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4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량 5년새 8배 이상↑… 용산구 최다

40억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량이 최근 5년 새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5년간 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 40억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의 거래량은 2013년 12건에서 지난해 105건으로 늘었다.특히 강남권에서 고가 아파트 거래가 많았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40억원 이상의 초고가 아파트 거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용산구로 나타났다.최근 5년간 40억 이상 고가 아파트가 거래된 지역을 보면 총 255건 중에서 절반이 넘는 141건이 용산구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 강남구(76건) ▲ 성동구(34건) ▲ 서초구(2건) ▲ 중구(2건) 등의 순이었다.용산구 한남동에서는 ‘한남 더힐’이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분양전환이 이뤄지면서 초고가 아파트 거래량이 급격히 늘었다.이어 삼성동 아이파크, 도곡동 타워팰리스, 청담동 마크힐스이스트윙과 상지리츠빌카일룸 등 다양한 고가 아파트들이 들어서 있는 강남구가 두 번째로 거래가 많은 지역으로 꼽혔다.성동구 성수동에서는 ‘갤러리아 포레’의 거래가 매년 꾸준하게 이어지면서 5년간 총 34건의 거래가 이뤄졌다.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고가 아파트의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은 수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특히 용산구, 강남구, 성동구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고가 주택을 원하는 수요가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8-04-17

서울 아파트 ‘갭투자 비용’ 평균 2억3천만원

최근 서울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살 때 필요한 ‘갭투자 비용’이 2011년 이후 최대로 증가했다.지난달부터 매매가격이 약보합세로 돌아섰지만 연초 급등했던 가격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반면, 전셋값은 상대적으로 많이 하락해 갭투자 비용이 늘어난 것이다.입주 물량 증가로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의 양도소득세 중과, 대출 강화 등 다주택자 규제와 맞물리면서 지난 2년여간 활기를 띠었던 갭투자도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16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갭투자 비용(매매가 평균에서 전세가 평균 금액을 뺀 차액, 재건축 대상 제외)은 평균 2억3천199만원으로 작년(1억9천250만원)과 비교해 1억원(20.5%) 가까이 증가했다.이는 2011년 2억5천243만원을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만약 전셋값이 싼 재건축 대상 아파트까지 포함하면 갭투자 비용 부담은 이보다더 커진다.서울 아파트 갭투자 비용은 2008년 매매가격 급등으로 3억2천253만원까지 벌어진 뒤 하락하기 시작해 지난 2015년에는 매매 약세, 전세 강세 영향으로 1억2천715만원으로 축소됐다. 부동산114 통계 기준으로 올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재건축 제외)은 6억8천490만원으로 작년 말 대비 6.79% 올랐으나, 전셋값은 평균 4억5천291만원으로 작년 말보다 0.89% 상승하는 데 그쳤다.구별로는 서초구의 갭투자 비용이 5억4천45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해4억5천203만원보다 1억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최근 서초구의 전셋값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또 강남구의 갭투자 비용이 5억3천479만원, 송파구가 4억9천26만원을 기록하는 등 강남 3구의 갭투자 비용이 서울 평균의 2배를 웃돌았다. 지방에서는 세종시의 갭투자 비용이 1억8천313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제주(1억1천258만원), 부산(1억12만원), 울산(7천725만원), 대구(7천713만원) 등의 순이었다. /연합뉴스

2018-04-17

우리 마을 정보 ‘국토모니터링 보고서’로 확인

내가 사는 지역의 유치원, 의료시설, 복지시설 등 생활기반시설과 노후건물현황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국토교통부는 국토의 생활여건 변화를 측정한 ‘국토모니터링 보고서’를 국토지리정보원과 함께 작성해 이달 중 지자체 등에 배포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다.국토모니터링 보고서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국토정책지표의 변화를 격자형으로 표시한 통계지도로, 국토변화·정책성과·생활기반 시설 등의 정보가 담긴다.특히 격자형 통계지도는 공간정보와 인구·시설 현황 등 행정정보를 융·복합해 격자 형태로 표시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생활기반시설 접근성 현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이 보고서는 앞으로 도시재생 사업지 선별, 정책 수립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국토부는 지속 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해 국토계획 성과평가 등 국토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전문기관의 연구를 통해 국토모니터링의 역할, 추진체계 등을 정립해 관련 법규 정비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립 시 계획 수립 지침에 저성장·인구감소 시대에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국토지표를 선정해 각종 계획 수립의 목표지표로 제시한다는 방침이다.국토부 관계자는 “국갇지자체 등은 국토모니터링 보고서를 활용해 국토의 상세한 인구분포와 생활 기반 시설 이용 여건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맞춤형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8-04-16

팔공산·동화천 품은 배산임수 명당에 ‘둥지’

