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연장·전시장 갖춘 ‘달성 아레나’⋯지역문화 랜드마크로 50년 기피시설, 문화 복합공간으로 재탄생⋯화원·달성의 미래성장축으로 도약
반세기 동안 지역 발전의 걸림돌이었던 옛 대구교도소가 100년 미래를 여는 문화거점으로 탈바꿈한다.
대구 달성군은 25일 옛 대구교도소 부지(10만4613㎡)에 대규모 복합문화공간 ‘달성 아레나(Arena)’를 2033년까지 조성한다고 밝혔다.
1971년 개청한 옛 대구교도소는 오랜 기간 화원 지역 발전을 제약해 온 대표적 기피시설이었다. 2012년 이전 결정 이후 2023년 하빈면으로 완전히 이전했지만, 남겨진 부지는 슬럼화와 주차장 폐쇄로 주민 불편이 이어져 왔다.
정체됐던 사업은 지난 7월 개발계획이 최종 확정되며 전환점을 맞았다. 달성군이 후적지 일부를 매입해 사업을 주도하기로 하면서 추진 속도가 붙었다. 2012년 이후 이어진 중앙정부·대구시·달성군·LH 간의 입장 차도 해소돼 협력 구조가 마련됐다.
후적지는 문화시설(달성군 개발 5만1258㎡), 공동주택(LH 개발 약 500세대), 근린생활시설(LH 개발 3110㎡), 청년·창업 지원 기능의 도시지원시설(대구시 개발 1만6033㎡) 등 문화·주거·지원 기능이 결합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달성군이 주도하는 핵심시설 ‘달성 아레나’에는 2000~3000석 규모의 대공연장과 전시장, 잔디마당, 명품공원이 들어선다. 법정문화도시 지정 이후 축적된 문화 콘텐츠를 담아낼 핵심 인프라로 총 3500여억 원이 투입되며, 옛 교도소 건물 일부는 헤리티지 공간으로 재해석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곳은 지하철 1호선 화원역이 가깝고 화원옥포IC와 국도 5호선이 인접해 있어 접근성이 좋다. 향후 도시철도 1호선 연장, 대구산업선 개통, 제2국가산단 조성 등과 맞물리며 지역 성장축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달성군은 본격 사업에 앞서 지난해 10월 외곽 녹지 1만1270㎡를 먼저 개방해 산책로·잔디광장·야간경관 거리를 조성했고, 폐쇄됐던 204면 주차장도 주민에게 무료 개방했다.
화원 일대는 복합커뮤니티센터(2027년), 사문진 워터프론트, 가족테마파크, 제2 국가산단 조성 등 대형 프로젝트와 함께 대구교도소 후적지 개발을 계기로 재도약을 앞두고 있다.
50년 기피시설이 100년 미래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이번 사업은 화원을 넘어 달성군의 도시 위상을 새롭게 정의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상진기자 csj966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