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의 고령자 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북지방통계청이 지난 1일 발표한 ‘과거와 달라진 대구·경북 고령자 특성’에 따르면 지난 2024년 기준 대구와 경북 지역 고령자(65세 이상) 인구가 각각 20.3%, 26.1%를 기록하며 전국 평균(19.2%)보다 높았다.
문제는 고령 인구가 계속 증가한다는 것이다.
오는 2030년 고령자는 대구 60만 명, 경북은 80만 8000명으로 고령 인구 비율은 각각 26.7%와 32%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2040년에는 각각 75만 3000명과 102만 1000명으로 고령 인구 비율이 36.5%와 42.5%를 기록해 처음으로 30%를 넘어서고 오는 2052년에는 76만 2000명과 107만 1000명까지 늘어 고령 인구 비율은 대구가 42.5%, 경북은 절반에 육박하는 49.4%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자의 가구 유형을 보면 1인 가구 비중이 작년 기준 대구와 경북에서 각각 39.3%와 41.9%로 지난 2015년보다 각각 6.9%p와 4%p 늘었다.
또 경제활동 참가율은 10년 사이에 대구는 25.9%에서 33.1%로 7.2%p, 경북은 45.8%에서 53.5%로 7.7%p 상승했다. 소득 수준은 지난 2024년 기준 월 100만 원 미만이 대구는 45%, 경북은 56.8%였고 300만 원 이상인 고령자는 대구 11.6%, 경북 6.7%로 집계됐다.
지난 2023년 기준 연금 수급 현황을 보면 65세 이상 74세까지의 수급률은 대구 90.9%, 경북은 91.7%로 월평균 수급액은 대구 74만 8000원, 경북은 74만 5000원으로 조사됐다. 75세 이상은 대구가 수급률 93.1%, 경북은 96%로 월평균 수급액은 각각 61만 5000원, 51만 원으로 나타났다.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도 달라졌다. 가족이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은 줄고 정부와 사회가 함께 책임진다는 응답이 대구 54.7%, 경북 54.6%로 크게 늘었다.
동북지방통계청 관계자는 “이번 결과가 지역 고령자의 생활 변화를 객관적으로 보여준다”라면서 “향후 노인 복지와 일자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고 말했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