금성백조 예미지가 이달 중 대구지역 첫 분양을 시작한다.이번에 공개하는 ‘대구연경 금성백조 예미지’는 대구 연경지구에서도 가장 노른자 위치로 소문난 C3블록에 둥지를 튼다.전용 78㎡ 107가구를 비롯해 84㎡ 363가구, 101㎡ 241가구 등 중대형 단지로 구성된다.이 아파트는 인근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유치원이 신설될 예정이어서 학군이 우수하고, 전 가구 4-Bay 맞통풍 구조와 알파 공간 제공, 2.4m 높은 천장, 교육특화 커뮤니티 등 소비자들이 반할만한 스펙을 골고루 갖춘 것이 특징이다.이곳은 도심에 살면서 자연까지 누리고픈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팔공산과 동화천을 품은 배산임수 명당으로 알려졌고 동화천은 오는 2020년까지 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예정돼 있어 사업 완료 시 맑은 물이 흐르는 쾌적한 수변공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대구연경 금성백조 예미지는 연경지구 내 중심에서 누리는 생활가치와 자연친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통환경도 뛰어나다.북대구IC에 인접한 것은 물론 시청과 공항 등 10분대 거리로 대구 시내외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앞으로 동화천로 확장이 예정돼 있고, 봉무∼연경 신설도로, 4차 순환도로 개통예정으로 교통환경은 더 좋아질 예정이다.동화천로가 확장되면 호국로2219파계로의 차량흐름이 수월해지고 동서변지구와 대구시내로의 이동이 더욱 편리해질 전망이다.또 봉무∼연경 신설도로를 통해 이시아폴리스 지구로 빠르게 드나들 수 있고 4차 순환도로 개통으로 혁신도시는 물론 성서까지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교통환경이 개선되면 생활 반경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며 칠곡∼이시아폴리스를 넘나드는 광역생활권으로 홈플러스 칠곡점, 롯데아울렛 이시아폴리스점, 코스트코 대구점 등 생활편의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삶의 질이 더욱 높아질 예정이다.이달 중 분양을 앞둔 대구연경 금성백조 예미지는 연경지구의 생활과 비전을 가장 높게 누리는 연경지구 블루칩이 될 전망이다.부동산 관계자는 “대구연경 금성백조 예미지는 학교와 상업지구를 동시에 낀 핵심 위치인 데다 금성백조가 집 잘 짓는 건설 명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예미지 브랜드의 모기업인 금성백조는 지난 1981년 창립한 중견건설사로 본사는 대전에 있고, 지난 2017년 전국시공능력평가 52위, 5년 연속 신용등급 A(건설공제조합 신용등급 A, 주택도시보증 신용평가 A+, NICE신용평가정보 기업신용평가등급 A+)를 받으며 탄탄한 건설사로 성장하고 있다.주택 브랜드인 ‘예미지’와 프리미엄 상업시설 브랜드인 ‘애비뉴스완’을 통해 전국에서 활발한 사업을 펼쳐 큰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탄2신도시 분양에 나섰고 하반기에는 대구 테크노폴리스 금성백조 예미지 공급을 준비 중이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8-04-16

첨단산업단지 걸맞는 인공지능 아파트로 건설

반도건설이 오는 5월 대구국가산업단지에 반도유보라 3차를 분양한다.15일 반도건설에 따르면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3차분은 전용 74㎡, 78㎡ 총 775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앞선 1∼2차 분양까지 합치면 대구국가산단에만 모두 2천115가구의 유보라 브랜드시티를 이루게 된다.앞서 선보인 ‘대구국가산단 유보라 아이비파크 2.0’이 1주일 만에 100% 계약을 완료하는 등 인기를 끌어 이번 분양도 수요자들의 큰 관심을 받을 전망이다.‘대구국가산단 유보라 아이비파크 3.0’은 앞서 2차에 적용됐던 고객맞춤 혁신설계와 함께 인공지능 ICT 시스템이 적용돼 대구의 미래를 이끌어갈 첨단산업단지에 걸맞은 인공지능 아파트로 건설된다.아파트 ICT 시스템이 도입되면 입주자는 기존의 가스·전등·가전기기 제어, 외부방문자 확인 등의 기본적인 IoT기능을 뛰어넘어 첨단 ICT 생활을 누리게 있게 된다. 영어, 중국어 등 24시간 원어민 선생님, 말로 찾는 네이버검색, 주문에서 결제까지 말 한마디로 다 되는 홈쇼핑 서비스 등이 그 예다.특히, 전문교육기관과 연계한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단지 내 별동학습관으로 주목받고 있는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에 이러한 ICT시스템이 도입되면 외국어회화, 네이버검색 등과 연계한 교육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국가산단 교육특화 아파트로서의 위상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5월 중 공급 예정인 반도유보라 3차분의 견본주택은 2차 모델하우스와 같은 자리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중리 479번지에 마련된다. 분양문의 전화(1800-1122).반도건설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아파트는 단순히 훌륭한 공간제공의 차원을 넘어 사는 사람을 챙겨주고 생활만족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국가산단 반도유보라 3.0을 진정한 인공지능 아파트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한편, 한국감정원 3월 넷째 주 전국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이 0.001% 하락한 데 반해 대구는 0.5% 상승해 입지와 제품력에 따라 대구 신규분양시장에서는 성공적인 분양을 이어갈 여지가 큰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8-04-16

