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찰청 실무협의회 합의<br/>관련 종사자 지원 조례 제정 모색<br/>자진 철수 안되면 사법기관 단속<br/>도시정비계획 제시 건물주 설득
본지가 최근 집중보도(8월 6일∼8월 26일까지 기획취재 5회)한 구 포항역 일대 성매매 업소를 근절하기 위한 관계기관의 논의가 본격화됐다. 경북경찰청은 지난 8일 포항북부경찰서에서 포항 성매매 집결지(중대) 폐쇄 방안을 놓고 실무협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경북경찰청을 비롯해 경북자치경찰위원회, 포항시 등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성매매집결지폐쇄TF(태스크포스)’를 구성키로 한 데 이어 집창촌 실태 조사와 성매매 종사자 지원 조례 제정 방안 등을 모색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일단 포항성매매 집결지는 폐쇄한다는 데는 합의했다. 다만, 건물소유주들의 저항 등 반발이 예상되는 만큼 집결지를 포함한 인근 지역 도시 정비 계획 등도 함께 제시하며 설득해 나가기로 했다. 포항성매매집결지 해소와 관련, 포항시 등은 자진폐쇄가 가장 좋은 방안이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경찰 등 사법기관이 나서 단속 등을 통해 강제 폐쇄하는 대책도 마련키로 했다.
이번에 개최된 실무협의회에는 경북도지사 관할로 경북경찰청 시책과 정책 사항을 심의 의결하는 기구인 경북자치경찰위원회도 참석, 의견을 제시하며 힘을 보태 집장촌 폐쇄에 한층 탄력을 붙을 전망이다. 경북자치경찰위원회 관계자는 “집창촌 폐쇄는 지역의 숙원이지만, 종사자들에게는 또 다른 아픔이 될 수 있어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면서 “경찰과 지자체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이 문제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포항 성매매 집결지는 1950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해 74년 동안 운영되고 있다. 도시미관을 헤침은 물론 지역 이미지 실추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지적에 따라 포항시가 용역을 통해 성매매 집결지 실태 보고서를 작성하고, 집결지 내에 현장 시청을 설립하는 등 나름대로 움직이고는 있으나 시 단독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영업 현상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다. 더욱이 최근 북부 죽도동 일대 유흥업소 거리인 ‘서부시장’에서 칼부림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는 등 점차 우범화 되고 있기도 해 치안사각지대라는 지적과 함께 시민불안을 야기 시키고 있다.
한편 강원도 원주경찰서와 원주시는 지난 14일부터 원주시 학성동 옛 원주역 인근 성매매 집결지인 ‘희매촌’의 합동단속에 들어갔다. 6·25 전쟁 후 성매매 여성이 집단으로 거주하면서 형성된 ‘희매촌’은 강원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남은 성매매 집결지로, 36개 업소에 54명의 성매매 여성이 종사하고 있다. 포항성매매집결지도 업소 규모나 종사자가 이와 엇비슷하다.
원주시와 원주경찰서는 “성매매집결지가 폐쇄될 때까지 경찰의 강력한 단속은 계속된다”고 밝히고 요즘 매일 희매촌 골목골목을 돌며 성매수 남성의 접근을 차단하는 예방적 단속 등을 펼치고 있다. 성매매집결지가 전국적으로는 7개 시도에 10곳이 아직 운영 중에 있다. 앞서 대구자갈마당을 비롯 충남 아산시 온천동 장미마을과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노송동 선미촌 등은 지자체와 경찰의 강력한 철거 시책과 단속으로 폐쇄됐었다.
/성지영 인턴기자 thepen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