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 발표
경북 동해안의 연안침식 위험도가 올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역은 자연 회복세가 뚜렷했지만, 경주를 중심으로 침식이 심화한 해역도 확인돼 지역별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경북도는 27일 도내 주요 연안 44개 지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서는 침식 우려 지역(C·D등급)이 지난해 24개소(54.5%)에서 올해 21개소(47.7%)로 줄고, A등급 해역은 1곳에서 3곳으로 늘었다. D등급(심각) 지역도 6곳에서 4곳으로 감소해 전반적으로 개선된 흐름이 확인됐다.
도는 태풍 영향 감소와 모래 유입 증가, 기존 연안정비사업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군·시별 결과는 지역 간 침식 상황의 차이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울진은 침식 우심률이 91.7%에서 75.0%로, 포항은 37.5%에서 25.0%로, 울릉은 40.0%에서 20.0%로 낮아졌다. 영덕은 60%로 변동이 없었지만, 경주는 22.2%에서 33.3%로 높아져 일부 해변에서 침식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급이 상승한 지역은 울진 온양·산포리, 포항 칠포~용한·영일대~두호동, 울릉 태하1리 등 10곳이고, 하향된 곳은 경주 전동, 경주 하서1~수렴, 영덕 남호, 영덕 원척~부흥 등 4곳이다.
올해 조사는 드론, 라이다, 스테레오 카메라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정밀도를 높였다. 특히 독도 서도에서는 드론 관측을 통해 배후지 포락 현상을 수치로 분석했다. 경북도는 이를 기반으로 연안침식 관련 데이터베이스와 지리정보체계를 새로 구축해 정책 활용성을 높였다
도는 내년 537억 원을 들여 포항 영일대, 영덕 고래불, 울진 후포 금음·봉평2리, 울릉 태하1리 등 16개 해역에 연안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자연친화형 정비 확대, 드론 기반 상시 모니터링, 취약지역 정밀 조사도 함께 진행한다.
최영숙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연안은 도민 생활과 지역경제의 중요한 기반”이라며 “지역별 침식 양상을 면밀히 반영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연안 관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