김천 삼락동 등 전국 18개단지 오늘부터 ‘행복주택’ 청약접수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김천 삼락동 등 전국 18개 단지 행복주택 1만1천387호에 대해 16일부터 청약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올해 행복주택은 김천 삼락을 비롯해 △서울(양주옥정·의정부녹양) △인천(고양지축·부천중동·논현2·용마루) △경기(오산청호·청학·세교2·평택소사벌) △대전충남(아산배방업무4) △대전충남(천안신방) △광주전남(광주하남) △경남창원(진주남문산역·창원석동2) △제주(제주봉개) 등이다.행복주택은 청년 주거안정을 위해 학교나 직장 근처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거주여건이 양호한 지역에 시세의 60∼80%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다른 임대주택과 달리 대학생·신혼부부 등 입주민 특성에 따른 수요를 고려해 다양한 주민공동시설이 갖춰져 있다.특히,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입주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자 책상, 냉장고, 가스 쿡탑 등 빌트인 가전·가구를 설치하고 신혼부부 육아지원을 위해 공동육아 나눔터, 가족지원센터, 어린이집을 운영한다. 단지 내 게스트하우스, 작은도서관, 주민카페 등 젊은 입주자를 위한 편의시설도 갖췄다.이번 모집은 지난해 11월 27일 정부의 주거복지 로드맵 발표에 따라 젊은 층의 입주자격이 확대된 이후 LH에서 최초로 공급하는 행복주택이다.기존 행복주택 입주자격은 대학생이거나 소득활동을 하는 사회초년생, 혼인기간 5년 이내의 신혼부부였으나, 이번 모집부터는 소득활동 여부와 상관없이 만 19∼39세의 청년이거나 혼인기간이 7년 내인 신혼부부도 일정 소득·자산 기준만 충족하면 청약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기존에는 해당 주택 건설지역에 거주하거나 학교 또는 직장이 소재해야 청약 가능했으나 이제는 전 지역에서 청약할 수 있다. 단, 거주지 등에 따라 순위가 있으므로 해당 순위에 맞게 청약하면 된다.임대보증금은 최저 949만9천원에서 최대 6천240만원까지, 임대료는 최저 5만2천원에서 최대 27만5천원까지며, 임대보증금과 임대료 일정 한도 내에서 상호전환 가능하다. 청년의 경우 소득 유무에 따라 임대료를 차등 적용해 소득 없는 청년의 임대료 부담도 완화된다.임대자금 마련이 어려운 청년, 신혼부부 등의 경우 정부에서 전세자금 대출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임대보증금의 70∼80%, 매월 임대료 최대 40만원까지 시중 은행(우리, 기업, 농협, 신한, 하나, 국민)에서 신청인 소득, 신용도 등에 따라 저리로 자금지원이 가능하다.행복주택 거주기간은 대학생 및 청년은 6년, 신혼부부는 자녀수에 따라 6∼10년, 고령자 주거급여수급자는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으며, 2년 단위로 갱신계약을 체결한다. 대학생과 청년은 거주 중 신혼부부 자격을 갖추게 되면 최장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행복주택 세부 입주자격과 임대조건 등 자세한 내용은 LH청약센터(apply.lh.or.kr)에서 단지별 입주자 모집공고문을 참고하거나, LH 콜센터(1600-1004)나 마이홈포털(www.myhome.go.kr)을 통해 문의하면 된다. /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8-04-16

경북, 미분양아파트 폭증… 가격 ‘곤두박질’

경북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늘면서 아파트 가격이 곤두박질치고 있다.8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경북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12월 말 기준 2015년 3천800여 가구, 2016년 6천700여 가구로 폭증했다. 지난해 말에는 7천630가구를 기록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들어서도 2달 만에 600여 가구가 늘어나 8천230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포항이 2천72 가구로 가장 많으며, 구미(1천625 가구), 김천(1천410 가구), 경주(1천179 가구)가 뒤를 이었다. 특히 올해 2월 기준 준공 후 미분양아파트도 1천620채를 기록하면서 분양시장 위축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413 가구)보다 4배가량 증가한 수치다.경북은 3월 말 기준 포항을 비롯해 안동, 구미, 경주, 김천 등 5개 지역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제19차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포항은 정부가 미분양관리지역 지정·관리 제도를 시작한 지난 2016년 10월부터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경주는 같은 해 11월부터, 김천은 12월부터 계속 관리를 받아오고 있다. 구미는 지난해 9월부터 미분양관리지역 꼬리표를 달았고, 안동은 지난달 지정됐다. 경북도 내 미분양아파트가 가장 많은 포항지역은 지난해 11월 15일 지진이 발생하면서 부동산 침체가 더욱 가속화하고, 아파트 값 하락세도 뚜렷하다. 실제 지진 전 1억9천∼2억3천만원 수준으로 거래되던 북구의 A아파트 84㎡형은 지진 후 2∼3천만원 낮은 가격으로 거래됐다. 더구나 올해 들어서는 가격하락을 우려한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거래량이 급격히 감소해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기고 있다.포항 다음으로 미분양 문제가 심각한 구미는 신축아파트가 마이너스 프리미엄으로 거래되는 곳이 나타나기도 한다. 2016년 2월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전하면서 조성된 도청신도시 조차도 미분양 늪에 빠졌다. 주거 환경이 좋아 분양 초기에는 프리미엄이 4천만원까지도 붙었던 곳이다.안동지역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장은 “현재도 미분양이 발생하는 등 부동산 경기가 어렵지만, 앞으로 쏟아질 공급물량 때문에 아파트 값이 떨어질 전망이다”면서 “수요를 생각하지 않은 과도한 공급물량이 부동산 침체를 부추기고 있다”고 말했다./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8-04-08

