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만남과 마주침

유영희 인문글쓰기 강사·작가 새해가 되었다. 올해는 또 어떤 일이 있을지 한편으로는 두렵고 한편으로는 기대된다. 삶이란 수많은 만남의 연속이지만, 그 만남에는 약속한 만남도 있고 뜻밖의 만남도 있다. ‘만나다’에는 ‘두 강줄기가 만나다’처럼 물리적인 맞닿음의 의미도 있고, ‘불운을 만나다’처럼 ‘당하다’의 의미도 있지만, 앞뒤 맥락 없이 ‘만나다’만 있을 때는 사람이 일부러 가거나 와서 마주 보다의 의미가 떠오른다.그에 비해 ‘마주침’에서는 우연성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어쩌다 마주친 그대 모습에 내 마음을 빼앗겨버렸네’라는 노래 가사처럼 그 우연한 만남에는 무언가 강한 감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충돌이라는 약간의 부정적 뉘앙스도 풍긴다. 여기서 충돌은 서로 부딪치는 것이라서 ‘당하다’와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그러나 ‘만남’과 ‘마주침’, 두 단어는 단칼에 구분할 수 없는 미묘한 관계이다.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처럼, 만남이라고 쓰지만 마주침의 의미로 쓰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강한 감정을 일으키는 우연한 만남이라는 의미로는 아무래도 만남보다는 마주침을 더 많이 쓰게 된다.이렇게 마주침에는 혼란이 따른다. 강한 감정을 일으키는 큰일을 당할 때는 물론이고, 공동의 이익과 관련된 결정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맞닥뜨려도 합리적인 선택 기준이 무엇인지 우왕좌왕하게 된다.얼마 전 집합주택 건축을 위한 정비업체 선정 투표 과정을 가까이에서 볼 기회가 있었다. 해당 분야 관련 실적이나 신뢰도를 가늠하는 재무 상태와 같은 객관적 평가 분야에는 70점을, 입찰 가격 평가에서 평균에 가장 가까운 업체에 점수를 많이 주는 상대 평가 분야에는 30점을 주고 두 점수를 합하여 총점을 매긴다고 한다.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업체가 우수한 업체이고 당연히 그 업체가 선정될 것이라 기대하지만, 그 투표에서는 뜻밖에도 최고 점수보다 훨씬 못 미치는 점수를 받은 두 번째 업체가 선정되었다. 그 이유는 두 번째 업체의 입찰 가격이 현저하게 낮아서 투표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비용이 절감되었기 때문이다. 최고점이 아닌 업체가 선호도는 더 높은 이상한 결과가 나온 셈이다. 차점자 업체가 선호도가 더 높은 점수 체계를 합리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이런 채점이 완전히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점수표의 타당성을 높여가려는 노력이 더 필요할 뿐이다.대통령 선거가 두 달 남았다. 저마다 마음에 두는 후보는 있겠지만, 그 선택이 합리적인가 하는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는 의문이 든다. 정비업체 투표 과정을 지켜보다 보니, 대통령직에 필요한 객관적 자격 요건을 정하여 점수를 매기고, 후보자끼리 비교할 수 있는 상대 평가 항목도 만들어 채점을 해보고 싶어졌다. 채점 항목도 많고 배점 방식도 복잡해서 쉽지는 않겠지만, 몇 가지 눈에 띄는 모습으로 결정하는 것보다는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혹시나 좋은 점수가 나온 후보를 선택한다는 보장이 없을지라도 그런 시도는 의미 있을 것이다.

202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