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마음속에 피리 ‘만파식적’

등록일 2025-07-06 18:11 게재일 2025-07-07 12면
스크랩버튼
시민기자 단상

Second alt text전설은 때로 역사를 넘어, 마음에 남는 울림으로 살아 숨 쉰다. 신라의 문무대왕과 김유신 장군의 이야기가 그렇다. 그들은 세상을 떠난 뒤에도 나라의 평화를 위해 힘을 보탠 존재로 전해진다. 그 상징이 바로 만파식적이다.

문무대왕은 살아서는 삼국을 통일했고, 죽어서는 바다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유언을 남겼다. 그의 아들 신문왕은 그 뜻을 받들어 수중릉을 조성하고, 감은사를 세웠다. 그 바다 위에서 어느 날 기이한 일이 일어났다. 파도에 따라 밀려오고 밀려가는 작은 산, 그 위의 대나무 한 그루. 낮에는 둘로 나뉘고 밤에는 하나로 합쳐지는 그 현상은 왕에게 큰 경외를 안겼다.

점치는 관리는 예언했다. “문무대왕과 김유신, 두 성인의 덕이 성을 지킬 보배를 내리려 하옵니다” ㅗ그 보배는 바로 피리였다. 신문왕은 대나무를 베어 피리를 만들었고, 그것은 전설처럼 신비한 힘을 지녔다. 피리를 불면 병이 낫고, 비가 오며, 전쟁은 멈추고 파도는 잠들었다. 만 가지 파도를 그치게 한다는 의미에서 ‘만파식적’이라 이름 붙였다.

이후 화랑 부례랑이 이 피리와 함께 말갈의 손에서 탈출하는 기적을 겪으면서, 피리는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단순한 악기를 넘어, 그것은 신라의 국보였고, 신성한 통치의 상징이자 백성들의 정신적 위안이었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금척처럼, 만파식적 또한 나라의 정체성과 왕권의 정당성을 상징했다.

신라의 종, 성덕대왕신종이나 오대산 상원사 범종의 꼭대기에 새겨진 피리 문양은 단지 장식이 아니다. 그것은 들리지 않는 소리로써 우리에게 어떤 이상을 전하고 있다. 질서와 조화, 그리고 평화에 대한 염원 말이다.

문무대왕은 용이 되어 바다를 지키고, 김유신은 천신으로 인간 세상에 내려왔다. 이 두 성인의 정신은 단지 전설이 아닌, 천 년을 건너 오늘날까지 남은 신라의 숨결이다. 시대는 바뀌었지만, 우리는 여전히 갈등 속에 흔들리고, 이념의 파도 앞에 중심을 잃는다.

지금 우리 사회를 돌아본다. 분열과 대립, 비난과 편 가르기가 넘치는 시대에, 우리는 무엇으로 그 파도를 잠재울 수 있을까. 해답은 먼 미래에 있지 않다. 그것은 오히려 옛사람들이 품었던 단순하고도 간절한 바람 속에 스며 있다.

만만파파식적은 마음의 피리였다. 누군가 대신 불어주기를 기다리기보다, 이제는 우리 각자가 그 피리를 마음에 품고 조용히 불어야 할 때다. 그것은 서로를 다독이는 말 한마디일 수도 있고, 다른 이의 아픔에 공감하는 눈빛일 수도 있다. 거창하지 않아도 좋다. 단지 타인을 잠시 멈춰 바라보는 따뜻한 숨결이면 된다.

그 피리의 소리는 높지도, 빠르지도 않다. 그러나 그 음색은 지극히 따뜻하고 멀리까지 퍼진다. 신라의 바다 너머로 불어오던 그 평화의 소리처럼. 

/김성문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