대구 ‘내 집 마련’ 갈수록 힘들어진다

대구지역 내 집 마련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8일 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소장 이진우)에 따르면 최근 대구·경북지역 PIR(가계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배수)를 분석한 결과 대구지역은 갈수록 커지고, 경북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대구는 전국 6대 광역시 중 부산 다음으로 PIR수치가 높게 나타나 내 집 마련이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PIR은 대출 없이 소득만을 이용한 주택 구입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대구지역은 3월 기준으로 9.3을 기록해 지난 2008년 5.9에서 10년 만에 58%나 증가했다. 반면 경북지역은 최근 10년간 7% 상승하는데 그치면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이 같은 증가세는 대구지역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데도 집값은 높은 상승세를 보여 PIR의 오름세가 높은 것으로 판단됐다. 경북은 지난 2008년 4.0에서 2018년 4.9를 기록하는데 그쳐 지난 10년간 PIR이 7% 정도 증가했다. 경북이 대구보다 상대적으로 PIR이 낮게 나타나는 이유는 지난 2015년 이후 가격 조정을 받고 있으며 포항과 구미와 같이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지역이 평균 소득을 올려놓았기 때문이다. 소득대비 전세 배수는 대구의 경우 6.9를 기록하며 전국 6대 광역시 이상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고 지난 2008년 3.6에서 지난 10년간 증가율도 92%로 조사돼 증가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구에서 주거 선호도가 가장 높은 수성구는 매매가 12.3, 전세는 9.0을 기록하고 있어 내 집 마련이 가장 어려운 곳으로 꼽혔다. 경북의 전세 배수는 2018년 3.6을 기록하며 지난 2008년 2.6에서 38% 증가율을 기록했다.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 이진우 소장은 “대구의 전세가 PIR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이유는 가격 상승세가 높게 나타난 시기에 갭투자가 많았고 투자자들이 단기간에 전세가격을 올리면서 드러난 현상”이라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2018-04-08

LH, 상반기 250명 신입직원 채용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상반기 250여명의 신입직원 공채를 추진한다.LH는 올해 상반기 신입직원 채용 규모를 250여명으로 확정하고, 이달 중순 모집공고를 한다고 5일 밝혔다.LH는 지난해 상·하반기 2회에 걸쳐 523명의 신입직원을 채용한 데 이어 올해도일자리 창출과 주거복지로드맵·도시재생 뉴딜, 스마트시티 조성 등을 담당할 신규 직원을 적극적으로 채용한다는 방침이다.채용절차는 서류전형, 필기시험, 면접전형으로 진행되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기반으로 지원자의 직무역량을 심층 검증해 `일 잘하는 인재`를 선발할 계획이다. 필기전형은 5월 19일, 면접전형은 6월 중에 실시한다. LH는 지난 2012년부터 철저하게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공공기관블라인드채용 가이드라인에 따라 채용 전 과정에서 일체 개인정보를 받지 않는다.작년부터는 면접전형시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통일된 면접티셔츠를 제공하는토털 블라인드(Total Blind) 채용방식도 도입했다.LH 관계자는 “블라인드 채용방식에 따라 서류전형에서는 자기소개서가 당락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공고된 직무기술서상의 키워드를 꼼꼼히 살핀 뒤 지원자의 경험이나 경력과 연계해 입사 후 LH에 기여할 바를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연합뉴스

2018-04-06

올해 첫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

정부가 올해 첫 행복주택 입주자를 모집한다. 입주 대상은 만 19~39세로 청년 및 7년 이내 신혼부부다.국토교통부는 1일 행복주택 1만4천189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총 3만5천가구로 공급물량이 대폭 늘었다.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에 발표한 주거복지로드맵에 따라 행복주택 입주자격이 확대돼 이번 모집부터는 만 19~39세의 청년과 6~7년차 신혼부부도 행복주택 청약이 가능해졌다.특히 올해부터는 소득활동에 관계없이 만 19~39세의 청년일 경우 일정 소득·자산기준만 충족하면 누구라도 청약을 할 수 있다. 신혼부부도 출산, 육아휴직 등 때문에 소득이 없는 경우에도 청약 자격을 준다. 또 순위제를 신설해 청약 가능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해당 지역이나 인접지역은 1순위로 청약할 수 있으며, 광역권은 2순위다. 그 밖에 지역은 3순위로 분류된다.행복주택은 주변 시세의 60~80%로 공급돼 시세가 상대적으로 높은 서울 지역도 전용 29㎡(방1+거실1)의 경우 보증금 4천만 원 내외, 월 임대료 10만원대로 거주가 가능하다. 비수도권은 전용 26㎡는 보증금 1천~3천만 원, 임대료 8만~15만 원 내외로 거주가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임대 보증금이 부담되는 청년, 신혼부부를 위해 정부는 버팀목 대출을 운영하고 있으며, 보증금의 70%까지 저리(2.3~2.5%)로 지원받을 수 있다.입주자 모집 지역은 서울 16곳 2천382가구, 경기·인천 10곳 7천353가구, 김천(410가구) 등 비수도권 9곳 4천454가구 등 총 1만4천189호다. 여기에는 서울 강남 3구 재건축 단지도 포함됐다.서울지역 접수기간은 4월 12일부터 16일까지이며, 서울을 제외한 지역은 16일부터 20일까지다. 온라인(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모바일앱(LH 청약센터, 서울지역 제외)으로 접수할 수 있으며, 당첨자 발표는 6월, 입주는 10월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다.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1만4천여 호 모집에 이어 연내 2만호 이상의 행복주택을 추가 모집할 예정이다”면서 “앞으로도 일자리 연계형 주택을 비롯한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청년·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8-04-02

