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청정 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분산에너지 실증과 상용화’를 핵심 모델로 내세운 포항시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사업계획이 조만간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5일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어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를 통해 선정한 분산특구 최종후보지 7곳 중에 제주와 전남(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 실증), 부산 강서구와 경기 의왕시(규제특례 적용으로 전력 신산업 활성화) 등 4곳을 최종 선정했다. 최종후보지인 경북 포항시와 울산시, 충남 서산시의 분산특구 계획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를 거쳐 에너지심의위원회에서 조속히 심의할 예정이다.
분산특구는 원거리 송전망을 이용하는 대신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곳에서 소비하도록 하는 지산지소형 시스템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근거하고 있다. 전기사업법상 발전 사업자와 전기 사용자 간 전력 직접거래가 허용되며 규제특례가 적용돼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하고 전력 신산업의 본보기 모델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항시의 분산특구 계획은 영일만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이차전지 기업에 무탄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친환경 산업 인프라를 조성한다는 전략이 핵심이다. 2026년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앞두고 무탄소 전력 사용을 통해 지역 수출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분산특구 최종 선정은 포항이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는 친환경 산업도시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청정 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전력 실증 사업은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혁신적인 프로젝트이며, 지역 수출기업들이 탄소국경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기회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