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490개 공공시설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보고회 개최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11-25 16:21 게재일 2025-11-26 3면
스크랩버튼
활용이 미흡한 공공시설의 효율화로 예산 절감·도민 체감도 제고
경북도가 25일 ‘저활용 공공시설 활성화 방안 보고회’를 열고 도내 공공시설의 운영 실태를 점검 및 개선책을 논의하고 있다./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25일 ‘저활용 공공시설 활성화 방안 보고회’를 열고 도내 공공시설의 운영 실태를 점검 및 개선책을 논의했다.

이번 보고회는 공공시설의 효율적 운영과 도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종합 대책 마련의 일환으로 앞서 경북도는 지난 2월부터 도내 22개 시·군을 대상으로 건립 당시 사업비가 30억 원 이상이거나 연간 운영비가 3억 원 이상인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시설 490개소를 조사했다.

조사 항목에는 건립 시기, 운영비, 운영 현황, 문제점 등이 포함됐으며, 조사 결과 시설 환경 및 장비 결함이 전체의 34.9%로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또한,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콘텐츠가 17.8%를 차지해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혁신 필요성이 드러났다. 아울러 20년 이상 된 노후 시설은 13.8%로 나타났으며, 이용률이 극히 저조해 관리 체계 개선과 시설 목표 재정립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시설별 문제점과 개선 필요 사항을 면밀히 검토했다. 특히 각 부서가 꼼꼼히 분석한 20여 개 시설에 대한 활성화 계획이 발표됐다. 공공시설은 지역 주민의 생활 편의와 문화 향유를 위한 기반이자 관광객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직결된다.

경북도는 앞으로 도민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콘텐츠 개발, 리모델링, 기능 전환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적극 모색, 경북도의 재정 건전성 확보와 도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지사는 “공공시설을 만들 당시에는 기대가 컸지만, 일부 시설은 세월이 흐르며 재정 악화의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며 “도민들의 세금으로 조성된 시설인 만큼 누구나 잘 이용할 수 있도록 문제 시설은 보수를 거쳐 도민에게 다시 돌려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