LH, 8년 장기 임대주택 경산 하양 등 3개 지구 민간 사업자 공모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하남 감일, 수원 고등, 경산 하양 3개 지구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자 공모에 나선다고 최근 밝혔다.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8년간 장기 거주가 가능한 공공 주택이다. 지난해 주거복지로드맵을 통해 발표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20만가구(연간 4만가구씩 20만 가구 공급) 공급 계획에 따라 올해 첫 사업자 공모가 진행된다. LH 보유 택지를 활용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업자 공모는 올해 8천가구 이상 공급 목표로 분기별 공모를 통해 4차례 진행한다.경산 하양 A-5 지구는 총면적 3만6천932㎡로 전용 60~85㎡ 공동주택 806가구를 공급할 수 있다. 대구가톨릭대, 경일대, 호산대, 대구대가 가까우며 경산지식산업지구도 인근에 있다. 대구 지하철 1호선이 하양역까지 연장돼 2022년 개통된다.하남 감일 B-8 지구는 총면적 4만3천306㎡에 전용면적 60~85㎡ 공동주택 866가구로 계획됐다. 위례신도시 북측, 하남시청에서 약 9㎞, 서울 송파구청에서 약 5㎞ 지점에 있으며 서울 강남·잠실권으로의 진입이 수월하다. 사업지구 주변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 서울~세종간 고속도로(예정), 감일~초이 광역도로, 위례신도시 북측 도로가 인접해 있다.수원 고등 A-2 지구는 총면적 1만4천214㎡에 전용 60~85㎡ 이하 공동주택 330가구 규모로 공급이 가능하다. 지하철 1호선 수원역과 화서역 중간에 있다. 수원역과 1㎞로 가깝다. 수원시 기성 시가지로 주거밀집 지역에 있어 생활기반 시설 이용이 편리하다. 인근에 서호공원 및 여기산공원·팔달산이 있다.무주택자 우선 공급자에게는 주변 임대시세의 95% 이하로 제한하고 만 19~39세 청년층에 공급하는 청년 민간임대주택은 주변 임대시세의 85% 이하로 책정했다.무주택자에게 우선 공급해야 하며 전체 가구수의 33% 이상을 청년 민간임대주택으로 계획하고 청년층(만 19~39세 1인 가구) 및 신혼부부(혼인기간 7년 이내) 등 주거지원계층에게 특별공급해야 한다. 수원 고등 지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원주민 무주택자들을 대상으로 지역 재정착 유도를 위해 임대주택을 우선 공급하도록 했다.LH는 오는 5월 31일까지 사업 계획서를 제출받은 후 6월 심사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우선협상대상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구체적인 사업 협의 후 주택도시기금 출자 승인, 임대리츠 영업인가, 사업 약정 체결 등 절차를 걸쳐 사업을 추진한다./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8-04-02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시행… 세금폭탄 맞는다

정부가 지난해 8·2 부동산 종합대책에서 발표한 핵심규제 중 하나인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가 이달부터 본격 시행된다.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2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전국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집을 팔면 이전보다 세금부담이 크게 늘어난다.조정대상지역은 서울 전역과 경기 과천, 성남, 하남, 고양, 광명, 남양주, 동탄2, 세종, 부산 해운대·연제·동래·수영·남·기장·부산진구 등 총 40곳이다. 2주택 보유자는 기본세율(6~42%)에 10%p, 3주택 이상 보유자는 20%p가 중과된다. 이에 따라 3주택 이상 보유자는 양도세율이 최고 62%까지 올라가 세금폭탄을 맞을 수 있다.정부는 예외 조항도 마련했다.3주택 보유자의 경우 수도권·광역시·세종시 외 지역의 3억원 이하 주택은 양도세를 계산할 때 제외된다. 2주택자가 부산 7개구나 세종 등 수도권 이외 지역에 산 집을 취학, 근무상 형편, 질병 요양 등의 이유로 팔 때도 예외적으로 양도세 중과에서 제외된다.이와 함께 정부는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을 통해 4월 양도세 중과에 맞춰 집을 8년 이상 장기 임대주택으로 등록하는 경우 양도세 중과를 면제해주기로 한 바 있다.이날부터 주택을 8년 이상 장기임대주택으로 등록하면 양도세 중과를 피할 수 있다는 것. 일례로 3주택자가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에서 4억원에 구입한 주택을 8년간 보유하면서 임대했다가 7억원에 매각해 3억원의 양도차익을 남긴 경우 양도세는 1억6천846만5천원이다. 그러나 이 주택이 8년 임대로 등록된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되고 과세표준이 달라져 양도세는 1천735만8천원으로 줄어든다. 거의 10분의 1수준으로 줄어드는 셈이다.양도세 중과를 앞두고 지난달까지 임대사업자 등록이 매우 활발했고 다주택자의집 처분도 큰 폭으로 늘어났다.임대주택 신규 등록자 수는 지난해 11월 6천159명, 12월 7천348명에 이어 올해 1월 9천313명으로 9천명 선을 돌파했고 2월에는 9천199명을 기록하며 급증하고 있다.양도세 중과 전 집을 처분하려는 다주택자들이 몰려들면서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부쩍 늘었다.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1만3천814건으로 작년 동기 6천658건 대비 2배 이상 늘었다./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8-04-02

