다고 말했다. 가까이 낙동강 둔치에는 요즘 가장 핫하게 떠오르는 파크 골프를 많은 시민이 즐기는 모습은 나에게는 생경한 풍경으로 다가왔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핵심은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천재 변호사 우영우가 대형 로펌 ‘한바다’에 입사하여 다양한 사건을 맡으며 성장하는 이야기이다. 주인공은 사회가 규정한 정상의 틀과 다르지만, 그 다름의 속에서 진실을 바라보는 독특한 시선과 순수한 정의감을 지니고 있다. 

 

작품은 법정 드라마의 외형을 띠지만, 실은 장애와 편견, 인간의 다양성과 사회 정의 그리고 공감의 회복이라는 깊은 주제를 담고 있다. 대사 한 줄 한 줄이 따뜻한 철학처럼 남는다. 우영우가 말하는 “고래는 혼자 다니지 않아요. 고래는 함께 헤엄쳐요.”라는 대사는, 혼자이지만 결코, 고립되지 않는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상징이기도 하다. 

Second alt text
주남저수지의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팽나무는 오래전부터 우리 민속에서 마을의 수호신, 정령이 깃든 나무, 바람과 기억의 나무로 여겨 왔다. 그 아래에는 당산제를 지내고, 마을회의를 하는 등 공동체의 중심이자 역사의 목격자이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이 전통적 의미를 현대적으로 되살려, 팽나무를 법과 인간, 자연과 문명, 정의와 생명의 경계에 세워 놓았다. 

 

그것은 문학과 철학이 만나 하나의 숲을 이루는 순간이었다. 드라마는 인간의 다름과 정의의 본질을 다루었고, 팽나무는 그 철학을 시각적, 상징적으로 구현한 생명의 상징이었다. 둘의 만남은 자연 속의 정의와 생명으로서의 인간을 일깨운 감동의 장면이 되었다. 

 

이렇게 마을의 노거수는 얼마든지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여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나무와 함께 익어가는 삶을 실천할 수 있다. 바로 ‘우영우 팽나무’는 이러한 사례의 본보기가 아닐까 싶다. 도로 확장 공사로 잘려 나갈 위기에 처한 한 그루의 팽나무는 수백 년 동안 그 자리에 서서, 비바람과 세월을 함께 견디며 마을 사람들에게 그늘과 쉼을 내어준 나무이다. 한 편의 드라마가 이 고요한 마을의 팽나무 노거수를 세상에 알렸다. 

 

멀리서 많은 사람이 찾아와 조용한 마을은 순례지처럼 변했다. 팽나무는 여전히 말이 없지만, 그 침묵 속에는 세월의 이야기가 흐른다.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어머니의 소원 기도, 마을 어른들의 숨결이 바람결에 얹혀 나뭇잎 사이로 스며든다. 팽나무의 뿌리는 땅속 깊이 생명의 맥을 잇고, 그 가지는 하늘로 뻗어 다음 세대를 품는다. 그 모습은 마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정의의 형상 같다. 나무가 그랬듯이 우리 또한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세상을 품을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생명과 정의의 변론이 아닐까. 생명과 정의의 변론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한 장면이 오랫동안 마음에 남는다. 

 

이 감동을 안고 우리는 이웃에 있는 생명의 물결이 머무는 곳, 주남저수지로 향했다.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과 동읍 일대에 자리한 주남저수지는 자연과 인간이 함께 빚어낸 생명의 터전이다. 낙동강의 물줄기가 만들어낸 배후습지 위에 1920년대 사람의 손으로 제방이 쌓이며 지금의 모습을 이루었다. 

 

처음에는 농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을 위한 인공 저수지였지만, 세월이 흐르며 이곳은 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 갈대밭과 연꽃, 마름, 가시연꽃이 뒤섞여 물 위에 작은 숲을 이루고, 해마다 겨울이면 수만 마리의 철새가 하늘을 덮는다. 가창오리, 재두루미, 저어새, 흰꼬리수리 등 멸종위기 새들이 이곳을 찾아와 쉼을 얻는다. 주남의 하늘은 새들의 노래로 가득하고, 물빛은 계절의 숨결로 반짝인다. 이곳은 생명이 머무는 하나의 세계이다.

 

사계절이 또렷한 온대의 기후 속에서 주남저수지는 언제나 변화하며 살아 있다. 봄이면 백로와 쇠오리들이 산란을 준비하고, 여름에는 연꽃이 만발해 수면 위에 붉은 마음을 띄운다. 가을이면 들판에는 황금빛으로 물들고 제방에는 물억새로 수놓는다, 겨울에는 하얀 두루미를 비롯하여 철새들이 하늘을 덮는다. 사람들은 철새를 보러 오고, 아이들은 생태학습관에서 생명의 순환을 배운다. 

 

도시와 가까운 거리지만, 이곳에 서면 문명의 소음이 멎고 자연의 숨소리만 들린다. 주남저수지는 인간이 잃어버린 공존의 질서를 되찾게 하는 거울이다. 수많은 생명이 서로의 자리를 내어주며 살아가는 이 호수에서, 우리는 비로소 살아 있다는 뜻을 배운다. 제방의 억새꽃이 가을 낙조에 고개 숙이고 윤슬에 반짝이는 둥근 해를 품은 저수지의 생명체는 평온한 저녁을 맞이한다. 우리는 뚝방의 산책길을 걸으면서 조용히 황혼에 물들어간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Second alt text
주남저수지의 아름다운 낙조.

주남저수지는…

저수지: 주남, 산남, 동판 저수지 총 926.5ha. 제방 9km
조류: 겨울철에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큰기러기, 물꿩, 물총새, 원앙 등 철새가 월동하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철새 도래지 
수생 식물: 33목 69과 233종, 연꽃, 자라풀, 통발, 물억새, 생이가래, 마름, 개구리밥 등 
수서 곤충: 170여 종, 소금쟁이, 잠자리, 게아재비, 물자라 등
어류: 가물치, 잉어, 붕어, 메기, 동자개 등이 서식한다

 

수필가 장은재의 명품 노거수와 숲 탐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