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대응·작업 안전성 강화 등 국가적 과제 해결 핵심 대안으로 접근해야 지역 주도형 실증·사업화 모델 추진···수산업 구조 전환·새 성장 동력 창출
고령화율이 전국 최고 수준인 경북동해안 지역 어민들은 고강도 노동을 덜고 안전사고 위험을 낮출 ‘어업인력 보조 로봇’을 통한 자동화를 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기술개발과 실증 지원 등의 노력이 전무해 어업·수산업 분야 로봇 기술개발이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조 경북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 부연구위원이 3월 19일부터 4월 17일까지 포항시, 경주시, 울진군, 영덕군 어민 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90.7%가 수산업의 노동강도가 ‘힘들다’(힘들다 57.4%, 매우 힘들다 33.3%)고 답했다. 노동력이 부족하다는 응답도 81.5%(부족하다 55.6%, 매우 부족하다 25.9%)에 달했다.
어업인력 보조를 위한 로봇 도입에 긍정적으로 답한 비율은 81.5%(긍정 55.6%, 매우 긍정 25.9%)나 됐다. 그 이유로는 ‘노동이 힘듦’이 47.1%로 가장 많았고, 업무 생산성 향상(19.6%), 현재 체력 등 신체 능력이 떨어짐(17.6%) 순이었다. 어항구역 내 어업인력 보조 로봇 설치 찬성 의견도 85.2%(그렇다 59.3%, 아주 그렇다 25.9%)에 달했고, 고령화와 인구감소 해결을 위한 어업인력 보조 로봇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답변이 85.2%(그렇다 59.3%, 아주 그렇다 25.9%)로 나타났다.
울진 죽변항 죽변어촌계장은 고령의 해녀에 의존하는 자연산 미역 채취가 심각한 타격을 받는 사정을 고려한 수중 자동 미역 채취 로봇 도입을 제안했다. 포항 청진항 어민들은 미역 등의 수산물을 육상에서 선별해 차량으로 옮기는데 많은 힘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선박이나 육상에서 자동 선별하는 장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포항 신창1리항 어민들은 육상에서 그물을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원했다.
정원조 박사는 “어업인의 노동강도가 높아지는 문제는 단순 인력 충원으로 해결할 수 없어 지능형 어업 보조 로봇을 통한 자동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어업 작업은 비정형적이고 해상 환경 변화가 잦아 착용형·협업협 등 현장 맞춤형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라면서 “어업 로봇은 무인기·수중로봇과 기술적 연계성이 높아 해양산업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초기 시장 단계에서는 국가주도 기술개발과 실증 지원이 필수적인데, 현실은 정반대이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로봇산업을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지만, 어업과 수산업 분야는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에서 제외돼 있다. 해양수산부는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면서도 어업인력 보조 로봇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과 지원체계를 마련하지 않았다. 어업 전용 로봇의 기술개발과 특허 실적도 사실상 전무하고, 어업 로봇 개발을 위한 정부 예산과 국가연구개발과제도 없다.
정 박사는 “정책·산업·기술 가반이 아직 미흡하지만, 수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고령화 대응, 작업 안전성 강화라는 국가적 과제를 해결할 핵심 대안으로 접근해서 국가전략기술로 격상해야 한다”라면서 “’지역 주도형 실증과 사업화 모델을 추진한다면 수산업의 구조 전환과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