대구 도심인프라 누리는 핵심입지 `복현 자이` 오픈

GS건설은 30일 대구 북구 복현동 복현주공2단지를 재건축하는 `복현 자이`의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 분양에 나선다고 밝혔다.이번에 공개되는 복현자이는 지하 2층~지상 최고 17층, 8개동, 전용면적 59~84㎡의 총 594가구로 조성되며 이중 일반분양은 347가구다.일반분양은 전용 74㎡ 156가구, 전용 84㎡ 191가구이며 전 가구 모두 실수요자 선호도 높은 중소형 면적으로만 공급될 예정이다.복현 자이는 대구 북구 도심의 편리한 교통망과 풍부한 생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는 핵심 입지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우선 단지 앞 동북로, 공항로, 신천대로를 통해 도심으로의 접근이 편리하고 북대구IC 및 팔공산 IC를 통해 경부고속도로, 대구~포항고속도로 등 광역교통망 진입이 쉬워 인근도시로의 이동도 쉽다.교육, 편의시설의 경우도 도보로 통학이 가능한 복현초·중, 대동초, 대구북중, 성화중을 비롯해 영진고, 경상고, 성화여고, 경북대 등의 다양한 고교와 국립대 등이 단지의 반경 1km 내로 자리잡고 있어 우수한 교육환경을 갖췄다.또 쇼핑 문화, 교통, 여가, 레저 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대구 신세계백화점(동대구 복합환승센터)은 물론이고 하나로마트, NC아울렛 등의 대형 쇼핑 시설과 엑스코, 파티마병원 등의 편의시설과도 가까워 생활 인프라도 풍부하다.이어 단지가 들어서는 복현동 일대는 복현 자이를 포함해 올해만 1천800여 가구의 재건축사업이 진행중인 곳으로 향후 대규모 신흥 주거타운으로 변모할 예정이다.복현자이는 GS건설만의 노하우가 담긴 다양한 특화설계를 적용해 단지 내에 엘리시안 가든, 힐링 가든, 리빙 가든, 자이펀 그라운드 등 자연을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조경 공간이 마련되고 주차장은 모두 100% 지하화한 공원형 아파트로 조성해 안전한 동선 확보 및 쾌적한 단지로 꾸며진다.4Bay(84㎡A), 3면 발코니 특화설계 등의 신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은 물론 타입에 따라 알파룸, 워크인 드레스룸, 대형 팬트리 등을 제공해 공간 활용도도 높인다는 계획이다.아울러 피트니스센터, 실내골프연습장, 사우나는 물론 작은도서관·독서실 등을 배치해 입주민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며 원패스 시스템, 무인택배 시스템이 갖춰져 편리한 생활환경을 갖추게 된다.여기에 IoT 기술과 주거 시스템을 결합한 최첨단 시스템을 도입해 자이만의 차별화된 주거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력 회생형 승강기와 빗물 활용 시스템, 지하주차장 LED 조명제어 시스템이 적용된다.GS건설 복현자이 분양소장은 “대구 복현동 일대가 재개발·재건축 열기로 뜨거워 새롭게 분양되는 아파트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며 “대구에서 자이 브랜드가 연일 완판행진을 이어가는 만큼 우수한 분양성적이 기대된다”고 말했다.복현자이의 입주 예정일은 오는 2020년 8월 예정이며 견본주택은 수성구 황금동 845-1번지에 있다.복현 자이 청약일정은 오는 4월3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오는 4월4일 1순위, 4월5일 2순위 청약접수를 받는다. 당첨자 발표는 오는 4월11일이며 4월23~25일까지 3일간 정당 계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분양문의 1661-5523/김영태기자piuskk@kbmaeil.com

