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2·3호기 놓고 주민과 갈등 심화… 공사비·필수설비 유지 설명 주민협의체 “달서구만 기피시설로 희생… 조건 없는 반대” 충돌
대구 달서구 성서소각장 ‘계속 사용’ 방침을 놓고 대구시와 주민협의체가 충돌하면서 예정된 주민설명회가 무산됐다.
대구시는 26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성서자원회수시설 2·3호기 대보수 사업 기본계획 주민설명회’를 열어 사업 내용을 설명할 예정이었으나, 행사 시작 전 주민협의체는 시가 일방적으로 행사를 추진하려 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한 주민은 “2019년 1호기 대체 사업 때 160t을 360t으로 늘리면 2·3호기는 자동 폐쇄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도심 한복판 시설을 왜 달서구만 떠안아야 하느냐. 타당성 조사 결과도 안 나왔는데 대보수 전제로 설명회를 하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구시는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이 올해 6월 시작돼 내년 3월 완료 예정으로, 중간 경과를 공유하기 위한 자리”라고 해명했지만, 주민들은 “기본계획엔 관심 없다. 왜 달서구만 또 희생해야 하는지부터 답하라”고 맞섰다.
더불어민주당 이준형 달서병지역위원장은 “2호기 사용 기한이 끝나 주민들은 원점 재검토를 기대했다”며 “2030년 직매립 금지 이후 달서구만 기피시설을 떠안으라는 건 부당하다. 보상·대책도 없이 대보수를 기정사실화한 설명회는 주민 무시”라고 비판했다.
박종길 달서구의원도 “대구시 쓰레기 정책은 오락가락한다”며 “폐기물시설 설치 촉진법상 주민 편의시설은 강제 조항인데, 마치 선심 쓰는 것처럼 말하는 건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규 360t 시설이 1100억인데 비슷한 시기 대보수 320t 시설이 1162억 원이라니 말이 되느냐. 2023년 표준 단가 적용하면 1793억 원이다. 600억 원 차이를 설명하라”면서 “달서구에서 쓰레기를 30년 태웠고 앞으로 또 30년 태워야 한다. 최소한 시설이라도 제대로 지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구시는 “1호기 공사비는 2018년 설계 당시 단가(톤당 3억 1600만 원) 기준으로 기술심의·경제성 검토를 거쳐 확정된 것”이라며 “1210억에 69억이 부족해 2023년 1월 증액을 신청했고, 예산을 기다리는 동안 공사를 진행하면서 감액했다. 필수 설비는 건드리지 않았고 부족분은 관리동 통합 등으로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환경부 지침상 공사비의 20% 범위 안에서 주민 편의시설 사업을 할 수 있다.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치를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대구시의 이러한 설명에도 주민협의체는 “찬성하는 주민은 단 한 명도 없다. 협의체는 조건 없는 반대를 유지한다. 이 자리에 있을 이유가 없다”며 행사장을 빠져 나가면서 설명회는 사실상 파행으로 끝났다.
글·사진/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