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8월 대구·경북 광공업 생산, 건설 수주 희비⋯ 대형소매점 판매액 동반하락

황인무 기자
등록일 2025-10-04 09:59 게재일 2025-10-01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8월 대구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대구와 경북의 주요 산업 지표가 상반된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광공업 생산과 건설 수주가 늘어난 반면, 경북은 광공업 생산과 건설 수주는 모두 줄었다. 대형소매점 판매는 두 지역이 동반 하락했다.

30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8월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대구 광공업 생산은 작년 같은 달보다 2.0% 증가했지만, 경북은 0.6% 하락했다.

대구의 광공업 생산은 전자·통신, 전기·가스·증기업, 자동차 등의 생산은 늘었고, 섬유제품, 기계장비, 의료정밀광학 등의 생산은 줄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6.8%), 전기·가스·증기업(54.1%), 전자·통신(20.9%) 등이 늘었고 기계장비(-9.5%), 섬유제품(-10.6%), 의료정밀광학(-12.6%) 등은 하향세를 나타냈다.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전년동월대비 7.6% 감소했으며 백화점, 대형마트는 전년동월대비 각각 2.3% , 14.2%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별로는 의복, 오락·취미·경기용품 등은 늘었고, 가전제품, 음식료품, 화장품, 신발·가방 등은 줄었다.

Second alt text
8월 경북 산업활동동향. /동북지방통계청

경북의 광공업 생산은 금속가공, 전기·가스·증기업, 의료정밀광학 등의 생산은 등이 증가했으나, 1차금속, 전자·통신, 자동차 등은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전년동월대비 16.0% 줄었으며, 대형마트는 전년동월대비 17.7% 줄었다. 상품별로는 오락·취미·경기용품 등의 판매는 증가했지만, 음식료품, 의복, 화장품, 가전제품, 신발·가방 등의 판매는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와 경북지역 건설 수주액 희비가 엇갈렸다. 

대구의 건설수주액은 8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79.5% 증가했지만, 경북은 3030억 원으로 32.4% 줄었다.

발주자별로는 대구는 공공부문 47.7%, 민간부문 109.6% 증가했고, 공종별로는 건축부문 62.1%, 토목부문 295.8% 각각 늘었다.

경북은 발주자별로는 공공부문 10.4% 증가했지만, 민간부문 45.1%가 감소했다. 공종별로는 건축부문 65.2%, 토목부문 11.7% 각각 줄었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