2018-03-30

포스코건설, 대화형 스마트홈으로 승부

포스코건설(사장 이영훈)이 올해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합쳐 총 2만6천464세대를 공급할 계획이다.포스코건설은 지난해 `송도 랜드마크시티 센트럴 더샵` 3천472세대, `명지 더샵 퍼스트월드` 3천196세대, `인천 더샵 스카이타워` 1천897세대, `판교 더샵 퍼스트파크` 1천223세대 등 10개 사업단지에서 총 2만1천601세대를 성공적으로 공급해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올해는 목표를 상향 조정해 성남·의왕 등 수도권을 비롯한 청주·대전·대구 등 전국 17개 사업장에서 아파트와 오피스텔 2만6천여 세대를 공급할 계획이다.먼저 이번 달 청주시 수곡동 잠두봉 공원 내에 공급예정인 `청주 더샵 퍼스트파크`는 일반분양분 1천112세대의 도시공원 특례사업이다. 포스코건설이 청주에서 선보이는 첫 번째 더샵으로, 청주지방검찰청과 법원 등이 위치 한 산남 생활권을 그대로 누릴 수 있으며, 아파트 단지 반경 500m 내에 도보로 통학할 수 있는 초·중학교가 있어 교육환경도 우수하다.뒤이어 분양 예정인 `분당 더샵 파크리버`는 아파트·오피스텔·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이 함께 들어서는 복합단지로 조성된다. 분당구 정자동에 새 아파트가 공급되는 것은 지난 2003년 10월 포스코건설이 분양한 `분당 더샵 스타파크` 이후 15년 만이다. 전체 671가구가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청주 더샵 퍼스트파크`와 `분당 더샵 파크리버` 모두 세대 내 첨단 무선 스마트홈 환경을 구축하고 국내 건설사 최초로 이와 연동되는 AI음성인식 및 문자 기반의 챗봇(Chatbot)과 같은 `대화형 더샵 스마트홈`이 적용될 예정이라 더욱 눈길을 끈다.대화형 더샵 스마트홈조명·난방·가스밸브·주차위치·단지정보 등을 세대 내 카카오미니(음성인식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카카오미니가 없는 곳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문자로 제어·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김명득기자 mdkim@kbmaeil.com

2018-03-26

획일화된 공공주택 다양성 찾는다

국내 최초 공공주택 설계 공모전이 열린다.국토교통부는 오는 4월 `제1회 대한민국 PUBLIC HOUSING 설계공모 대전`을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해 11월 말 정부가 주거복지 로드맵에서 발표한 `공공주택 혁신을 통한 부정적 이미지 개선`을 위한 후속 조치다. 공동주택 질적 수준향상 등을 위해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동으로 행사를 주최한다.신진건축가, 여성건축가 등 국내 건축가를 대상으로 하며 설계공모 지역은 신혼희망타운(공공분양/수서역세권 A1-2BL, 고양지축 A2BL), 신혼부부특화단지(국민임대/울산다운2 A5BL), 청년주택(행복주택/완주삼봉 S1BL) 등 전국 7개 공공주택 사업부지로4월 공모전 개최 공고를 거쳐 7월에 작품 접수 및 심사를 통해 당선작을 선정한다. 각 부문 당선자에게는 총 107억원 규모의 해당 주택 블록 설계권을 준다.그동안 우리나라 대표적인 주거 유형인 아파트는 건설과 공급의 경제성, 생활의 편의성 등 많은 장점에도 지역적 특성과 다양성이 배제된 형태의 획일적인 모습과 외부 도시공간과 단절된 대규모 단지의 폐쇄성 등의 문제가 지적돼 왔다. 특히, 공공임대주택은 주거의 질적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물량 위주의 공급이라는 비판과 함께 판상형, 편복도라는 획일화 된 형태가 임대주택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주고 있다.정부는 이번 행사를 통해 공공주택 수준을 한 단계 향상시키고 공공주택의 설계·디자인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안찬규기자

2018-03-26

다운계약 등 부동산 실거래가 허위신고 1년새 2배 `껑충`

지난해 부동산 실거래가 허위신고가 전년대비 2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전국 부동산 실거래가 허위신고 행위는 7천263건(1만2천757명)으로 전년 3천884건보다 2배가량 많았다. 부과한 과태료만 385억이다.실거래가 허위신고는 2011년 2천622건, 2012년 2천606건, 2013년 2천812건이던 실거래가 허위신고 적발 건수는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된 2014년 3천346건, 2015년 3천114건 등으로 늘었다.유형별로는 실제 거래 가격보다 낮게 신고(다운 계약)한 사례가 772건(1천543명)으로 집계됐고, 실제 거래 가격보다 높게 신고(업 계약)한 것이 391건(618명)이었다.이밖에 신고 지연 및 미신고 5천231건(9천30명), 계약일 등 가격 외 허위신고 383건(842명), 증빙자료 미제출(거짓제출) 95건(177명), 개업공인중개사에 미신고 및 허위신고 요구 159건(215명), 거짓신고 조장·방조 232건(332명) 등이다.국토부는 다운 계약 등 실거래 허위신고 내역을 담당 세무서에 통보해 양도세 추징 등이 이뤄지도록 조치했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에 알려 허위 계약서를 작성한 중개업자에게 자격정지·등록취소 등 행정처분을 내리도록 했다.또 가족 간 거래를 포함해 편법 증여로 의심되는 538건에 대해서는 세금 추징이 진행되도록 국세청에 통보했다.국토부는 최근 서울·경기 등 청약 열기가 과도한 일부 분양단지 계약자에 대해 자금조달 계획서, 청약정보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계 기관과 합동으로 자금 조성, 지출 내역, 청약통장 불법거래, 위장 전입 등을 조사하는 등 부동산시장 불법 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대처해 나갈 계획이다.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1월 시작된 자진신고자 과태료 감면제도(리니언시), 관계기관 합동 부동산거래조사팀 운영, 부동산 특별사법경찰 등을 통한 현장단속 강화 등으로 실거래신고 불법행위 적발의 실효성이 높아졌다”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실거래 신고제도 개선, 부동산 시장 점검활동을 강화 등을 통해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시 불법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한편, 지난 한해 리니언시 제도에 따른 자진신고 건수는 887건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조사 전 최초 자진신고 시 과태료를 100%, 조사 후 최초 자료제공 협조 시에는 50% 과태료를 면제해 준다./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2018-03-26

