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장, 본사 주최 `원자력 컨퍼런스`서 밝혀<br> 지역 주민들과 대화창구<br> 원전 안전협의회도 구성
원자력사업의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해 원전관련 정보가 100% 공개된다. 또 국내원전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경북지역에 원자력부품연구원이 설립될 전망이다.
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장은 20일 경주 소재 경북관광공사 육부촌에서 개최된 경북매일신문 주최, `원자력사업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한 컨퍼런스`<관련기사 2, 3, 5면>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원전부품비리 사태로 국민들을 불안케 한데 대해 송구스러운 마음 금할 길 없다”면서 “원자력 안전에 대한 정보는 100% 다 공개하고 향후 원전이 시민들과 소통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지역민과의 대화창구로서 지역을 대표하는 인사들과 `원전안전협의회`구성 계획도 약속했다.
그는 “안전협의회는 현안사항을 실시간으로 지역주민들에게 알리고, 현재의 방사성 준위는 물론, 지역별 원전 운영현황 및 사고·고장 상황, 그에 따른 방사성준위 등을 즉시 공개하고, 문제점에 대한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원전정보 중 가장 많은 갈등을 야기하는 부분이 발전소 인허가”라며 “현재 원전 사업은 정부 결정 후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지만 향후 절차를 대폭 변화시켜 원전 사업 결정에 앞서 지역 추천 전문가와 주민 의견 수렴 후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주민 소통을 강화하고 향후 원전사업이 주민 입장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제도화할 것”이라고 약속하고, “주민들의 현장 목소리를 듣기 위해 현장 설명은 물론 이메일, 홈페이지를 통한 질문에 즉각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 산업이 침체기를 맞고, 일부 국가는 원전을 중단하기도 했지만 우리나라는 에너지 사정이 열악해 원전을 운영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면서 “원전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화 작업이 현재 진행 중이며, 사업이 완료되면 최근 발생한 비리와 같은 일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위원장은 경북도가 출연하는 원자력부품연구원 설립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그는 “국내 원전설비의 80%가 들어서 있는 경북은 물론 부산쪽에서도 의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경북지역 설립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히고, “다만, 부품연구원이 설립되더라도 관련산업과의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경제성이 배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kt@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