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빠 이름도 잊었지만 그리움은 여전합니다”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10-03 11:37 게재일 2025-10-04
스크랩버튼
경북적십자사 101세 이산가족 김납순 할머니 위로 방문
경북적십자사가 추석 명절을 맞아 지난 2일 고령 이산가족인 101세 김납순 할머니를 찾아 명절 선물과 위로금을 전달하고 있다./경북적십자사 제공

경북적십자사가 지난 2일 추석 명절을 맞아 경주시 내남면에 거주하는 101세 김납순 할머니를 찾아 위로의 손길을 전했다.

이번 방문은 이산가족상봉 경험이 없는 고령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한 인도주의적 위로 활동의 일환으로 이날 방문에는 이동숙 남부봉사관장과 허학순 적십자봉사회 경북협의회 노인분과위원장이 함께해, 가족과 고향을 향한 김 할머니의 깊은 그리움을 함께 나누고 명절 선물과 위로금을 전달했다.

김납순 할머니는 전남 영암에서 여섯 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나, 전남 장흥에서 가정을 꾸렸다. 결혼 무렵, 오빠가 북으로 올라가 식당을 운영했지만, 한국전쟁 발발 이후 생이별을 겪고 지금까지 다시 만나지 못했다. 할머니는 “부산에 살 때도 적십자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는데, 이렇게 다시 찾아와 주어 고맙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현재 김 할머니는 경주시로 귀농한 딸 부부와 함께 생활하며 건강한 일상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세월의 흐름 속에 오빠의 이름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이름은 잊었지만, 그리움은 잊히지 않아요”라는 할머니의 말은 이산가족들이 겪는 아픔의 깊이를 고스란히 전했다.

이동숙 남부봉사관장은 “정정하신 모습이 다행스럽지만, 헤어진 가족의 소식을 알 수 없는 상황이 너무 안타깝다”며 “대다수가 고령인 이산가족들이 더 나이가 들기 전에 상봉의 기회가 주어지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1988년 이산가족 신청자 13만3984명 중 2024년 기준 생존자는 3만6941명으로, 2023년 대비 2652명이 감소했다. 이 중 경북 거주자는 1145명으로 전체의 3.1%를 차지한다. 이산가족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상봉의 기회는 점점 더 희박해지고 있다.

이에 적십자사는 △이산가족 화상상봉장 운영 △명절 위로 방문 △이산가족 생애보 제작 등 이산가족을 위한 다양한 인도주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치면서 그들의 삶과 기억을 기록하고 위로하고, 남은 생애에 따뜻한 온기를 전하는 희망의 손길을 전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