포항 우미골, 20년만에 재개발 신호탄

포항시 북구 용흥동 우미골이 20년만에 재개발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올해 조합설립인가를 얻은 포항 용흥4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조합은 현재 국토교통부의 `18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연계형 정비사업` 공모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최종결과가 발표되는 3월 말을 기점으로, 포항 대표 낙후지역이었던 이곳이 어떤 방향으로 재탄생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조합원 106명으로 구성된 포항 용흥4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조합(조합장 이만환)은 지난 1월 9일 포항시에 조합설립인가를 접수했다. 위치는 포항시 북구 용흥동 57-69번지 일원, 면적은 3만6천70㎡다. 포항시는 동월 19일자로 조합설립 신청을 인가했다. 조합 설립인가 이후 3년 이내에 사업시행인가 신청을 해야 한다.특히, 한국감정원의 지난 1월 31일 시세조사서에서는 대상단지(우미골)가 각종 생활 편의시설과의 접근성이 양호해 지역 내 수요가 높고, 양호한 교통 접근성 등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어 부동산 관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교통환경과 주거편의 여건에서도 국도 7·31호선과 인접해있고 터미널 및 항만 등과도 붙어 있으며 구역 경계 1㎞ 이내에는 경북과학고등학교 등을 비롯한 우수학군과 구청, 경찰서, 소방서, 도서관, 죽도시장이 위치해 있는 황금지역이다.정비사업조합 관계자는 “조합에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이번이 최적의 기회라고 생각하면서 마지막 도전을 하고 있다”며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 앞으로 포항 중산층 아파트로서의 새로운 주거공간이 탄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우미골은 지난 1998년 6월 5일 포항시 주택재개발구역으로 처음 지정됐다. 당시 재개발 지역은 서울 등 대도시에서만 시행되던 사업이었고, 포항에서는 첫 시도였기 때문에 주변의 기대가 컸다.하지만, IMF(국제통화기금) 사태 등을 포함한 크고 작은 문제들이 겹치면서 사업에 어려움이 있었고, 4년 뒤인 지난 2002년 12월 16일 주택재개발구역 지정실효(경북 고시 제414호)로 인해 사실상 재개발이 무산됐다.더군다나 2002년과 2003년 연달아 들이닥친 기록적인 태풍 `루사`와 `매미`로 인해 7번 국도변 저지대였던 우미골에 한바탕 물난리가 나면서 지역민들의 희망이었던 재개발의 꿈이 또다시 좌절됐다.악재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지난 2013년 한 중학생의 불장난으로 임야 79㏊와 건물 111채를 태우고 27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킨 포항 용흥동 산불이 일대를 휩쓸고 간 것. 총 54억원의 막대한 재산피해를 일으킨 이 화재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 바로 우미골이었다.오랫동안 거주하던 주민들이 태풍과 화마에 하나둘씩 떠나가면서 2018년 현재 우미골은 정비구역 내 폐공가수 21가구(28.77%), 영세가구 17가구(23.61%, 기초수급 15가구, 차상위계층 2가구)가 거주하는 소위 포항의 `달동네`로 전락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미골은 2018년 새로운 도약을 앞두고 있다. 올해 초 조합설립인가와 함께 국토부 공모에 신청, 3월 말께 최종 확정이 발표되면 포항의 새로운 복합주거공간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이바름기자 bareum90@kbmaeil.com

2018-03-19

“아파트단지 내 도로 무료 점검 받으세요”

국토교통부는 아파트단지 내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한국교통안전공단과 `아파트 단지 도로 안전점검`을 진행한다고 최근 밝혔다. 오는 30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해 해당 지자체에 신청하면 무료로 점검받을 수 있다. 이 안전점검 서비스는 아파트 단지 내 도로의 위험요인 등을 진단해 개선하는 것으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266개 아파트 단지가 혜택을 받았다. 올해는 점검 대상 단지를 평년보다 2배 규모로 늘려 전국 100개 단지를 대상으로 추진한다. 지난해 10월 대전에서 발생한 아파트 단지 내 사망사고 때문에 아파트 내 교통안전개선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한국교통안전공단은 도로환경부터 아파트 단지 진·출입부, 차량·보행자 이동경로 등 위험요인을 포괄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문제점이 발견되면 맞춤형 개선대책을 마련해 단지별로 결과를 통보하게 된다.도로 안전점검을 원하는 단지관리주체나 입주자 대표회의는 오는 30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내면 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단지 환경과 개선 시급성 등을 평가해 다음 달 중 대상단지를 선정할 계획이다.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아파트 단지 내 교통사고를 줄이려면 교통안전시설의 개선도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안전컨설팅 제도 도입을 비롯, 교통안전시설 설치 의무화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안찬규기자

201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