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흉부외과 전공의 3명⋯국가 차원 재건 대책 시급

장은희 기자
등록일 2025-09-25 16:04 게재일 2025-09-26 1면
스크랩버튼

대구·경북 지역 흉부외과 전공의 수가 의정 갈등 이후 70% 이상 줄어들며 현재 1∼4년차 전공의가 모두 수련 중인 병원은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 중증 응급의료체계가 붕괴 위기에 놓였다는 경고가 나온다.

25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에 따르면 작년 의대 정원 확대 논란과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를 거치며 전국 흉부외과 전공의 수는 36.5% 줄었다. 갈등 직전인 지난해 2월 107명이었던 전공의는 이달 초 기준 68명으로 감소했다.

지역별 현황을 보면 전공의 수는 서울이 42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인천 12명, 대구·경북 3명, 부산·울산·경남 3명, 대전·충남 6명, 광주·전남 1명, 전북 1명에 불과했다.

수련병원 운영 현황도 악화됐다. 

심장수술을 시행하는 전국 수련병원 가운데 전공의가 단 한 명도 없는 곳이 76%에 달했다. 의정 갈등 이전에는 89개 병원 중 28곳이 전공의를 보유했으나, 현재는 21곳만 수련을 유지하고 있어 68곳은 ‘전공의 제로’ 상태다.

학회는 지역 흉부외과 수련 시스템을 재건하기 위한 국가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구·경북에서는 전공의 미복귀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지역 기반 수련 시스템 자체가 붕괴된 상황이다. 반면 의정 갈등 이전 수도권 전공의 비율은 전체의 73.8%였으나, 현재는 79.4%로 더 높아졌다.

학회는 현재 논의 중인 필수의료법만으로는 이미 붕괴된 지역 기반을 회복하기 어렵다”며 “국가 차원의 실태조사와 비상대책, 신속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대구지역 대학병원 관계자는 “의정 갈등 이후 전공의 이탈이 이어져 필수의료 공백이 심각하다”며 “심장 수술, 폐암 수술 등 중증 응급진료 체계가 흔들리면 환자 사망률과 합병증 위험이 현실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